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송익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6)
사전(88)
- 송익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龜峯集 宋子大全 燃藜室記述 朝鮮後期思想史硏究(金龍德, 乙酉文化社, 1977) 송익필(1534-1599) 1534(중종 29)-1599(선조 32). 조선 중기의 학자. 글씨는 ≪...이칭별칭 운장(雲長)| 구봉(龜峯)| 문경(文敬)
- 宋翼弼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3_J_0454 宋翼弼 시 短嶽, 杯中畫, 長風, 袖裏秋, 繫獄, 古人禮, 君子冠, 林花, 山下宅, 曉天, 歸夢, 水雲間 蕩春臺 J_13_01_01 지봉유설 13권 1장 1절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13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송익필(宋翼弼)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송익필 송익필 宋翼弼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조선 명종~선조 이기순 이범직 2009 운장(雲長) 구봉(龜峯) 문경(文敬) ...
- 김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송익필(宋翼弼)의 문인으로, 세거지는 충청도 연산(連山)이다. 1605년(선조 38) 사마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의 거재유생(居齋儒生)이 되었다. 1613년(광해군 5)에 계축옥사가 일어나자 낙향하여 10여년 동안 초야에 은거하며 학문을 탐구하였다. 1623년(인조...이칭별칭 사일(士逸)| 허주(虛州)
- 심종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백리 종민(宗敏)의 동생이다. 송익필(宋翼弼)의 문인이다. [내용] 벼슬은 음직으로 1592년(선조 25) 군자감직장(軍資監直長)을 지냈는데 경리부정으로 사간원의 탄핵을 받고 좌천되기도 하였다. 그 뒤 1601년 호조좌랑으로 승진되고, 이어서 광해군 때에...이칭별칭 사경(士敬)| 죽서(竹西)
고서·고문서(34)
- 祭文(二)[(宋翼弼)]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三十七 附錄 五 44 祭文(二)[(宋翼弼)] 37_075_048.jpg 祭文(二)[(宋翼弼)] 嗚呼, 哀哉! 天胡賦兄以溫潤、和樂、灑落、淸通之姿, 而不幷假以期耄之壽, 天胡修兄以仁恕、誠明、從容、純粹之學, 而不兼畀以澤世之福, 使吾君信之如蓍龜, 位極崇班...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挽辭(二)[(宋翼弼)]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三十七 附錄 五 44 挽辭(二)[(宋翼弼)] 37_075_064.jpg 挽辭(二)[(宋翼弼)] 聖主招迎禮, 覉臣道義論。平生無枉志, 今日不貲恩。杳邈唐虞事, 孤危格致言。惟餘著述處, 誰叩舊山門。 其往其來道義隨, 蒼生幾度卜安危。伊、周境上行何畫, 濂、洛源...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구봉집(龜峰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구봉시집(龜峰詩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시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비선구봉선생시집(批選龜峯先生詩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기초학문(4)
- 구봉(龜峯) 송익필(宋翼弼)에 관한 연구 현황 및 과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학래, 게재일 : 201615164 박학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구봉(龜峯) 송익필(宋翼弼)에 관한 연구 현황 및 과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유형논문 | 게재일2016
- 구봉(龜峯) 송익필(宋翼弼)의 수양론(修養論)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진성수, 게재일 : 201614446 진성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양철학연구회(THE SOCIETY OF EASTERN PHILOSOPHY) 2016 구봉(龜峯) 송익필(宋翼弼)의 수양론(修養論)연구 https://www.krm.or.kr/유형논문 | 게재일2016
- 구봉송익필의 율곡학설 비판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창경, 게재일 : 201818129 김창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상문화학회 2018 구봉송익필의 율곡학설 비판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유형논문 | 게재일2018
- 기호성리학 계승 1세대 학자들의 구봉 성리학 수용 양상-사단칠정, 인심도심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유지웅, 게재일 : 2016.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f61db435d0161dcf6d78b02f7 구봉 송익필의 율곡학설 비판에 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metaD유형논문 | 게재일2016
주제어사전(10)
-
송익필 / 宋翼弼 [종교·철학/유학]
1534-1599. 조선 선조 때의 유학자. 관직에는 오르지 않았고 고양의 구봉산에서 후진 양성에 힘썼다. 성리학과 예학에 조예가 깊었다. 이와 기는 서로 독립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선후로 나눌 수도 없다고 하였다. 사단과 칠정을 모두 정으로 보았다. 따라서 이기호
-
송한필 / 宋翰弼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학자·문장가. 송사련(宋祀連)의 4남1녀 중 막내아들로, 송익필(宋翼弼)의 동생이다. 송한필의 아버지 송사련이 안당(安瑭)의 서매(庶妹)인 송감정(宋甘丁)의 아들이었으므로 법의 규정대로 얼손(孽孫)에 해당되어 신분상의 제약을 크게 받다가 아버지대부터 양민
-
정홍명 / 鄭弘溟 [종교·철학/유학]
1592(선조 25)∼1650(효종 1).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철, 어머니는 유강항의 딸이다. 송익필·김장생의 문인이다. 송익필에게 글을 배우고, 김장생의 문하에 들어가 『주역』·『근사록』 등을 배웠다. 1616년(광해군 8) 문과에 급제, 부제학, 대사성,
-
삼현수간 / 三賢手簡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송취대(宋就大)가 송익필·성혼·이이의 서간을 모아서 엮은 서간첩. 조선 중기의 학자 구봉(龜峯) 송익필(宋翼弼, 1534∼1599), 우계(牛溪) 성혼(成渾, 1535∼1598),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6∼1584) 사이에 왕래한 편지를 모아 후
-
김집 / 金集 [종교·철학/유학]
1574-1656. 조선 효종때의 예학자. 성리학자. 김장생의 아들이다. 아버지와 송익필에게서 예학을 전수받았다. 대사헌을 거쳐 이조판서가 되어 효종과 함께 북벌을 계획하였다. 부친 김장생과 함께 조선예학의 기본적 체계를 완비하였다. 저서로는 <신독재유고>, 편서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