검색결과 필터

[전체] “수등이척법” 에 대한 검색결과 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

사전(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르도록 한 것이 으로의 변천이었다. 즉, 상‧중‧하의 3등전으로 파악해 각기 양전척(量田尺)을 달리해 양전함으로써 각 등 전지의 결부의 면적을 차등 있게 파악하였다. 그리고 각 등 전결(田結)에 대한 조세를 동일하게 수취하도록 하였다. 이것은 그...
  • 영정법(永定法)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정액화한 것이었다. 이로 인한 전세 수입의 감소를 보충하기 위해서 양전사업을 강화하였는데, 1653년(효종 4) 양전법이 개정되었다. 이전에 사용하던 ()은 폐지되고, 통일된 기준척으로 1등 전척(田尺)을 삼되, 결부의 크기를 달리하는 양척동일...
    상위어전세(田稅) | 동의어영정과율법(永定課率法) | 관련어전세(田稅), 공법(貢法), 전분6등법(田分六等法), 연분9등법(年分九等法), 비총법(比摠法)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말기부터 조선 말기까지 토지의 비옥과 척박의 정도에 따라 토지 측량의 자(尺)의 길이를 달리해 결(結)·부(負)의 면적을 산출하던 법. 1등전의 양전척은 주척(周尺)으로 4.775척, 2등전은 5.179척, 3등전은 5.703척, 4등전은 6.434척, 5등전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