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송시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7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39)
사전(1,511)
- 송근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18년(순조 18)∼1903년(고종 광무 7). 조선 후기의 문신. [생애]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언술(彦述). 호는 입재(立齋)‧남곡(南谷). 대전시 회덕 출신. 송시열(宋時烈)의 8대손이며, 흠학(欽學)의 아들로 흠락(欽樂)...이칭별칭 근술(近述)| 입재(立齋), 남곡(南谷)| 문헌(文獻)
- 송병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39(헌종 5)∼? 조선 말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성오(聖五). 송시열(宋時烈)의 9대손. 흠락(欽樂)의 손자이며, 좌의정 근수(近洙)의 아들이다. 음직으로 교관(敎官)을 지내다가 1879년(고종 16...이칭별칭 성오(聖五)
- 우암예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인 송시열(宋時烈)이 문인들과 주고받은 편지 중 예론에 관한 부분만을 발췌하여 편집한 책. [내용] 2권 1책. 필사본. 편집자는 미상이다. 내용과 체재면에서 다소 다른 규장각본과 고려대학교소장본 등 2종이 전한다....
- 우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인 송시열(宋時烈)의 문집. [내용] 1717년(숙종 43) 민진후(閔鎭厚)의 건의에 의하여 왕명으로 운관(芸館)에서 철활자(鐵活字)로 간행되었다. 본집 158권 및 별집 9권으로 되어 있었고, 후에 『...이칭별칭송자대전
- 이수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36(인조 14)∼1697(숙종 23).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미숙(美叔), 호는 농계(聾溪)ㆍ취몽헌(醉夢軒). 관찰사 동직(東稷)의 아들이며, 이색(李穡)의 후손이다. 14세에 송시열(宋時烈)...이칭별칭 미숙(美叔)| 농계(聾溪), 취몽헌(醉夢軒)| 정간(正簡)
단행본(1)
- 尤庵 宋時烈과 性理學的 肖像畵 文化 - 조선후기 儒學者 肖像畵의 祭儀的, 思想的, 政治的, 造形的 脈絡 [尤庵 宋時烈과 性理學的 肖像畵 文化 - 조선후기 儒學者 肖像畵의 祭儀的, 思想的, 政治的, 造形的 脈絡 | 한성대학교]저자 : 강관식 ... | 출판사 : 미정 | 출판일 : 202001본 연구는 “尤庵 宋時烈과 性理學的 肖像畵 文化 - 조선후기 儒學者 肖像畵의 祭儀的, 思想的, 政治的, 造形的 脈絡”을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조선후기 성리학 문화와 초상화 문화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尤庵 宋時烈(1607-1689)의 ...
논문(1)
- 조선 문인의 陸游 인식에 끼친 朱熹의 영향 [중국내 한국학 정착을 위한 선택과 집중의 한국학교육연구시스템 구축 -이문화(異文化)간 상호 교섭과 인식의 한국학 정립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전연 | 게재정보 : 大東文化硏究유형논문
고서·고문서(910)
- 송시열(宋時烈)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논산 노성 파평윤씨 명재 종가
- 송시열(宋時烈)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월 20일에 宋時烈이 參奉趙德厚에게 보낸 편지이다. 충북 옥천의 성주가 고을의 싸움으로 편안할 수 없게 된 점을 한탄하는 내용과 정시우(鄭時遇)와 배영달(裵永達)을 속히 다스려서 일을 빨리 끝낼 수 있도록 해주길 부탁한다는 내용이 담긴 편지이다.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보성 복내 죽산안씨 죽곡정사
- 1675년 송시열(宋時烈) 서간(書簡)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부여 은산 함양박씨
- 1667년 송시열(宋時烈)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651년 송시열(宋時烈)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651년(효종2)5월 15일에 송시열이 안방준에게 보낸 답장이다. 외제(外弟) 김현(金灦)이 전해준 서간을 통해 두텁게 사랑해주고 깊이 기대해준 정을 알게 되었으며, 거원(蘧瑗)처럼 독실하게 공부한 분을 찾아뵙고 가르침을 받고 싶다는 내용이다. 또 자신은 지난여름부...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구술자료(3)
