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송진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7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김성수
- 장덕수
- 최린
- 한기악
- 언론집회압박탄핵대회
연구성과물(163)
사전(57)
- 송진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大韓民國獨立有功人物錄)』(국가보훈처, 1997) 『현대사를 베고 쓰러진 거인들: 해방정국과 4인의 요인 암살, 배경과 진상』(박태균, 지성사, 1994) 『고하(古下) 송진우평...이칭별칭 고하(古下)
- 나용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독립분위기에 따라 동경에서 백관수(白寬洙)‧김도연(金度演) 등 유학생들과 함께 동경 일대의 한국인 유학생을 동원하여 독립선언문을 발표하고 대대적인 독립시위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정한 뒤 자금조달을 위하여 일시 귀국하여, 송진우(宋鎭禹)‧김성수(金性洙)‧최린(崔麟) 등을 방...
- 김성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3세에 고광석(高光錫)과 혼인하였다. 1906년 전라남도 창평에서 송진우(宋鎭禹)와 함께 영어공부를 하였고, 1908년(18세)에 군산의 금호학교(錦湖學校)에 다녔다. 같은 해 10월 새 학문을 배우겠다고 송진우와 함께 일본 동경으로 건너가 세이소쿠영어학교(正則英語學...이칭별칭 인촌(仁村)
- 조만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무렵 알게 된 평생의 심우(心友) 오윤선(吳胤善)과 함께 1922년조선물산장려회(朝鮮物産奬勵會)를 조직, 그 회장이 되어 국산품애용운동을 벌였다. 1923년 송진우(宋鎭禹)‧김성수(金性洙) 등과 함께 연정회(硏政會)를 발기하여 민립대학...이칭별칭 고당(古堂)
- 원세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발행하면서 교육협회유진태(兪鎭泰)와 함께 계몽운동을 하는 한편 잡지를 통하여 총독정치를 신랄하게 비판하면서 일제와 맞섰다. 59세가 되던 해 광복을 맞아 경기도 평택시 안중 은거지에서 올라와 고려민주당을 발기하고 송진우(宋鎭禹)와 함께 국민대회준비회를 만들어 부...이칭별칭 춘곡(春谷)
고서·고문서(6)
- 중학생을 위한 국어 용어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중학생을 위한 국어 용어사전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중학생을 위한 국어 용어사전 송진우 신원문화사 서울 2007 학습사...대표표제어중학생을 위한 국어 용어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夢得等系出西蜀之說, 實涉荒茫, 事在前朝之末, 今難準信。 而取考《攷事撮要》, 則洪武五年壬子, 中書省咨送陳友諒、明昇家口不做軍、不做民, 閑住過活云。 以此觀之, 明昇自中國出送, 明白無疑。 臣吳竣, 曾在戊辰 ...출처전거孝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965 B003965 강도 江都 정치행정 孝宗實錄 六年(1655) 冬十月 효종실록_10610014_001 禮曹回啓曰: “夢得等系出西蜀之說, 實涉荒茫, 事在前朝之末, 今難準信。 而取考《攷事撮要》, 則洪武五年壬子, 中書省咨送陳友諒、明昇家口不做軍、不做民, 閑住過活云。 以...출처전거孝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7 第十七統統首朴根福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壹癸酉本密陽父世建祖時連曾祖己南外祖李守哲本慶州妻沈姓年肆拾壹 癸酉本靑松父命黽祖訓鍊判官鎭孝曾祖戒達外祖宋進祐本懷德等己酉戶口相准 第四戶 餘丁鄭正和年肆拾玖甲子本東萊父業武世才祖業武就英曾祖折衝春雪外祖業武李厚邑時本慶州妻金姓 年肆拾陸丁卯本金海父業武萬世祖嘉善時環曾祖嘉善立外祖驛吏鄭碩迪本東...연도_면이름1792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十四三山里
- 11 第十一統統首金得鳳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達外祖宋進佑本懷德率女召史年拾陸庚 子次女召史年拾參癸卯等壬子戶口相准연도_면이름1795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十五三山里
구술자료(3)
- 송진우의 항일정신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서 진용섭 제보자가 송진우의 의병활동에 관한 이야기를 끝내자 제보자가 나서서 다음 이야기를 이어갔다.조사일시2011.02.09 | 조사장소전남 담양군 금성면 대곡리 마을회관 | 제보자정병삼
- 송진우의 독립운동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서 담양은 행주형국이라는 이야기가 끝나자 잠시 음료를 마셨다. 잠시 후에 조사자가 송진우에 관해 물어보자 다음 이야기를 이어 갔다. 조사가 오전에 이어 오후에도 계속 되었는데, 제보자는 지친 기색이 없이 즐거운 표정을 지으면서 많은 이야기를 들려주었다.조사일시2011.02.09 | 조사장소전남 담양군 금성면 대곡리 마을회관 | 제보자진용섭
- 보고 들은 전쟁을 전하다(2)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가들 보믄 그른 양반들허고 비교해보믄 사람이 아니드라고. 내가 봤을 때는 이 송진우씨나 여그 호남에서는 그른 사람들하고 요리 거스기 그 서민호씨라고 서 민호씨 아까. [조사자 : 네. 활동만 알죠 뭐] 여그 여 보성사람이그든. 그릏게 기가 맥혀 모두다. 좋게 지내고조사지역전남 보성 | 조사일2014년 7월 12일(2차)
신문·잡지(87)
