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송질” 에 대한 검색결과 12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7)

사전(2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國朝榜目 於于集 大東奇聞 (1454-1520) 1454(단종 2)-1520(중종 15). 조선 중기의 문신. 글씨는 ≪근묵≫에서. ...
    이칭별칭 가중(可仲)| 숙정(肅靖)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76(숙종 2)∼1741(영조 17)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중윤(仲潤), 호는 치암(恥菴). 이천 출신. 도승지 시길(時吉)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박(搏)이고, 아버지는 정택(廷澤)이며, 어머니는 윤...
    이칭별칭 중윤(仲潤)| 치암(?菴)
  • 우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子光)의 녹공(錄功)과 정막개(鄭莫介)의 남작(濫爵) 등을 지적, 이의 시정을 촉구한 것이다. 「청정별현우소(請旌別賢愚疏)」는 ()‧홍숙(洪淑)‧윤순(尹洵) 등을 파직시키고 휼륭한 사람을 등용해야 한다는 내용의 상소문이다. 「청체등겸사직소(請遞等兼...
  • 정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評)ㆍ사의(司議), 사헌부지평, 제용감첨정을 거쳐 1507년(중종 2) 고부군수로 나갔다. 군수 재임 중인 1510년 문과에 급제하였고, 1512년 상의원정(尙衣院正) 재직 중에 이조판서 ()의 천거로 승지에 주의(注擬)되었다. 그러나 고부군수로 있을 때...
    이칭별칭노천(老泉)
  • 사학징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移還), 작배죄인질(酌配罪人秩)의 다섯 부분과 천주교인으로부터 압수하여 소각한 서적과 성물(聖物)의 목록인 부록형식의 부요화요서소화기(附妖?妖書燒火記)로 구성되어 있다. 형방질은 사학죄인으로 형조에서 신문을 받는 과정에서 배교(背敎)로 석방된 인물에...

고서·고문서(94)

  • 帝曰:“疇咨若時,登庸?” 放齊曰:“胤子朱啓明。” 帝曰:“吁。嚚訟可乎?”【馬本,庸。《說文》,疇作𢏚,朱作絑。《玉篇》,啓作启】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500 尙書古訓 卷一 ITKC_MP_0597A_0500_010_0100 帝曰:“疇咨若時,登庸?” 放齊曰:“胤子朱啓明。” 帝曰:“吁。嚚訟可乎?”【馬本,庸。《說文》,疇作𢏚,朱作絑。《玉篇》,啓作启】 정약용(丁若鏞) 雜著類|...
    권차명尙書古訓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418419 B640269 임진 臨津 군사교통 燕山君日記 十一年(1505) 六月 연산군일기_11106021_006 ○左贊成李季仝, 京畿觀察使, 圖上禁標地界, 東至龍津, 南至龍仁, 北至大灘, 西至臨津, 距京各百里。
    출처전거燕山君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을해년(1875) 2월 20일에 면암 최익현이 종제 최정현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九從 靜史回呈 至月書方在未覆再昨又承臘 旣望付翰傾倒慰釋有同朝暮 遇矣前書所喩可謂不相悉矣竊 謂君不在焉則家樣似尤甚荒凉也 故有所云爾豈有他意而然也 就食之計果如所料否第其議親 似不可又越今年計將何如昨在萬 里細瑣曲折末由詳悉只切紆菀春 日漸長糊口何以爲之第其兒輩貌 樣不忍見也從依遣而此地自...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조선왕조실록』 중종실록 20권, 중종 9년 9월 14일 계유 8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중종실록 중종 9년 9월 14일 계유(1514) 1514 義州城 倭 義州城 咸鏡道 군사 傳于等曰"近聞,北方之事,非...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중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418418 B640266 임진 臨津 군사교통 燕山君日記 十一年(1505) 五月 연산군일기_11105029_006 ○左贊成李季仝, 京畿觀察使。進禁標退限地圖, 西至臨津越邊五里許, 東至龍津, 北至檜巖, 南至龍仁縣北, 傳曰: “必須準百里爲限。” 軼啓, “畿內之地, 過半...
    출처전거燕山君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1)

  • 〈赤穂事件〉を扱った近世日本演劇の作劇法―『仮名手本忠臣蔵』と近品を中心に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안정애, 게재일 : 2012
    41753 안정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일본학회 2012 〈赤穂事件〉を扱った近世日本演劇の作劇法―『仮名手本忠臣蔵』と近品を中心に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6)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植松覺三(植店) 서울 植松覺三 植店 初音町 211 금융 - 전당포(質) - 38.55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植松覺三(植松質店) | 지역서울 | 품목금융 | 영업종목전당포(質)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村松アサノ(村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村松アサノ(村店) 서울 村松アサノ 村店 淸進町 190 금융 - 전당포(質) - 37.5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村松アサノ(村松質店) | 지역서울 | 품목금융 | 영업종목전당포(質)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法官當如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이번 샤뎐은 희귀경로인야 광탕지뎐을 쓰시라 각판소 죄슈들을 참작야 륙범외 거방셕이 되 법부에셔 일이년 징역죄인은 방에 넛치안은쟈만코 즁죄인은 방에 너은지라 평리원검리쥰씨가 법부대신에게 공소기 이번 갓흔 광탕지뎐 쓰시에 리유인 김쥰식...
    게재일1907년 2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恩赦原宥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평리원과 한셩판소에셔 통옥문 죠칙을 봉승야 방 슈명을 셩야 법부에셔 쥬하엿는데 실샹 방송 죄인이 일팔십륙명이오 이십명은 다시 심사라신 쳐분이 나리셧더라
    게재일1903년 3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 법률은 국가흥망의긔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폐하 광탕신 은뎐을나리 륙범외간 죄슈 참작방송는쟈리에 각판소에셔 방미방질 샤보거슬 변야 즁죄인은 방에녓코 그보다 경죄슈는 방송치 안이니 그 곡졀을 알지 못리로다 각야 곡산 민요죄인 십여인과 시흥 민요죄인 몃몃을 그 방송고 안는죄의 경즁을...
    게재일1907년 2월 18일 | 기사분류논설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1454(단종 2)∼1520(중종 15). 조선 중기의 문신. 진생 증손, 할아버지는 만달, 아버지는 공손이다. 어머니는 박겸형의 딸이다. 1477년(성종 8)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 같은 해 친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사헌부지평, 동부승지, 황해도관찰사, 이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