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송악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7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4)
사전(108)
- 송악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강하고 청룡은 약하여 그 결과로 나라에는 명상(名相)이 드물고, 무신들이 자주 싸움을 일으킨다고 전한다. 송악산 북쪽으로는 천마산(天摩山)과 박연폭포(朴淵瀑布)가 있고, 남쪽으로는 진봉산‧용수산의 안산이 솟아 마치 조공을 드리는 형상을 하고 있다. 산 남쪽기...
- 송악산신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기도 개성 송악산에 있었던 사당. [내용] 송악산은 무속신앙에서 중요시되는 신산(神山)의 하나로서 덕물산(德勿山)이 ‘밖산’인 데 대하여 ‘안산’이라 한다. 덕물(德勿)ㆍ감악(紺岳)ㆍ송악(松岳)은 무속의 명산이면서
- 일월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기도 개성시 송악산(松岳山) 만폭동 에 있었던 절. [내용] 922년(태조 5)에 창건하였다. 문종은 1077년(문종 31) 궁성의 서북쪽 축성 보수공사를 시찰하다가 이 절의
- 복령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기도 개성시 송악산에 있었던 절. [내용] 창건연대 및 창건자는 미상이나 『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된 박은(朴誾)의 시를 통해서 볼 때 신라시대에 창건되었고, 서천축국(西天竺國)에서 왔다는 불상이
- 구산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기도 개성시 고려동 송악산에 있었던 절. [내용] 고려왕실의 원찰(願刹)로서, 929년(태조 12) 인도 승려 마후라(摩喉羅)가 고려에 왔을 때, 태조가 크게 영접하고 이 절을 창건하여 그를 머...
고서·고문서(121)
- 을유년 송악산진작 발기(松嶽山進爵件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발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발기
- 松嶽山(송악산) 綜合戰果(종합전과)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松嶽山(송악산) 綜合戰果(종합전과) 대한민국(남한) 경향신문사(남한)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경향신문』: 1946년 10월 251일 창간 ...대표표제어松嶽山(송악산) 綜合戰果(종합전과) | 저작권자경향신문사(남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사살, 귀순, 포로, 노획품
- 松嶽山(송악산) 綜合戰果(종합전과)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松嶽山(송악산) 綜合戰果(종합전과) 대한민국(남한) 경향신문사(남한)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경향신문』: 1946년 10월 252일 창간 ...대표표제어松嶽山(송악산) 綜合戰果(종합전과) | 저작권자경향신문사(남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사살, 귀순, 포로
- 松嶽山(송악산) 綜合戰果(종합전과)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松嶽山(송악산) 綜合戰果(종합전과) 대한민국(남한) 경향신문사(남한)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경향신문』: 1946년 10월 253일 창간 ...대표표제어松嶽山(송악산) 綜合戰果(종합전과) | 저작권자경향신문사(남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사살, 포로
- 松嶽山(송악산) 綜合戰果(종합전과)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松嶽山(송악산) 綜合戰果(종합전과) 대한민국(남한) 경향신문사(남한)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경향신문』: 1946년 10월 254일 창간 ...대표표제어松嶽山(송악산) 綜合戰果(종합전과) | 저작권자경향신문사(남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사살, 노획품
구술자료(9)
- 이기신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방공호, 라디오, 공출, 부농, 머슴꾼, 토속신앙, 해주(海州), 초립동(草笠童), 제주4.3사건, 개성 송악산전투, 강령 까치산전투, 은파산(銀波山) 전투, 부포(釜浦), 38선 전투, 무상몰수 무상분배, 9.28수복, 1.4후퇴, 연평도, LST구술자이기신 | 직업무직 | 지역황해도
- 정정숙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개풍군 남면 창릉리, 개성, 토성, 예성강, 서울, 마포, 남창 국민학교, 3.8선, 송악산, 낙동강, 팔미도, 강화도, 상산면, 부평 소사, 연백, 인천, 똥고개/헐떡고개, 화수동, 송현동, 배다리, 설악산, 제주도, 금강산, 백두산 천지, 선죽교, 8.15 해방,구술자정정숙 | 직업양키시장 평양수선 운영 | 지역개성
