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송사집” 에 대한 검색결과 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

사전(15)

  • 양회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년 향시에 합격하고 제시(製試)에서 장원하였다. 1905년 을사늑약(乙巳勒約)이 체결됨으로 인하여 벼슬을 단념하고 학문에 열중하였다. 1930년 『()』 간행에 참여하였으며, 1934년 기우만의 영당(影堂)을 세웠는데 당시 왜정(倭政)이 가혹하여 모현...
    이칭별칭 원숙(元淑)| 정재(定齋)
  • 민치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칭별칭 운거(雲擧)| 농운(農雲), 화강(華岡)
  • 금성정의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의와 평가] 책은 한말 을미의병 당시 호남의병진의 의병활동을 살펴보는 데 중요한 사료적 가치가 있는 문헌이다. 『()』(기우만) 『독립운동사자료집』 3(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1)...
  • 기우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8년 2월 순천 조계산의 암자에서 동지‧문인들과 재거사를 꾀하던 중에 고종이 강제 퇴위당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북쪽을 향하여 통곡한 후 해산하고 은둔하였다. [저술활동] 유저로는 『』이 있다. [상훈과 추모] 1980년...
    이칭별칭 회일(會一)| 송사(松沙)|기참봉
  • 정음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옥이 비출판인에게 넘어갔다. 歲月도 江山도-崔暎海先生華甲紀念-(正音社, 1974) 大韓出版文化協會三十年史(大韓出版文化協會, 1977) 韓國出版論(全泳杓, 大光文化社, 1987)

고서·고문서(7)

  • 卷1 詩 立志, 存心, 修身, 三省, 白雲洞講會翌日行鄕約韻, 遊松雪軒, 登晩翠堂與金晩悟周瑞(玉相)金禹瑞(圭相)金舜瑞(鳳秀)共吟流螢, 敬次晩對亭板上韻, 義山書堂會話, 曉鷄, 客中除夜(二首), 漁翁(二首), 金剛山, 東林書堂與諸友共讌, 陶巖夜集, 八月旣望宿西山聽荷朴上舍穉玉...
    분야문학 | 유형문헌
  • 불록(紼錄)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916년 10월에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의 장례식에 참석한 사람들의 명단이 실린 문서이다. 모두 480명가량의 인물이 올라 있으며, 장례식 때 맡았던 직임명과 거주지도 나왔다.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조객록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조객록 | 현소장처장성 고산서원
  • 기우만(奇宇萬)의 『()』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은 松沙 奇宇萬의 문집으로 목록을 포함하여 원집 50권, 속집 2권 도합 52권 27책이며, 서문이나 발문이 없이 1931년문인 梁會甲등에 의해서 석판본으로 간행되었다. 기우만은 기정진의 손자로서 기정진의 학문을 계승하였다. 그는 많은 기정진의 문인들과 교유...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1931년 정기(鄭琦) 서간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2월 21일에 정기가 보낸 편지이다. 내용에서는을 간행하는 중에 종이를 사들이는 일을 말하고 있는데, 종이 값이 계속 올라서 걱정인지라 부쳐온 돈으로 무리해서 좀 많이 사 두었다는 말을 하고 있다. 이어서 재정이 궁핍한데도 무리해서 산 것은 형이 올 것을 믿고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장성 고산서원
  • 1931년 양회갑(梁會甲) 서간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을 간행하는 일은 19책에 이르렀는데 궁색함이 갈수록 심해진다는 말을 하고 있다. 추신으로는 궤 속에 있는 이불을 여름에 습기가 차기 쉬우니 온돌방으로 옮겨달라는 부탁을 하고 있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장성 고산서원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송해익의 시문집. 4권2책, 석인본. 1976년에 간행하였다. 권일과 권이에는 167제 222수의 시가 실려 있는데, 형식별로는 칠언율시가 176수로 압도적으로 많다. 권삼에는 서 34, 논 1, 서 3, 기 4, 설 2, 송 1편이 실려 있다. 권사에는 제문 27,

  • 기우만 / 奇宇萬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의병장(1846∼1916). 명성황후가 시해되자 의병을 조직하여 일본군과 싸웠다. 1906년 체포되어 감옥에서 복역했다. 석방된 후 1908년에 거사를 계획했으나, 고종이 퇴위당하자 해산하고 은둔생활을 했다. 저서에는《》이 있다.

  • 이적의 / 李適意 [종교·철학/유학]

    오경기의 딸이다. 1690년(숙종 16) 식년시 갑과 2위로 급제하였다. 무장현감, 고산찰바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이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