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송정명” 에 대한 검색결과 4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0)

사전(1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70(현종 11)∼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자화(子和), 호는 지와(止窩). 시철(時喆)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광순(光洵)이고, 아버지는 징은(徵殷)이다. 어머니는 수령 민도(閔燾...
    이칭별칭 자화(子和)| 지와(止窩)
  • 참핵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들이 국경을 넘어가 살인사건을 일으켰을 때 ()을 참핵사로 파견하였고, 1748년(영조 24)에는 청나라 심양에서 조선인 범죄를 심리하기 위하여 김상적(金尙迪)을 참핵사로 파견한 일이 있다. 조선 후기에는 조선인들이 청나라의 국경을 넘어가 물의를 일으...
  • 송익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89(숙종 15)∼?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원직(元直). 광순(光洵)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휘은(徽殷)이고, 아버지는 정명(正明)이며, 어머니는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김우항(金宇杭)의 딸이다. 경기...
    이칭별칭 원직(元直)
  • 이사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29(영조 5). 조선 후기의 무신. [내용] 무과에 급제하여 1711년(숙종 37) 훈련원부정으로 참핵사(參覈使) ()과 함께 임시로 형조좌랑이 되어 청국인의 살해사건을 조사하였다. 그 뒤 전라우도수군절도사ㆍ경상도병마...
  • 이태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필(世弼)이며, 어머니는 박세모(朴世模)의 딸이다. 영의정 광좌(光佐)의 재종형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84년(숙종 10) 진사시에 합격하고, 1699년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검열에 올랐다. 이 해 8월 새 예문관원으로 ...
    이칭별칭 국언(國彦)| 아곡(鵝谷)| 충정(忠定)

고서·고문서(27)

  • 72650 B072650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7年 1月 21日_013 ○有政。 以李正臣爲東萊府使, 爲判決事, 韓重熙爲洪陽縣監, 李世最爲應敎, 呂光周爲文學, 金弘楨爲承旨, 兪命雄爲承旨。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2085 B072085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7年 1月 21日_013 ○有政。 以李正臣爲東萊府使, 爲判決事, 韓重熙爲洪陽縣監, 李世最爲應敎, 呂光周爲文學, 金弘楨爲承旨, 兪命雄爲承旨。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2327 B012327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6年 9月 5日_036 ... 也。 又指水曰, 此碧瀾渡也。 故留守受任時, 欲作海倉於此, 而身死未果, 以設鎭爲宜者, 尹趾仁之議也。 以漕運爲便者, 之見也。 今臣所達, 合此兩人之意而仰白矣。 脫有不幸,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2466 B012466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6年 9月 5日_036 ... 也。 又指水曰, 此碧瀾渡也。 故留守受任時, 欲作海倉於此, 而身死未果, 以設鎭爲宜者, 尹趾仁之議也。 以漕運爲便者, 之見也。 今臣所達, 合此兩人之意而仰白矣。 脫有不幸,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419 B007419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43年 3月 15日_012 ○左承旨許玧, 右承旨洪好人, 同日辰時成貼狀。 闕內無事爲白在果, 兵曹今三月十四日, 一二所巡將, 各更各度, 行巡無事單子及烽燧候望單子各一度, 開城府留守及黃海監司金楺, 雨澤農形狀啓各一...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2)

  • 경제·산업 사건 근대 若(-) 부산 若 - 大倉町3-18 - - 석탄 - 10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若松政明(-)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석탄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 (明松堂器械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明松堂器械店) 서울 明松堂器械店 本町 3-38 약품_의료기 - 의료기계 도매 36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松井明(明松堂器械店) | 지역서울 | 품목약품_의료기 | 영업종목의료기계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1670(현종 11)∼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시철 증손, 할아버지는 광순, 아버지는 징은이다. 어머니는 민도의 딸이다. 부인은 김우항의 딸이다. 1699년(숙종 25)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조좌랑, 이조정랑, 부응교 등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