- 송시열과 화수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계속 이야기를 하는데 들려주는 것이라기 보다 혼자서 자신에게 하는 듯 아주 즐거운 표정을 짓고 있었다.*조사일시1980-06-26 | 조사장소충청남도 당진군 면천면 | 제보자이영래
- 우암 송시열을 알게 된 노생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이런게 참, 재밌는 얘기여요. 이런 속담 얘기 좀 해 주세요. 아주 교훈적이고 재미 있는 것으로요.” 라고 말하자, 제보자는, “뭐, 박문수 얘기는 그렇고, 딴 얘기를 하나 해도 좋죠?”라면서 구연을 이어갔다. *조사일시1983-05-23 | 조사장소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 제보자유성칠
- 정철 묘소를 잡아 준 송시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일시2011.01.20(목) | 조사장소충청북도 진천군 문화로74(향교회관) | 제보자이충호
기초학문(4)
- 尤庵 宋時烈의 浩然之氣論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863724 한국연구재단 한국동서철학회 2008 尤庵 宋時烈의 浩然之氣論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유형논문 | 게재일2008
- 尤庵 宋時烈 硏究의 琅況과 課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864210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尤庵 宋時烈 硏究의 琅況과 課題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유형논문 | 게재일2008
- 宋時烈의 許衡 인식과 文廟黜享論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861921 한국연구재단 진단학회 2008 宋時烈의 許衡 인식과 文廟黜享論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유형논문 | 게재일2008
- 17세기 韓中日 三國의 華夷論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우경섭, 게재일 : 2009&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14490&local_id=10021514 17세기 韓, 中, 日 三國의 華夷論에 대한 비교 연구- 宋時烈(1607~1689), 王夫之(1619~1692), 山崎闇齋(1618~1682)의 저술을 중심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16)
- 청년_1937_17_0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잃어진 소년기를 다시 찾어 김영희 5 종교와 행복 홍병선 8 조선고대명공열전-송시열 우암선생 (7) 김원근 9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7
- 청년_1937_17_08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김영희 5 조선고대명공열전-송시열 우암선생 (6) 김원근 8 시편의 신관 송강 12 수영법의...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7
- 청년_1937_17_0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조선고대명공열전-송시열 우암선생 (3) 김원근 10 회무일반 12 춘기회원모집규정 14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7
- 청년_1937_17_1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열 우암선생 (9) 김원근 21 잘못분절된 파일. 중복되어있음. 21-23쪽에 해당하는 파일 삭제요망 조선고대명공열전-송시열 우암선생 (9) 김원근 21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7
- 청년_1937_17_0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11 무인식 김영희 12 조선고대명공열전-송시열 우암선생 (1) 김원근 16 병상잡기 김응집...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7
멀티미디어(91)
