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송징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2)
사전(18)
- 송징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52(효종 3)∼1720(숙종 46).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질부(質夫), 호는 약헌(約軒). 아버지는 현감 광순(光洵)이며, 어머니는 부평이씨(富平李氏)로 찰방 상재(尙載)의 딸이다. 박세채(朴...이칭별칭 질부(質夫)| 약헌(約軒)
- 송진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88(숙종 14)∼1738(영조 14).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여유(汝儒), 호는 소정(疎亭). 참의 시철(時喆)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광순(光洵)이고, 아버지는 징은(徵殷)이며, 어머니는 민도(閔燾...이칭별칭 여유(汝儒)| 소정(疎亭)
- 송문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11(숙종 37)∼?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사안(士安), 호는 행수(幸叟). 호조참판 징은(徵殷)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좌참찬 성명(成明)이고, 아버지는 익장(翼長)이며, 어머니는 박태규(朴泰奎)의 ...이칭별칭 사안(士安)| 행수(幸?)
- 이창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躋)이며, 어머니는 송징은(宋徵殷)의 딸이다. [내용] 1735년(영조 1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이듬해 세자시강원설서로 초사(初仕)하였으며, 1737년 사간원정언ㆍ사헌부지평을 거쳐 이듬해 문학이 되었다. 1740년 홍문관교리, 수찬을...이칭별칭 성방(聖方)| 익헌(翼獻)
- 송정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70(현종 11)∼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자화(子和), 호는 지와(止窩). 시철(時喆)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광순(光洵)이고, 아버지는 징은(徵殷)이다. 어머니는 수령 민도(閔燾...이칭별칭 자화(子和)| 지와(止窩)
고서·고문서(14)
- 국조명신언행록(國朝名臣言行錄)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개인-전기-유사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2493 B072493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8年 1月 4日_021 ○宋徵殷, 以備邊司言啓曰, 伏見東萊府使李正臣狀啓, 則飛船一隻出來, 館守倭言內, 今見島中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현령(南海縣令)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6149 B036149 남해현령 南海縣令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25年 10月 27日_011 ○有政。 以吳命增·朴泰三爲學諭, 韓世良爲典籍, 權爲持平, 金構爲左副賓客, 李秀賢爲翼陵參奉, 金志道爲南海縣令, 宋徵殷爲兼東學敎授, 金益九爲旌義縣監, 洪重錫爲工曹佐郞, 李寅...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현령(南海縣令)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爲黃山察訪, 尹夏濟爲掌苑別□, 許穧·韓瑄·姜獻之爲典籍, 張遇一爲掌樂正, 尹楡爲尙瑞副直長, 南垕爲司成, 申厚載爲都承旨。 典籍單李師尙, 造紙別提單柳薈, 內贍直長單宋徵殷, 宗簿直長單蔡彭胤。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현령(南海縣令)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爲黃山察訪, 尹夏濟爲掌苑別□, 許穧·韓瑄·姜獻之爲典籍, 張遇一爲掌樂正, 尹楡爲尙瑞副直長, 南垕爲司成, 申厚載爲都承旨。 典籍單李師尙, 造紙別提單柳薈, 內贍直長單宋徵殷, 宗簿直長單蔡彭胤。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송징은 / 宋徵殷 [종교·철학/유학]
1652(효종 3)∼1720(숙종 46).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광순, 어머니는 이상재의 딸이다. 박세채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675년(숙종 1) 사마시에 합격, 생원·진사가 되고 1689년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 주서·정언·지평·사서·부수찬·교리 등
-
역대사론 / 歷代史論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후기의 문신 송징은과 아들 성명이 중국의 역사적 인물에 대한 역대 선인들의 사평을 모아 놓은 책. 41권 10책. 목판본. 송징은이 일찍이 고금의 인물들을 논해 시비를 가리는데 뜻을 두고 있던 중 스승인 박세채가 이에 관한 목록을 보여주자, 여러 해 동안 자료를
-
국조명신언행록 / 國朝名臣言行錄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초기부터 인조 또는 효종까지 명신·학자·의병·일사(逸士) 등의 인적사항과 행적 등을 기록한 언행록.인물지. 먼저 송징은이 편집한 책은 1700년대에 369명의 인물을 32책으로 편찬하였다. 서·발문·범례는 없으며, 본문에는 인물 개개인의 자·호·본관·생몰년·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