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송인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4)
사전(67)
- 권덕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精)의 딸이다. 송인수(宋麟壽)의 문인이다. [생애] 1537년(중종 32)에 사마시에 합격, 성균관에서 행의(行義)로 의금부도사에 천거되었다. 1562년(명종 17)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전적ㆍ정언ㆍ헌납 등 언관직에서 활동하였다.이칭별칭 치원(致遠)
- 송인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99(연산군 5)∼1547(명종 2).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미수(眉叟) 또는 태수(台叟), 호는 규암(圭菴).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계사(繼祀)의 고손이며, 정랑 순년(順年)의 증손으로, 할아버지...이칭별칭 미수(眉?), 태수(台?)| 규암(圭菴)| 문충(文忠)
- 宋麟壽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2629 宋麟壽 인물 圭庵, 登第, 天姿, 樂善, 好學, 立朝, 謇諤, 議論, 讜直, 至孝, 居廬, 白燕巢幕, 華人, 一片冰玉, 朝廷, 鎭浮靜俗, 大司憲, 乙巳禍, 浮薄, 領袖, 罷歸, 舊墅, 賜死, 沐浴, 負愧而生, 無愧而死, 復官 正...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3권 2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송인수(宋麟壽)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송인수 송인수 宋麟壽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조선 중종~명종 이기순 이범직 2009 미수(眉叟) 규암(圭菴) 문충(文忠) ...
- 오현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669년에 배향), 대정현에 유배되었던 동계(桐溪) 정온(鄭蘊 : 1669년에 배향)과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 : 1695년에 배향), 제주목사를 역임한 규암(圭庵) 송인수(宋麟壽 : 1682년에 배향)를 말한다. 이곳에는 지금도 오현의 위패를 상징하는 조...연계항목오현단(五賢壇)
고서·고문서(41)
- 宋仁洙(송인수)를 射殺(사살) 抗美聯隊(항미연대) 掃蕩戰(소탕전)서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宋仁洙(송인수)를 射殺(사살) 抗美聯隊(항미연대) 掃蕩戰(소탕전)서 대한민국(남한) 경향신문사(남한)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경향신문』: 19...대표표제어宋仁洙(송인수)를 射殺(사살) 抗美聯隊(항미연대) 掃蕩戰(소탕전)서 | 저작권자경향신문사(남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사살, 소탕
- ○정사가 있었는데 송인수(宋麟壽)가 대사헌이 되었고, 김노(金魯)가 집의(執義)가 되었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1545_254_048 1545년윤1월 ○정사가 있었는데 송인수(宋麟壽)가 대사헌이 되었고, 김노(金魯)가 집의(執義)가 되었다 1545년 윤1월 19일 임오, 흐리고 잠깐 눈이 내림. ○정사가 있었는데 송인수(宋麟壽)가 대사헌이 되었고, 김노(金魯)가...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송병순이 송병선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承認字侍 甚喜甚喜 吾以憂擾 夜不能寢 晝不能安心 令人難耐 而石里行 不可已也 立石過祀後 將圖之耳 松烟須卽覓來也 吾往時 欲持去耳 姑不一一 松烟覓來 越送也분야문학 | 유형문헌
- 귤림서원(橘林書院)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0631 B030631 귤림서원 橘林書院 사회교육 大東地誌 권6 전라도 濟州 祠院 三姓祠英宗癸未建正宗甲寅賜額高乙那 良乙那 夫乙那○橘林書院宣祖戊寅建 肅宗壬戌賜額金淨 宋麟壽俱見淸州金尙憲見太廟鄭蘊見廣州宋時烈見文廟李約東字春甫號老村碧珍人官知中樞謚平靖李檜字子方延安人官牧使○右二...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귤림서원(橘林書院)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0633 B030633 귤림서원 橘林書院 사회교육 濟州邑誌1 濟州 建置沿革 書院 橘林書院(在南城內 沖庵金淨 圭庵宋麟壽 淸陰金尙憲 桐溪鄭蘊 尤庵宋時烈 肅宗八年壬戌 賜額 掌議一人 有司二人 額內院生三十人 額外院生三十六人 別置居接生二十人 付廩做工) 鄕賢祠(平靖公李約東 晚...출처전거濟州邑誌1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3)