- 송시열 배향 서원 지리 제도 근현대 문화 사묘 분포도 점묘도 전국 군현 1:4,000,000 19세기 중반 X 없음 시계열 통합 사단법인 한국서원연합회;민족문화대백과사전;두산백과;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현지 안내문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시계열 통합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1주차. 나말여초, 시대의 전환과 지식인 ‘3최’ 2주차. 고려시대 최승로의 시무 28조 3주차. 조선 전기 정도전의 경세론 4주차. 조선 전기 조광조의 경세론 5주차. 이이의 경세론 6주차. 김육의 경세론 7주차. 송시열의 경세론 8주차강좌제목한국을 움직인 경세가들 | 강의자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1주차. 나말여초, 시대의 전환과 지식인 ‘3최’ 2주차. 고려시대 최승로의 시무 28조 3주차. 조선 전기 정도전의 경세론 4주차. 조선 전기 조광조의 경세론 5주차. 이이의 경세론 6주차. 김육의 경세론 7주차. 송시열의 경세론 8주차강좌제목한국을 움직인 경세가들 | 강의자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1주차. 나말여초, 시대의 전환과 지식인 ‘3최’ 2주차. 고려시대 최승로의 시무 28조 3주차. 조선 전기 정도전의 경세론 4주차. 조선 전기 조광조의 경세론 5주차. 이이의 경세론 6주차. 김육의 경세론 7주차. 송시열의 경세론 8주차강좌제목한국을 움직인 경세가들 | 강의자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1주차. 나말여초, 시대의 전환과 지식인 ‘3최’ 2주차. 고려시대 최승로의 시무 28조 3주차. 조선 전기 정도전의 경세론 4주차. 조선 전기 조광조의 경세론 5주차. 이이의 경세론 6주차. 김육의 경세론 7주차. 송시열의 경세론 8주차강좌제목한국을 움직인 경세가들 | 강의자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기타자료(2)
- (고문 순례) 송시열 적려 유허비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고문 순례) 송시열 적려 유허비문 (고문 순례) 송시열 적려 유허비문 (고문 순례) 宋時烈 謫廬 遺墟碑文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송시열 | 사료철명교육제주
- (한국교육의 맥13) 우암 송시열과 화양서원, 대로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한국교육의 맥13) 우암 송시열과 화양서원, 대로사 (한국교육의 맥13) 우암 송시열과 화양서원, 대로사 (한국교육의 맥13) 尤菴 宋時烈과 華陽書院, 大老祠 교육 문헌 교육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정만조 | 사료철명교육월보
연구과제(2)
-
尤庵 宋時烈과 性理學的 肖像畵 文化 - 조선후기 儒學者 肖像畵의 祭儀的, 思想的, 政治的, 造形的 脈絡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강관식 | 한성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
정본 퇴계전서(定本 退溪全書) 편성 사업 (2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이광호 | 퇴계학연구원 | 2018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73)
-
송시열 / 宋時烈 [정치·법제/법제·행정]
1607(선조 40)∼1689(숙종 15).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봉사(奉事) 구수(龜壽)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도사(都事) 응기(應期)이고, 아버지는 사옹원봉사(司饔院奉事) 갑조(甲祚)이다. 어머니는 선산 곽씨(善山郭氏)로 봉사 자방(自防
-
기유의서 / 己酉擬書 [역사/조선시대사]
1669년 윤선거가 송시열에게 보낸 문서. 기유년에 썼기 때문에 ‘기유의서’라 한다. 편지의 내용은 “남인 윤휴(尹鑴)와 허적(許積)을 참적(讒賊 : 남을 헐뜯는 나쁜 무리)이라 단정할 수 있겠는가.”라는 것으로 송시열의 남인에 대한 가혹한 처사를 충고한 서한이다.
-
송자대전 / 宋子大全 [종교·철학/유학]
별집류(別集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5책이며, 판종은 목판본이다. 규격은 32.1×21.8cm이고, 반곽은 21.3×16.4cm이다. 표제와 판심제는 송자대전(宋子大全)이다. 송시열(宋時烈)이 지은 것으로, 권수는 27권 15책이다.
-
송치규 / 宋穉圭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59∼1838). 송시열의 6대손으로 김정묵의 문인이며, 이이와 김장생·송시열의 전통을 이어받아 그것을 지키는 데 전념하였다. 관직에 나가지 않다가, 72세가 되던 해 왕의 간청으로 세손의 시강원찬선을 거쳐 대사헌을 지냈고, 이조참판이 되었다가
-
유상기 / 兪相基 [종교·철학/유학]
1651(효종 2)∼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양증 증손, 할아버지는 계, 아버지는 명윤이다. 송시열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할아버지 계의 저서인『가례원류』를 간행할 때에, 스승 송시열을 등지고 당쟁을 조장하였다고 윤증을 공격한 정호의 발문으로 소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