- 민세안재홍전집 : 風聞片片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781 1932 5 15 1 1 風聞片片 잡지 삼천리 4권5호 11쪽 동정 사회 간접자료 선집외 宋鎭禹 B19320515삼천05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幽明은從此로永訣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218 1946 1 6 1 1 幽明은從此로永訣 滿場의弔客, 悲淚滂泥 신문 동아일보 2면 4단 기사 사회 간접자료 선집외 宋鎭禹, 永訣 A19460106동아02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故古下先生의遺績顯彰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397 1946 11 5 1 1 故古下先生의遺績顯彰 同志들의發議로顯彰會를組織 신문 동아일보 4면 2단 기사 인물 간접자료 선집외 宋鎭禹, 遺蹟顯彰會 A19461105동아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全栢氏召喚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347 1946 7 8 1 1 全栢氏召喚 신문 동아일보 2면 2단 기사 정치 간접자료 선집외 宋鎭禹, 公判, 安在鴻 A19460708동아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獨立後에美國派遣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349 1946 7 13 1 1 獨立後에美國派遣 韓賢宇公判에安,梁兩氏가證言 신문 동아일보 2면 5단 기사 정치 간접자료 선집외 宋鎭禹, 公判, 安在鴻 A19460713동아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기타자료(10)
- 송진우;宋鎭禹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7074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同窓會 회원명부 1941―06―30 5면 송진우;宋鎭禹 경성부 苑町 74 1915년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송진우;宋鎭禹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4827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4면 송진우;宋鎭禹 경성부 苑洞 74 1915년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우수 새마을 교육 사례) 끝 없는 정열을 오늘도 여기에 바치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잡지 송진우 1982 12 충북교육 65호 충청북도교육...범주1평생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송진우 | 사료철명충북교육
- 5. Translation No. 399 : 기록자료, 1946.04.27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es Army Forces in Korea, Office of the A.C. of S., G-2, Language and Document Section 숙명여자대학교 현대일보(1946/04/24) 보도 자료: 송진우 암살사건에 대한 상보...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수신자Headquarters United States Army Forces in Korea, Office of the A.C. of S., G-2, Language and Document Section
- 19. Telegram:전문, 1945.12.11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당 당수 송진우와 주서울 소련 총영사 폴리안스키와의 면담 내용. 송진우는 폴리안스키에게 북한 지역에서 소련군과 공산당이 주민들을 억압하는 행위에 대해 항의하였으며, 폴리안스키는 소련은 남한 지역의 여러 사안들에 대해 방해하지 않을 것이며 남한 지역의 공산당과 어떤 연락...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G-2, XXIV Corps | 수신자CINCAFPAC ADV
주제어사전(7)
-
송진우 / 宋鎭禹 [교육]
항일기의 교육가·언론인·정치가(1890∼1945). 중앙중학교의 교장으로서 학생들에게 민족의식을 불어넣었다. 동아일보사가 주식회사로 개편되자 사장에 취임, 이후 30여 년 간 사장·고문·주필 등을 역임하면서《동아일보》를 민족의 대변지로 이끌었다. 8·15광복 후 우
-
김성수 / 金性洙 [교육]
현대의 교육가·언론인·정치가(1891∼1955). 1908년 송진우와 함께 일본 동경으로 건너가 1910년에 와세다대학에 입학, 1914년에 정경학부를 졸업했다. 1920년 동아일보사를 창립해《동아일보》를 통해 물산장려운동을 폈고 1929년 재단법인 중앙학원을 설립
-
언론집회압박탄핵대회 / 言論集會壓迫彈劾大會 [역사/근대사]
1924년 6월 21일 서울 천도교회당에서 23개 사회단체가 연합하여 총독부 당국의 언론집회탄압에 항거하여, 부당성을 경고하고 폭로하기 위한 모임. 1923년 총독부 당국의 언론집회 등에 대한 강경한 탄압정책과 친일연합단체인 각파유지연맹이 동아일보사 사장 송진우와 취
-
장덕수 / 張德秀 [역사/근대사]
1945년 8·15해방과 더불어 김성수·송진우 등과 한국민주당을 창당하고 외교부장·정치부장 등으로 활약했다. 1947년 12월 종로경찰서의 한 경사에게 암살되었다.
-
한기악 / 韓基岳 [역사/근대사]
변도적인 만행을 규탄, 성토하였으며, 동시에 조선물산장려회 이사로 선출되어 활약하였다. 1925년 시대일보(時代日報) 편집국장을 지냈으며, 이해에 월간 《개벽》 잡지가 항일민족기사로 인하여 조선총독부로부터 정간처분을 당하자 언론 동지인 송진우(宋鎭禹)·민태원(閔泰瑗)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