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수군통제사” 에 대한 검색결과 2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7)

사전(18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에 신설된 종2품 서반 관직. [내용] 삼도통제사‧삼도 또는 통곤(統閫)이라고도 한다. 경상‧전라‧충청도 등 삼도의 수군을 지휘, 통솔한 삼남 지방의 수군 총사령관이다. 본래 삼남 지방의 수군은 5도(五道 : 충...
    이칭별칭삼도통제사|삼도수군통제사|통곤
  • 삼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의 수군을 총지휘하는 조선 시대의 종2품 관직
    정의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의 수군을 총지휘하는 조선 시대의 종2품 관직 | 문광부표기Samdo Sugun Tongjesa | MR표기Samdo Sugun T’ongje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使 삼도(三道使), 삼도통제사(三道統制使), 통수(統帥)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충청도, 전라우도, 전라좌도, 경상우도, 경상좌도 조선 조선 김경옥
    동의어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 삼도통제사(三道統制使), 통수(統帥)
  • (使)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4613 제도 (使) 使 조선 중기에 신설된 종2품 서반 관직으로 경상 ‧ 전라 ‧ 충청도 등 삼도의 수군을 지휘 통솔한 삼남 지방의 수군 총사령관. 통제사 ‧ 삼도통제사 ‧ 삼도 또는
    유형분류제도
  • 거영일기(居營日記)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402 문헌 거영일기(居營日記) 거영일기 居營日記 조선 중기 무신 이운룡(李雲龍)이 로 있으면서 기록한 일기(日記). 1책. 경상우도 수군절도사 겸 삼도로 부임한 이운룡이 1605년(선조 38) 7월 30일부터
    유형분류문헌

고서·고문서(10)

  • 16845 B016845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正祖實錄 卽位年(1776) 五月 정조실록_10005016_004 ○遞江華府留守洪樂命, 以李瀰代之, 以李邦綏爲三道使
    출처전거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831년 이항권(李恒權)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31년(순조31)11월 26일에 삼도였던 이항권이 옥동(玉洞)에 살던 먼 일가에게 보낸 편지이다. 가난에 쪼들리고 있던 일가를 구제하기 위해 두 섬의 쌀을 보낸다는 내용이다. 이 서간의 글씨는 대필이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곡성 옥과미술관
  • 17051 B017051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高宗實錄 十九年(1878) 六月 고종실록_11906018_004 ○以趙康夏爲全羅道觀察使, 洪祐昌爲京畿觀察使, 洪淳馨爲開城府留守, 金善弼爲江華府留守, 鄭岐源爲三道使
    출처전거高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785년 경상도(慶尙道) 남해현(南海縣) 남면향약계(南面鄕約契) 이통상첩전유치절목(李統相帖錢留置節目)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785년 2월 경상도(慶尙道)남해현(南海縣)의 남면향약계(南面鄕約契)에서 작성한 절목(節目)으로, 자료의 표제는 ‘남면 이통상첩전유치절목(南面 李統相帖錢留置節目)’이다. 절목은 특정 조직의 결의 내용을 규정한 것인데, 본 자료에는 1785년 1월 전임 삼도...
    내용분류경제-세금-사목/절목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절목 | 현소장처남해 율곡사
  • 26205 B026205 골포 骨浦 군사교통 大東地誌 권5 경상도 固城 營衙 ... p爲行營後廢官員慶尙右道水軍節度使兼慶尙全羅忠淸三道使 中軍虞侯兼自三月至八月留防于見乃梁關漢學訓導倭學訓導審藥各一員○營城周一萬一千七百三十尺井十池五○本營舟師屬邑昌原晉州金海河東巨濟固城昆陽南...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연구과제(1)

  • 조선후기 무관직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정해은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9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12)

  • / 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중기에 신설된 종2품 서반 관직. 경상·전라·충청도 등 삼도의 수군을 지휘, 통솔한 삼남 지방의 수군 총사령관이다. 본래 삼남 지방의 수군은 5도로 분할되어 수군절도사를 두어 해구에 대처해왔다. 그러나 임진왜란 중인 1593년(선조 26) 8월 삼도

  • 통제사 / 統制使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서반 종2품 관직. 유래는 조선 초기의 수군절도사에서 비롯되었으며, 임진왜란 중인 1593년(선조 26) 이순신이 경상·전라·충청도의 삼도로 제수되면서 시초가 되었다. 통제영은 고성에 두었고 경상우수사가 겸임하였으며, 삼남 수군을 통할하는 해상

  • 거영일기및계본등록 / 居營日記─啓本謄錄 [언론·출판/출판]

    조선후기 무신 이운룡이 로서의 업무 등을 기록한 일지.공무일기.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42호. 1980년에 지정된 142-1호는 『거영일기』 1책과 『계본등록』 2책이다. 『거영일기』는 이운룡 장군이 경상우도 수군절도사 겸 삼도로 부임한 1605년

  • 이곽 / 李廓 [종교·철학/유학]

    1590(선조 23)∼1665(현종 6). 조선 중기의 무신. 태종의 아들 경녕군 비의 6대손, 아버지는 유인이다. 신장이 8척이나 되고 음성이 큰 종소리 같았으며, 힘이 장사였다. 이항복의 추천으로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이 되었다. 이후 충청도병마절도사, 삼도

  • 이현직 / 李顯稷 [종교·철학/유학]

    1797년(정조 21)∼미상. 조선 후기의 무신. 이격 아들, 이학영의 아버지이다. 1846년(헌종 12) 경상좌도수군절도사·전라도병마절도사, 1854년(철종 5) 삼도·함경북도병마절도사, 1865년(고종 2) 총융사, 이듬해 어영대장과 공조판서를 역임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