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송인명” 에 대한 검색결과 30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7)

사전(7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조선도서해제(朝鮮圖書解題)』 (1689-1746) 조선 후기의 문신인 (1689-1746)...
    이칭별칭 성빈(聖賓)| 장밀헌(藏密軒)| 충헌(忠憲)
  • 이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할아버지는 서천군 광(西川君洸)이다. 진사로서 학문을 닦는다는 명목으로 과거를 폐하다가 1738년(영조 14) 우의정 ()의 천거를 받아 관직에 나갔다.
  • 만녕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영조의 영정(影幀)을 봉안하던 곳. [내용] 강화읍(현재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에 설치하여 1745년(영조 21) 2월에 좌의정 ()과 승지 서명형(徐命珩)을 시켜 영조의 영정을 모시게 하였다.
  • 이장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며 사술(射術)에 능통하니 참으로 장군의 재질을 가지고 있다고 좌의정 ()의 칭찬을 받기까지 하였다. 1743년(영조 19) 사리평(沙里坪)에서 무술연습을 할 때 그 실력을 인정받아 크게 부각되는 한편, 왕으로부터 표범모피를 하사받았으며, 1761년...
    이칭별칭 자명(子明)
  • 감란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게 명하여 이 책의 편찬을 주관하게 하였고, ()ㆍ박사수(朴師洙)가 편집하여 1729년에 간행하였다. 조현명(趙顯命)이 쓴 영조의 어제서문(御製序文)에는 이 사건의 원인을 붕당에서 찾고 있으며, 이와 같은 변란의 재발을 막기 위하여 이 책을 편찬한다...

고서·고문서(216)

  • 蘇聯武器(소련무기가 당신을 죽인다)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蘇聯武器(소련무기가 당신을 죽인다) 대한민국(남북한) DMZ박물관 문헌자료 삐라는 남북한 심리전의 한 수단으로 항공기나 기타 수단에 의해 적지에 산포...
    대표표제어蘇聯武器送人命(소련무기가 당신을 죽인다) | 저작권자DMZ박물관 | 자료구분문헌자료 | 키워드蘇聯武器(소련무기)
  • 내용분류사회-역사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14021 B014021 강도 江都 정치행정 英祖實錄 十九年(1743) 六月 영조실록_11906010_001 ○辛酉 / 上引見大臣、備堂。 左議政新自江都奉審而還, 上問江都 ...
    출처전거英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4073 B014073 강도 江都 정치행정 英祖實錄 二十年(1744) 十一月 영조실록_12011012_002 ○左議政, 以江都軍餉, 多用於城役, 請劃給宣惠廳米三萬石于江都, 以爲緩急之備, 從之。 寅明又言: “國家以牧政爲重, 設屯諸島 ...
    출처전거英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4075 B014075 강도 江都 정치행정 英祖實錄 二十年(1744) 十一月 영조실록_12011012_002 ○左議政, 以江都軍餉, 多用於城役, 請劃給宣惠廳米三萬石于江都, 以爲緩急之備, 從之。 寅明又言: “國家以牧政爲重, 設屯諸島 ...
    출처전거英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1)

  • ()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실명(實名) 인물에 대한 이야기인데 “야담책에서 읽은 기억을 되살려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니냐?” 물었더니 확실한 대답은 않았지만 그런 것 같았다. 비교적 긴 이야기인데 조리있게 엮어나가는 것은 역시 제보자의 화술탓인 것 같다.*
    조사일시1981-07-17 | 조사장소경기도 강화군 화도면 | 제보자신석하

신문·잡지(1)

기타자료(3)

  • 현대과학의 본성과 과학교육의 방향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잡지 1978 9 충남교육 14호 충청남도교육연구원 13-20 8 P...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송인명 | 사료철명충남교육
  • 특집 1 과학화를 위한 지도 방법의 혁신 (1)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학습지도 잡지 1973 4 문교월보 41호 문교부중앙교육행정연수원...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송인명 | 사료철명문교월보
  • 논단 과학화를 위한 지도 방법의 혁신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잡지 1973 6 문교월보 43호 문교부중앙교육행정연수원 98-1...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송인명 | 사료철명문교월보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1689(숙종 15)∼1746(영조 22). 조선 후기의 문신. 시철의 증손, 할아버지는 광연, 아버지는 징오, 어머니는 이단상의 딸이다. 1719년(숙종 45)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 예문관검열을 거쳐 동부승지, 이조판서, 좌의정을 역임하였다. 붕당의 폐해를 경계하

  • 감란록 / 勘亂錄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문신 ·박사수가 1728년 무신란(이인좌의 난)의 전말에 관한 자료를 발췌하여 1729년에 간행한 역사서. 6권 4책. 고활자본. 영조는 난이 평정된 뒤 정석삼(鄭錫三)·이광좌(李光佐)·조문명(趙文命) 등의 주장에 따라 좌의정 조태억(趙泰億)에게 명하여

  • 송능상 / 宋能相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0∼1758). 송시열의 현손으로 한원진의 문인이다. 1739년 5월 의 천거로 시강원 자의가 되었다. 1750년 정우량이 우리 나라의 도통에 김장생을 넣지 않고, 윤증 부자를 언급하자 노론의 입장에서 도통에 대해 아뢰었다. 1752년

  • 이득중 / 李得中 [종교·철학/유학]

    미상~1745년(영조 21). 조선 후기 고변인. 1745년(영조 21) 2월 조징의 역모와 연루되어 형추를 받았다. 이득중은 조징이 무술로 영조의 탕평정책을 지지하고 있던 대신인 좌의정 ‧우의정 조현명을 저주하려 하였기에 이를 고변하였다. 결국 2월 20일 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