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송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7)
사전(39)
- 율옹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송징(宋徵)의 시문집. [내용] 불분권 1책. 목판본. 1826년(순조 26) 6대손 재일(在一)과 이신(以新)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치규(宋穉圭)의 서문, 권말에 이헌승(李憲承)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
- 송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64(명종 19)∼1643(인조 21).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신평(新平). 자는 신지(信之), 호는 율옹(栗翁). 아버지는 증공조참의 문절(文節)이다. 송정순(宋庭筍)의 문인이며, 정철(鄭澈)과 가까이 지냈다. 1612...이칭별칭 신지(信之)| 율옹(栗翁)
- 송징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52(효종 3)∼1720(숙종 46).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질부(質夫), 호는 약헌(約軒). 아버지는 현감 광순(光洵)이며, 어머니는 부평이씨(富平李氏)로 찰방 상재(尙載)의 딸이다. 박세채(朴...이칭별칭 질부(質夫)| 약헌(約軒)
- 송진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88(숙종 14)∼1738(영조 14).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여유(汝儒), 호는 소정(疎亭). 참의 시철(時喆)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광순(光洵)이고, 아버지는 징은(徵殷)이며, 어머니는 민도(閔燾...이칭별칭 여유(汝儒)| 소정(疎亭)
- 송면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64(영조 40)∼?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주경(周卿). 징규(徵奎)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창명(昌明)이고, 아버지는 익상(翼庠)이며, 어머니는 김상효(金尙孝)의 딸이다. 1794...이칭별칭 주경(周卿)
고서·고문서(98)
- 3 第三統統首宋徵休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65년_제일부내면( 第一府內面) 1765년 제일부내면( 第一府內面) 第三江亭里 3 第三統統首宋徵休 第一戶 貢生宋徵休改名徵魯年三十四壬子本延安父學生就林祖學生是富曾祖學生繼得外祖 通政大夫金鐵冑本金海妻金姓年二十九丁巳本金海父學生重兊祖學生晶秋曾祖學生 時鳴外祖...연도_면이름1765년_제일부내면( 第一府內面) | 면이름제일부내면( 第一府內面) | 마을이름第三江亭里
- 1754년 송징현(宋徵賢)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송징현(宋徵賢)이 지난번에 조원장의 편지를 받았으나 답장을 보내지 못해 미안하다는 마음을 전하며 상대방에의 안부와 근황을 물어보고 있다. 또한 조원장의 아들이 과거시험에서 낙방한 일을 위로하고, 나중에 자신의 병이 나아지면 서로 만나기를 희망하고 있다.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국조명신언행록(國朝名臣言行錄)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개인-전기-유사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대정현감(大靜縣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8220 B048220 대정현감 大靜縣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10年 5月 27日_010 ○以吳瑗爲修撰, 宋徵啓爲副校理, 權爀爲獻納, 韓選基爲濟州判官, 金振玉爲大靜縣監。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정현감(大靜縣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8263 B048263 대정현감 大靜縣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10年 5月 27日_010 ○以吳瑗爲修撰, 宋徵啓爲副校理, 權爀爲獻納, 韓選基爲濟州判官, 金振玉爲大靜縣監。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7)
-
송징 / 宋徵 [종교·철학/유학]
1564(명종 19)∼1643(인조 21).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문절이다. 송정순의 문인, 정철과 가까이 지냈다. 1612년(광해군 4)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순국한 고경명 3부자의 충효를 들어 석방을 청하였고, 1612년에 이이첨이 폐모
-
송징은 / 宋徵殷 [종교·철학/유학]
1652(효종 3)∼1720(숙종 46).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광순, 어머니는 이상재의 딸이다. 박세채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675년(숙종 1) 사마시에 합격, 생원·진사가 되고 1689년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 주서·정언·지평·사서·부수찬·교리 등
-
구산서원 / 龜山書院 [교육/교육]
璟)·김응회(金應會)·이안눌(李安訥)·송징(宋徵)·김대기(金大器), 1717년에 나무춘(羅茂春), 1765년에 임광필(林光弼)을 추가 배향하였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맡아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 이전에 화재로 전소되어 복원하지 못하였다.
-
역대사론 / 歷代史論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후기의 문신 송징은과 아들 성명이 중국의 역사적 인물에 대한 역대 선인들의 사평을 모아 놓은 책. 41권 10책. 목판본. 송징은이 일찍이 고금의 인물들을 논해 시비를 가리는데 뜻을 두고 있던 중 스승인 박세채가 이에 관한 목록을 보여주자, 여러 해 동안 자료를
-
율옹유고 / 栗翁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학자 송징 시문집. 불분권 1책. 목판본. 1826년(순조 26) 6대손 재일과 이신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치규의 서문, 권말에 이헌승의 발문이 있다. 내용은 저자의 행장을 먼저 싣고, 논 7편, 책 5편, 전책 1편, 의 1편, 부 1편,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