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송희규” 에 대한 검색결과 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6)

사전(1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94(성종 25)∼1558(명종 13).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야로(冶爐). 자는 천장(天章), 호는 야계산옹(倻溪散翁). 수겸(守謙)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소(紹)이고, 아버지는 부사직 방현(邦賢)이며, 어머니는 황진...
    이칭별칭 천장(天章)| 야계산옹(倻溪散翁)| 충숙(忠肅)
  • TD_L14_D_3354 인물 鬼怪 枳林 D_14_04_16 대동운부군옥 14권 4장 16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4장 1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0433 인물 天章, 士林, 兩司, 中學, 邪黨, 付處, 孝友, 孝友門 正德己卯, 乙巳 陜川, 冶爐縣, 高山 元衡 D_03_02_63 대동운부군옥 3권 2장 63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3권 2장 6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조선 중종~명종 이기순 이범직 2009 천장(天章) 야계(倻溪), 야계산옹(倻溪散翁) 충숙...
  • 김희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軍) 계공(季恭)의 딸이다. 김취성(金就成)ㆍ이광(李光)ㆍ()의 문인이다. 1531년(중종 26) 생원시에 합격하고, 1540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한 때 정언(正言)으로 간신(奸臣) 진복창(陳復昌)의 비위를 거슬렸다가 외직으로 쫓겨났다....
    이칭별칭 사로(士魯)| 칠봉(七峯)

고서·고문서(17)

  • 야계선생문집(倻溪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1879년 장석룡(張錫龍) 흥학계서(興學契序)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충신인 ()를 배향(配享)하는 봉강서원(鳳岡書院)이 있어, 이곳에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봉강서원은 1868년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서원철폐령으로 철폐되고 말았다. 이에 지역 유림과 의 후손들은 철폐된 봉강서원을 대신하여 의 학문과...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토하여 돌려주었다. 또 합천(陜川) 유생의 글을 다시 살펴서 보내는데 종일 했지만 끝나지 않았다. ○송응규(宋應奎) 송응규(宋應奎) : 이문건의 사마시 동방으로 의 형이다. 는 1546년 대구 부사로 있었다. 가 와서 입모(笠帽)비가 올 때 갓 위에 덮어 쓰...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 바로 만수를 불러 이러한 뜻을 전했다. ○박성(朴檉)이 다녀갔다. ○이익경(李翼卿)의 매부 이(李) 모(某)가 와서 그 어머니의 부종증(浮腫證)에 대해 묻고 약을 구하기에 온백원(溫白元) 40환을 주니 꿩 1마리를 바치고 갔다. 이로 인해 ()가 상처(喪...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었고, 정유침(鄭惟沈)‧윤충원(尹忠原)은 방환전리(放還田里) 방귀전리(放歸田里) : 유배에서 풀려나 자신의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을 말한다. 되었고, 윤여필(尹汝弼)‧구엄(具渰)‧신수경(申秀涇)‧이담(李湛)‧()‧백인걸(白仁傑)‧민기문(閔起文)‧황단(黃慱)‧안...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신문·잡지(1)

  • 본조(本朝) 명신록(名臣錄)의 요약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과 일화를 소개한 글 남치근(南致勤), 서림(徐林), 백인걸(白仁傑), 김식(金湜), 조광조(趙光祖), 인순왕후(仁順王后), 윤임(尹任), 윤원형(尹元衡), 민제인(閔齊仁), 김광준(金光準), (), 박광우(朴光佑), 유희춘(柳希春), 이황(李滉), 허자...
    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11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494(성종 25)∼1558(명종 13). 조선 중기의 문신. 수겸 증손, 할아버지는 소, 아버지는 방현, 어머니는 황진의 딸이다. 1519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병조좌랑·현풍현감·호조정랑 등을 지내고, 1534년 흥해군수가 되었다. 저서로는『야계문집』이 있다.

  • 김희삼 / 金希參 [종교·철학/유학]

    1507(중종 2)∼1560(명종 15).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좌승지에 추증된 치정, 어머니는 이계공의 딸이다. 김취성·이광·의 문인이다. 1540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병조좌랑, 옥당, 삼척부사 등을 역임 하였다. 저서로는『칠봉일집』1권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