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송천집” 에 대한 검색결과 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김천일(金千鎰)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김천일의 5대손 김택락(金宅洛)이 유고를 수집하고, 1901년 9대손 김봉채(金鳳采)‧김용채(金鎔采)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장복추(張福樞)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곽...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일제강점기의 유학자 고예진(高禮鎭)의 시문집. [내용] 13권 4책. 신활자본. 1963년 족손인 만상(萬相)ㆍ좌상(佐相)ㆍ광은(光殷)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최익현(崔益鉉)의 손자인 용식(龍植)의 서문과 권말에 만상ㆍ좌상ㆍ광은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박문국 / 박문국 조선 후기의 학자 박문국의 문집. 간행연대 미상. 필사본. 연세대학교 도서관 소장.
  • 양응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시 파직되었다가 대사성에 복직되었다. 시문에 능하여 선조 때 8문장의 한 사람으로 뽑혔으며 효행으로 정문이 세워졌다. 저서로는 『』ㆍ『용성창수록(龍城唱酬錄)』이 있다. 『명종실록(明宗實錄)』
    이칭별칭 공섭(公燮)| 송천(松川)
  • 양송천묘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白光勳)‧최경창(崔慶昌) 등이 유명하다. 나주 박산(현재의 광주광역시 광산구)에서 후진을 양성했다. 1842년(헌종 8) 9대손인 찬영(纘永)이 주도하여 문집인 <>을 간행하였다. 묘역은 약 6,000평으로 양응정과 함께 그의 아들로 임란 때 순절한 양산...
    연계항목양송천묘역(梁松川墓域)

고서·고문서(2)

  • 한천당유고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錄이 자신이 본 것이 아니었고, 원집이 여러 곳에 흩어져 있다는 말을 듣고 근심하였다. 이런 상황을 애석히 여겨 록 중 사실인 부분을 모으고 초고를 지어 간략히 윤색을 가하되, 정도에 지나치는 말은 한 마디도 넣지 않았음을 밝혔다. 墓誌銘-並序 (7) ...
    분야문학 | 유형문헌
  • 直講‧持平‧幽谷丞‧豊基郡守 등을 역임하였다. 이 전한다. 贈嘉善大夫戶曹參判行通訓大夫軍 資監正龜亭柳公行狀 3 龜亭柳思溫(1573∼1639)의 행장이다. 자는 粹甫, 본관은 文化, 고조는 淙, 증조는 慕 軒世長, 조부는 渚, 부친은 純諫, 모친은 丹陽禹氏이다. 1...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 김천일의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김천일의 5대손 김택락이 유고를 수집, 1901년 9대손 김봉채·김용채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장복추의 서문, 권말에 곽종석·윤주하·김용채 등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132수, 부 1편, 송 2편,

  • / [종교·철학/유학]

    일제강점기의 유학자 고예진의 시문집. 13권 4책. 신활자본. 1963년 족손인 만상·좌상·광은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1에 시 500여수, 부 2편, 표 1편, 권2에 서 144편, 권3에 잡저 15편, 권4에 서 39편, 권5에 기 44편, 권6에 발 6편, 찬

  • 양응정 / 梁應鼎 [종교·철학/유학]

    다. 저서로는『』·『용성창수록』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