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송정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2)
- 동거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송정완(宋鼎완)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926년 5대손 송인옥(宋寅鈺)이 유고를 정리하고, 송인박(宋寅鏷)ㆍ송명익(宋明翼)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세락(金世洛)의 서문과 권말에 김석(金㙽)과 송계...
- 조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問題(愼鏞廈, 文學과 知性社, 1990)韓國近代歷史敎育硏究(金興洙, 三英社, 1990)러시아의 조선침략사(송정완, 범우사, 1990)甲午更張硏究(柳永益, 一潮閣, 1990)朝鮮朝의 國際關係(董德模, 博英社, 1990)105人事件과 新民會硏究(尹慶老, 一志社, 1990)...
고서·고문서(5)
- 송사_宋史326 列傳85 郭諮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後以拒馬車三千 陷馬槍千五百 獨轅弩三萬 分選五將 臣可以備其一 來則戰 去則勿追 幽州糧儲既少 敵不可久留 不半年間 當遁沙漠 則進兵斷古北口 砦松亭關 傳檄幽薊 燕南自定 且彼之所恃者 惟馬而已 但能多方致力 使馬不獲伸用 則敵可破 幽燕可取 帝壯其言 詔置獨轅弩二萬 同提舉百司及南北作坊 以完...국가중국 | 서명송사 | 왕대기타
- 속자치통감장편_續資治通鑑長編191 仁宗 嘉祐五年五月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郡邑 可由水運以給保州 然後以拒馬車三千陷馬槍千五百獨轅弩三萬 分選五將 臣可以備其一 來則戰 去則勿追 幽州糧儲既少 敵不可久留 不半年間 當遁沙漠 則進兵斷古北口 塞松亭關 傳檄幽薊 燕南自定 昔漢高祖提三尺劍定天下 唯匈奴未滅 至孝武時始逐出漠北 唐太宗建義旗取天下 唯吐蕃未滅 至代宗時始入貢...국가중국 | 서명속자치통감장편 | 왕대문종(文宗) 14
- 태평치적통류_太平治迹統類8 仁宗經制契丹要略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心破其積聚敵見兩下兵入莫知爲計矣燕地旣入冦者必有歸心又爲王師所擊而不能遂去于是乗其向背之傑使㳂邊三城及鎭定合兵擊之必大破追奔及燕盡逐敵過山後[敵兵入界則整敗而出塞則紛然散走無復行陣易爲驅除之矣]以兵守居庸闗右北口松亭闗符家寨此四闗口皆險隘各以三千兵守之固矣則敵騎無復南者因其妄動可以一擧而復全燕之地拔...국가중국 | 서명태평치적통류 | 왕대정종(靖宗) 10
- 속자치통감장편_續資治通鑑長編150 仁宗 慶厯四年六月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兵入界則整 若敗而出寨 則紛然散失 無復行陣 易為驅除矣 以兵守居庸關古北口松亭關符家寨 此四關口皆險隘 各以三千兵守之固矣 則敵騎無復南者 因其妄動 可以一舉而復全燕之地 拔數郡陷蕃之族 平累朝切骨之恨 臣自謂必無遺策矣 既以兵守四關口外 西山有後來新開父牛鐵脚猪窠二口 敵人以通山後八州之路 然皆...국가중국 | 서명속자치통감장편 | 왕대정종(靖宗) 10
- 고암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기록한 것이다. 서로 모였을 때, 威儀를 서로 유지하고 덕 업에 힘쓰고 과실을 바로 잡아서 훗날 욕됨 이 없도록 하자고 하였다. 東渠集序 33 宋鼎鋎의 문집을 간행하면서그 전말을 기록한 것이다. 송정완의 본관은 冶城, 자는 仲 和, 호는 東渠이다. 1763년(영조...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1)
-
송정완 / 宋鼎完 [종교·철학/유학]
1711(숙종)~1778 (정조). 아버지는 최기, 어머니는 진성이씨이다. 어려서부터 천자가 총오하여 성인과 선조를 모실 줄 알았고, 미물이라도 약자에게 관대하였다. 을미년 이산서원장이 되었을 때, 서원 유생들이 오로지 문사를 높이고 실질을 업신여기는 풍조를 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