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수군우후” 에 대한 검색결과 4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4)

사전(26)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충청도, 전라좌·우도, 경상좌·우도, 황해도 조선 조선 김경옥 1466년(세종 12) 1895년(고종 32) 수영(水營) 정사품 ...
  • 조석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73년(영조 49) 생원ㆍ진사 양시에 합격하였고, 1781년(정조 5) 추천으로 예조좌랑이 되고, 다음해 특지로 만경현령에 제수되었다. 1788년 정언으로서 유곡찰방(幽谷察訪)을 겸직하다가 이어 장령이 되었고, 그 뒤 황해도(黃海道)와 사간원의 사간ㆍ...
    이칭별칭 이성(而晟)| 일봉(一峰)
  • 통제중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 수군(水軍)의 고위관직. [내용] 원래 충청‧전라‧경상도의 수군절도사 중에서도 3도 수군을 통제하는 통제사는 경상우도의 수군절도사가 겸임하였으며 바로 그 아래 관직인 경상우도의 ()도 다른 지역의 와는 달...
  • 우후(虞候)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우후 우후 虞候 아장(亞將) 병마우후(兵馬虞候), 병우후(兵虞候), (), 수우후(水虞候)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시대 조선시대 윤훈표 1466년(세조 12) 189...
    동의어아장(亞將) | 관련어병마우후(兵馬虞候), 병우후(兵虞候), 수군우후(水軍虞候), 수우후(水虞候)
  • 송여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慶尙左道右)에 이르렀다. 『선조실록(宣祖實錄)』 『수은집(睡隱集)』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국...
    이칭별칭 언온(?)

고서·고문서(18)

  • 1600년 박광춘(朴光春) 고신(告身) 1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600년(선조33)에 선조가 밀성박씨 박광춘을 진위장군전라우도로 임명하는 문서.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영암 밀성박씨 박은식
  • 1600년 박광춘(朴光春) 고신(告身) 2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600년(선조33)에 선조가 밀성박씨 박광춘을 절충장군행전라좌도로 임명하는 문서.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공명첩 | 현소장처영암 밀성박씨 박은식
  • 48617 B048617 대진 大津 군사교통 大東地誌 권3 충청도 洪州 山水 ... 內島在新北面之北界大津之下行擔島新北之東小島也下有大津通水原捷路中有今翁岩詳水原元山島在保寧水營西南南北舟舡徑泊處自三月至九月八防于此有濟民倉水營軍餉倉舊有牧場 當宁癸丑置別將於靑島一云芿盆島周三...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0731 B020731 결성 結城 정치행정 大東地誌 권3 충청도 保寧 營衙 水營西二十里海邊 本朝太祖五年置水軍僉節制使開營保寧 世宗三年改都安撫處置使 世祖十二年改水軍節度使官員忠淸道水軍節度使 中軍卽各一員屬邑洪州泰安瑞山唐津沔川舒川林川韓山庇仁藍浦保寧結城海美屬鎭所斤浦馬梁...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5131 B025131 고대도 古代島 도서 충청남도 純祖實錄 三十二年(1832) 秋七月 순조실록_13207021_005 ○咨文:○道光十二年七月初四日, 據公忠道觀察使洪羲瑾, 水使李載亨, 鱗次馳啓, 備金瑩綬, 洪州牧使李敏會呈稱, 本年六月二十六日酉時量, 異樣船一隻...
    출처전거純祖實錄 | 지역분류충청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법제·행정]

    각 도의 수군절도사를 보좌하는 정4품의 외관직 무관. 수군도안무처치사도진무(水軍都安撫處置使都鎭撫)가 세조(世祖) 12년의 관제개혁 때에 ()로 개칭되었다. ()는 충청도, 전라좌·우도, 경상좌·우도의 5수영(水營)에만 있었으며, 그 소임

  • 우후 / 虞候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각 도 절도사에 소속된 관직. 남병사를 제외한 전임절도사 밑에 두었으며, 병마절도사에 소속된 종3품의 병마우후와 수군절도사에 소속된 정4품의 로 구분되고, 임기는 720일(2년)이다. 우후는 절도사를 도와 군기에 참여하고 군령을 전달하며 군사를 지휘

  • 통제중군 / 統制中軍 [정치·법제/국방]

    영에서 관리하며 3도의 감영에서 간섭할 수 없도록 하였다. 이와함께 통제사도 타도의 수군절도사와는 달리 그 실질적 지위를 올려 총융사와 같은 위계가 되게 하였다. 이에 따라 통우후도 지위상 타도의 와 달리 통제중군으로 개칭하여 위계를 승격시켰고 그 임기는 2년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