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송정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
사전(1)
- 송정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68(선조 1)∼1631(인조 9). 조선 중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군수(君受). 참봉 세량(世良)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봉사(奉事) 구수(龜壽)이고, 아버지는 현령 응광(應光)이며, 어머니는 윤씨(尹氏)이다...이칭별칭 군수(君受)
고서·고문서(8)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三日己丑。 廾三日己丑。 ○留。○二道送末醬二石、鹽十斗、白米五斗、香墨三笏等。○令道送正租二石帖。 1565년 4월 23일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3섬‧팥[小豆] 1섬을 보내왔는데, 연수(連守)가 하빈(河濱)에서 받아왔다. 十七日壬辰。 十七日壬辰。 ○留。○李僩復來傳監司所送笠帽五、扇十五、鄕藥一封。○朴混仲送正租三石、小豆一石來, 連守受河濱來。 1563년 11월 17일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7 第七統統首許赤卜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40년_웅촌면(熊村面) 1840년 웅촌면(熊村面) 第三十二上垈里 7 第七統統首許赤卜 第一戶 營工匠許赤卜年伍拾柒甲辰本김海父松正祖夏田曾祖栗男外祖朴江尙 本密陽率人女김召史年伍拾陸乙巳等丁酉戶口相准 第二戶 寡林召史年肆拾伍丙辰本羅州父東伊祖古沙曾祖前平外祖鄭己...연도_면이름1840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三十二上垈里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山道出靑魚五冬、貫目五冬、大口十、卵古之一缸、白紙三、常紙三卷、鹽一石等云。鹽則卜重置來云。○牧伯送正租一石, 護送官請云。 1565년 12월 6일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3 第三統統首金進尙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奴是石乙伊年貳拾癸酉楚眞一所生 婢玉浦仙年柒甲午今加現等五口時居統營丁酉戶口准 第四戶 兵營鹽汗私奴尹戒先年陸拾參戊戌本坡平父正兵戒同祖軍功部將奉 天曾祖禦侮將軍嘉善大夫奉守外祖通政大夫朴莫立本密陽妻私婢太應今 年伍拾參戊申本蔚山主大丘居李白春父私奴松丁祖私奴松伊曾祖正兵松福外 祖不知等丁酉戶口准...연도_면이름1720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五八等里
주제어사전(1)
-
송정조 / 宋廷祚 [종교·철학/유학]
1568(선조 1)∼1631(인조 9). 조선 중기의 학자. 세량 증손, 할아버지는 구수, 아버지는 응광, 어머니는 윤씨이다. 권필과는 특별히 친밀한 사이였다. 그러나 이이첨과는 상종을 거부하여, 광해군 당시 북인정권하에서는 서울에 있기를 싫어하여 교하에 복거함으로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