- 김도원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포, 강화, 문동, 장단, 문산, 금산, 봉동, 신의주, 해주, 사리원, 해주, 송악산, 38선, 연백, 소련, 미국, 대구 칠성동, 곤화문, 신길, 자유다리, 마정, 서울역, 용산, 용산 철도국, 한강, 영등포, 칠성동, 경대(경북대), 노량진, 부평, 영복극장, 남구술자김도원 | 직업자전거포 | 지역경기도
- 김봉건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센 베드로 항. 수원, 집안, 청단, 초산, 파주, 황성, 해주, LA, 다부동 전투, 봉일천 전투, 송악산 전투, 육탄10용사, 한국전쟁, 6.25 전쟁, 4.19 한글 연세대학교 자유대한지키기 국민운동본부 미서부지회 대표회구술자김봉건 | 직업자유대한지키기 국민운동본부 미서부지회 대표회장 | 지역평안도
- 인민군으로 참전해 포로가 되다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인민군으로 징집당해 한 달간 군사훈련을 받았다. 공병대 행정병으로 서울에 주둔하다가 인천상륙작전 이후 북으로 후퇴 하는 도중에 개성 송악산 부근에서 미군에게 귀순의사를 밝히며 포로가 되었다. 이후 인천 소년 형 무소와 거제 포로수용소를 거치며 포로생활을 하다가 반공포로조사지역서울 | 조사일2013년 4월 30일
신문·잡지(26)
- 개성신문_1952_0608_05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년 6월 8일 56 김명호 개성시 개성신문사 최정옥 본사기자 송악산록, 안주 6·6절 기념 경연대회 6·6절을 하루 앞둔 5일 오후 송악산록 성균관 앞뜰 야외 무대에서는 시내 각 학교 어린이들의 6·6절기념 연예 써―클 경연대회가 열리였다...대표표제어개성신문_1952_0608_05 | 날짜1952년 6월 8일 | 책임주필김명호
- 개성신문_1952_0517_06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5월 17일 45 김명호 개성 개성신문사 송악산 송악산 넘어 북녁 하늘에 하운은 뭉게 뭉게 피여오르고― 만월궁지의 잔디와 선죽교반의 수양은 날로 푸르러 가고 있다. 거리에는 벌써 빨딱 재친 흰 노타이들이 등장했다. 그리고 날로 뜨거워가는 태...대표표제어개성신문_1952_0517_06 | 날짜1952년 5월 17일 | 책임주필김명호
- 개성신문_1952_0330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3월 30일 21 개성시 개성신문사 김창순 개성지구, 송악산, 룡수산대표표제어개성신문_1952_0330_03 | 날짜1952년 3월 30일
- 조선인민군_1951_0921_02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아침 개성중립지구에 대하여 기총소사를 감행한 사실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공격이 과오라는 듯한 그의 주장은 불합리한 것이다. 10일밤 하늘은 별이 총총하였으며 구름이 한점없이 맑게 대여 있었다. 개성은 수마일이나 높은 송악산기슭에 위치하고 있다. 이...대표표제어조선인민군_1951_0921_02_01 | 책임주필리춘백
- 개성신문_1952_0513_06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5월 13일 43 개성 개성신문사 송악산 인민군대, 공화국 인민군복을 빨래해주는 여성들 짙어가는 봄과 함께 개성시내를 흘러나리는 해일냇가에서 빨래하는 방망이 소리가 날로 흥겨웁다. 오늘도 깨끗이 세탁된 빨래들은 함지에 소담스럽게 담기여...대표표제어개성신문_1952_0513_06 | 날짜1952년 5월 13일
연구과제(1)
-
개성 역사 기초용어 사전 편찬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박종진 | 숙명여자대학교 | 2014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0)
-
송악산 / 松岳山 [지리/자연지리]
경기도 개성시와 개풍군에 걸쳐 있는 산. 높이 488m. 송도의 진산이다. 일명 부소갑(扶蘇岬)·곡령(鵠嶺)·문숭산(文崧山)·신숭(神嵩)·촉막(蜀幕) 등으로도 불린다. 이 가운데 신숭·촉막은 『송사(宋史)』에 전거한 이름이다. 송악은 소나무를 심어 그 명(名)이 체(體
-
감악산 / 紺岳山 [지리/자연지리]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설마리에 있는 산. 감악산의 높이는 675m로,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양주시 남면, 연천군 전곡읍에 걸쳐 있으며, 조선시대에는 적성현에 속하였다. 경기 5악의 하나로, 정상에서는 임진강과 개성의 송악산 등이 조망되며, 반대편 봉우리인 임꺽정봉의
-
근곡유고 / 芹谷遺稿 [종교·철학/유학]
郁)·김정한(金鼎漢) 등과 수창(酬唱)주 01)한 것이 많으며, 개성을 무대로 한 박연폭포(朴淵瀑布)·송악산(松岳山)·만월대(滿月臺) 등에 대하여 읊은 작품이 많다.
-
덕수 / 德水 [지리/인문지리]
으면서 현의 치소(治所)를 양주(楊州)로 옮겼다가 뒤에 개성부 관할에 들게 하였다. 1389년(공양왕 1) 다시 감무를 두었으나 조선 태조 때 감무를 없애고 해풍군(海豊郡)에 편입시켰다. 조선시대에 이 지역은 개성 남쪽 30리 지점에 있어 송악산(松岳山)에서 뻗은 산
-
오두산전망대 / 鰲頭山展望臺 [지리/인문지리]
140m의 높이의 이곳에서는 북쪽으로 개성의 송악산(松嶽山), 남쪽으로 서울의 여의도 63빌딩을 바라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