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송해익”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
고서·고문서(2)
- 성천유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道安石告由文(代本孫) 30 본손을 대신하여 松史宋海翼의 묘도에 비석을 안치한 연유 등을 고한 글. 군자의 자질이 있었으며 가업을 이어 강학에 전념하였다. 죽은 뒤 비석을 세우지 못하다가 금년 봄에 비석을 세우고 고유하니 와서 흠향하기를 청 하였다. 族祖松隱公文五(鎔...분야문학 | 유형문헌
- 원천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문집을 간행하고 난 뒤 追遠의 뜻을 모아 이 정자를 짓게 된 것이다. 정자의 이름은 죽헌이 살던 집의 명칭에서 취한 것이다. 松史記 16 族丈松史宋海翼(1860~1941, 자 鵬擧)의 요청으로 지은 松史軒 기문이다. 송해익은 자신의 先祖가 星州松川에서 살다가 나중에...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송해익 / 宋海翼 [종교·철학/유학]
1860(철종 11) - 1941. 아버지는 대전, 어머니는 고창오씨이다. 공은 1860년 3월 1일에 태어났는데, 고조 송상열의 집에 양자로 갔다. 친부의 상기를 마치고 발분 독서하여 경전과 백가의 글을 두루 섭렵하였는데, 특히 시에 뛰어나 형 송한익과 시명이 높았
-
송사집 / 松史集 [종교·철학/유학]
송해익의 시문집. 4권2책, 석인본. 1976년에 간행하였다. 권일과 권이에는 167제 222수의 시가 실려 있는데, 형식별로는 칠언율시가 176수로 압도적으로 많다. 권삼에는 서 34, 논 1, 서 3, 기 4, 설 2, 송 1편이 실려 있다. 권사에는 제문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