- 투사신문_1950_0526_03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라고 명령을 내렸다. 이에 본시 연백군에서 작년 가을 『애국반회』에 모였다가 그 자리에서 붓잡혀 화물자동차에 실려서 『국방군』에 끌려갔던 송인수 『일등중사』가 명령을 받고 서울을 떠났다. 그러나 송인수 『일등중사』 역시 의거할 기회만을 엿보고 있던 차였다. 청단역에...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50_0526_03_01 | 책임주필한효
- 통일평론_1978_15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生芸術団公演を見て五句NHKホールにて 李白雪 25 분절 025 民族史観の定立のために-わが民族史をどう見るか 宋仁銖 26 薬浪郡はどこにあったか-わが民族...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78
- 황해일보_1951_1211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주요 해당 지역에 수송인수할 것이다. 다음으로 엽연초 생산자인 해당 농민들에게 수매품에 대한 그 대금을 제때에 지불하며 모범경작자들을 표창하고 그들이 제조 연초를 부족없이 일상적으로 공급받도록 적극 노력할 것이다. 이에 있어서는 물론 류통부문 일꾼들의 더 일층의 창...대표표제어황해일보_1951_1211_02 | 책임주필원용준
기타자료(3)
- 청송인수;靑松仁洙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6777 일본 東京 東亞,野方學園(동아상업학교) 동아상업학교 제13회 졸업기념 1942 6면 1. A, B조 생도 명부 청송인수;靑松仁洙 경남 합천군 태양면 덕정리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亞,野方學園(동아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충남교단에 바란다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고학제,송인수,김기수,정진철 1976 4 충남교단 2호 충청남도교육연구원 32 1 PDF ...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고학제,송인수,김기수,정진철 | 사료철명충남교단
- 글짓기 지도의 실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지 송인수 1979 5 충남교육 17호 충청남도교육연구원 37-44 8 PD...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송인수 | 사료철명충남교육
주제어사전(9)
-
송인수 / 宋麟壽 [종교·철학/유학]
1499(연산군 5)∼1547(명종 2). 조선 중기의 문신. 계사 고손, 순년의 증손, 할아버지는 부사 여해, 아버지는 세량이다. 어머니는 유승양의 딸이다. 1521년(중종 16) 별시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홍문관정자가 되었다. 그 후 사헌부지평, 전라도관찰사, 예
-
노봉서원 / 魯峰書院 [교육/교육]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현도면 하석리에 있었던 서원. 1615년(광해군 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송인수(宋麟壽)와 정렴(鄭렴)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8년(현종 9)에 사액되었으며, 1695년(숙종 21) 송시열(宋時烈)을 추가배
-
숭현서원 / 崇賢書院 [교육/교육]
대전광역시 유성구 원촌동에 있었던 서원. 1585년(선조 1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정광필(鄭光弼)·김정(金淨)·송인수(宋麟壽)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09년(광해군 1)에 중건하고, 같은 해이시직(李時稷)
-
화산서원 / 華山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중화산동에 있었던 서원. 1578년(선조 1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언적(李彦迪)과 송인수(宋麟壽)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58년(효종 9) ‘화산(華山)’이라 사액되어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
백인걸 / 白仁傑 [종교·철학/유학]
1497(연산군 3)∼1579(선조 12). 조선 중기의 학자·문신. 효삼의 증손, 할아버지는 사수, 아버지는 익견. 어머니는 우종은의 딸이다. 조광조 문인으로 김안국에게서도 학문을 배웠다. 송인수·유희춘·이이·성혼 당대 사림계 인물들과 널리 교유하였다. 예문관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