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송병순” 에 대한 검색결과 28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6)

사전(6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56) (1839-1912) 1839(헌종 5)-1912. 순국지사.
    이칭별칭 동옥(東玉)| 심석(心石)
  • 용학보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이 『중용』과 『대학』에 대한 중국 학자들의 주석에 의문이 있는 부분에 대해 우리나라 선현들이 주석한 것을 수집하여 해의(解疑)의 자료로 편찬한 책. [내용] 2권 2책. 목활자본. 1897년 그의 문인들...
  • 학문삼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이 학문을 하는 데 있어 가장 필요한 글을 여러 문헌에서 발췌하여 엮은 책. [내용] 3권 1책. 목판본. 1907년에 간행되었다. 권두에 자서와 김학진(金鶴鎭)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오승로(吳升魯)의
  • 조종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58(철종 9)∼1927. 조선 말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옥천(沃川). 자는 성훈(性薰), 호는 창암(滄庵). 아버지는 형규(亨圭)이며, 어머니는 풍천임씨(豊川任氏)로 상휴(相休)의 딸이다. 송병선(宋秉璿)ㆍ()에게
    이칭별칭 성훈(性薰)| 창암(滄庵)|소화둔인(小華遯人)
  • 홍정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문인이다.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스승이 울분을 참지 못하고 음독 자결하자, 그의 아우인 ()을 스승으로 모시고 수학하였으며, 이 때 스승으로부터 불이재란 호를 받았다. 그의 학통은 송시열(宋時烈)―권상하(權尙夏)―송병선으로 학맥을 이어 받...
    이칭별칭 우팔(禹八)| 강암(剛菴), 불이재(不二齋)

고서·고문서(200)

  • 이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兄主前 上書 伏問 發駕日 果抵校東 而其翌早無撓得達 氣候萬康 一祀凡需 亦無狼狽者否 伏慕且鬱 濟萬舍弟 尙此來留 而進士病祟 漸有向差之道 龍江梁雅 今方來到 察脉出劑 將試用伏計 而梁雅亦以無慮爲言 可幸可幸 一祀從用 物發出送 日氣如是太溫 未知能無致傷否也 餘火下倩艸 不備上書 丙申...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이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兄主前 上書 旱熱太甚 伏問日間 氣候若何 諸節亦一安否 伏慕伏慕 舍弟歷候校東 昨抵文山爲咸悅 兄弟所苦 纔校勘心翁集脫誤字亦難 直發 費過六七日 然後可以還歸矣 困暑甚苦 伏憐伏憐 餘因嶠儒行 略此不備上書 丁酉六月六日 舍弟 秉珣 白 奴馬先送 而歸時事 可悶可悶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이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以此中事勢見之 則禫祀前 似難還歸 然吉祀前 則不可不去矣 改題主書寶者 預須送言于西華主事 得無狼貝之端也 晩溪汝潤 可以書之 則預言似宜耳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이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補疑下卷五十八板 度物以度 則當爲矩絜 是本文然矣 而誤以絜矩爲印改之也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이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向到邑底聞之 則兵隊已歸 匪類揚談 似有更起之慮云 且有日下騷屑 大有危怖 此將何如 只歎生一一 不辰而已
    분야문학 | 유형문헌

신문·잡지(7)

주제어사전(8)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순국지사(1839∼1912). 송시열의 9세손으로 을사조약에 반대해 순절한 병선의 아우이다. 1865년 서원철폐령에 반대해 상소했으며 동학군이 봉기하자 향약을 보급해 향인을 교화했다. 1905년 형 병선이 자결하자 구국활동을 결심하고 ‘토오적문’을 지어

  • 경재집 / 景齋集 [종교·철학/유학]

    , 권11에 서(序) 11편, 기 27편, 권12에 발 15편, 권13에 명 3편, 잠 5편, 찬(讚) 1편, 전(箋) 1편, 상량문 3편, 축문 3편, 제문 4편, 묘갈문 1편, 행장 2편, 권14는 부록으로 박승동(朴昇東)의 행장과 ()의 묘갈명이 있다.

  • 송철헌시권 / 宋哲憲試券 [정치·법제/법제·행정]

    1887년 송철헌의 18세 때 시권. 부는 송병선, 생부는 , 조부는 면수, 증조는 흠학, 외조는 학생 한태원으로 본관은 청주이었다. 시축의 번호는 삼홍이었다. 시제는 "인사협어하천도비어상이무일리지불구"이었으며, 성적은 "차하"이다.

  • 화헌유고 / 華軒遺稿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서인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1년에 간행한 시문집. 5권 2책. 목활자본. 이 책은 1911년 서상엽(徐相曄)이 편집, 간행하였다. 『화헌유고』의 권두에 ()의 서문이 있다. 권말에 서상철(徐相轍)과 서상엽의 후지(後識)가 있다. 권1∼

  • 공묵당집 / 恭默堂集 [종교·철학/유학]

    宋膺洙)의 서문과 권2 끝에 익규와 기현의 발문이 있고, 권4 끝에는 ()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에 있다.권1에 부 1편, 시 61수, 만장 6수, 권2에 서(書) 21편, 서(序) 1편, 제문 1편, 행장 1편, 권3은 부록으로 행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