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수군첨절제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8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김용래 부산진수군첨절제사 해유문서
- 사도진
- 삼척포진
- 수군첨절제사
연구성과물(270)
사전(88)
- 수군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수군첨절제사 수군첨절제사 水軍僉節制使 수군첨사(水軍僉使), 첨사(僉使)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조선 조선 김경옥 14세기 1895년(고종 32) 수영(水營) 종삼품 [정의] ...동의어수군첨사(水軍僉使), 첨사(僉使)
- 웅천읍성지(熊川邑城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막고 읍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1437년 웅천수군첨절제사영(熊川水軍僉節制使營)으로 축조한 것이 시초이다. 1451년 왜구를 방어하기 위해 동 ‧ 서 ‧ 북의 세 곳에 수로를 만들어 성 일부를 확장하였다. 1510년에는 삼포왜란(三浦倭亂)으로 일시 왜구에게 함락되기도 하...유형분류유적
- 웅천(熊川)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포(薺浦)를 개항하여 일본과 무역을 하였으나, 왜인 상주인구가 점점 늘면서 내국인과 충돌이 잦게 되자 왜인들의 단속을 강화하고 읍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1437년 웅천수군첨절제사영(熊川水軍僉節制使營)을 축조하였다. 안골포(安骨浦) ∙ 사량(蛇梁) ∙ 당포(唐浦) ∙ 옥포...유형분류지명
- 제포(薺浦)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조선 초기에는 우도수군첨절제사영(右道水軍僉節制使營)이 있어 안골포(安骨浦) ∙ 사량(蛇梁) ∙ 당포(唐浦) ∙ 영등포(永登浦) ∙ 옥포(玉浦) ∙ 평산포(平山浦) ∙ 적량(赤梁) 등을 관할하였으나, 뒤에 절제사영이 부산 쪽으로 옮겨짐에 따라 수군만호가 남게 되었다....유형분류지명
- 자성대(子城臺)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또는 환산성(丸山城)이라고도 불렀고, 왜군이 물러간 뒤에는 명의 만세덕군(萬世德軍)이 진주한 일이 있어 만공대(萬公臺)라고도 했다. 임진왜란 뒤에 다시 수축되어 좌도수군첨절제사(左道水軍僉節制使)의 진영으로 사용되었다. 이 때의 성의 규모는 둘레 1,689자 높이 13자...유형분류유적
고서·고문서(182)
- [內需司]庄土文績_제18책 : 圖書文績類 131. 行三島鎭水軍僉節制使書目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08726 奎 19307 [內需司]庄土文績 제18책 : 圖書文績類 18-131 131. 行三島鎭水軍僉節制使書目 서목 1 34.7x31.5 한지, 관인, 押과 題音 1장, 34.7x31.5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押...자료명[內需司]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남도포(南桃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3592 B033592 남도포 南桃浦 군사교통 新增東國輿地勝覽 全羅道 咸平縣 關防 臨淄鎭 在縣西七十七里與靈光郡臨淄島相對有右道水軍僉節制使營所管黔毛浦法聖浦多慶浦木浦於蘭浦群山浦南桃浦金甲島○水軍僉節制使一人출처전거新增東國輿地勝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검모포(黔毛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9105 B019105 검모포 黔毛浦 군사교통 新增東國輿地勝覽 全羅道 咸平縣 關防 臨淄鎭 在縣西七十七里與靈光郡臨淄島相對有右道水軍僉節制使營所管黔毛浦法聖浦多慶浦木浦於蘭浦群山浦南桃浦金甲島○水軍僉節制使一人출처전거新增東國輿地勝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덕포진(德浦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0356 B050356 덕포진 德浦鎭 군사교통 大東地誌 권2 경기도 通津 _ 德浦鎭西南二十五里○水軍僉節制使一員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610년 오신남(吳信男)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610년(광해군2) 1월에 광해군이 오신남을 진위장군수선사포진수군첨절제사로 임명하는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강진 덕호사
주제어사전(19)
-
수군첨절제사 / 水軍僉節制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각 도의 수군절도사 관하에 있던 종3품 무관직. 수군의 거진을 이루는 주요 포구를 근거로 하면서 인근의 제진(諸鎭)을 이루는 제포(諸浦)의 수군만호(水軍萬戶)를 관장하였다.
-
김용래 부산진수군첨절제사 해유문서 / 金用來 釜山鎭水軍僉節制使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김용래 부산진수군첨절제사 해유문서. 1884년(고종 21) 12월 초4일 후임관이 수군절도사에게 첩정을 올렸고, 동년 12월 초5일에 절도사가 호조에 첩정을 올렸으며, 1885년(고종 22) 11월 일에 호조에서 이조로 문서를 이관하였다. 김용래는 1883년(고종 2
-
수군첨절제사동첨절사안 / 水軍僉節制使同僉節使案 [정치·법제]
절첩형식의 문서. 표지에 '수군첨절제사동첨절사안'으로 표기되어 있다. 본문은 상하단으로 나누어 영종, 덕적, 임치, 대부도 등의 해안, 도서 지역을 표기하였는데, 일보는 주색첨지를 붙여 기입하였다.
-
삼척포진 / 三陟浦鎭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삼척도호부에 있던 수군 거진(巨鎭). <신증동국여지승람>권 44 삼척도호부(三陟都護府) 관방조(關防條)에 “三陟浦鎭 在府東八里 有水軍僉節制使營”이라고 하였다.
-
사도진 / 蛇渡鎭 [지리/자연지리]
전라도 흥양현(興陽縣)에 있던 수군의 거진. 『신증동국여지승람』 권 40 흥양현(興陽縣) 관방조(關防條)에 “蛇渡鎭 在縣東四十三里 有左道水軍僉節制使營 所管 會寧浦 達梁 呂島 馬島 鹿島 鉢浦 突山浦”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