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송문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8)
- 한정당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송문흠(宋文欽)의 시문집. [내용] 8권 4책. 목판본. 1788년(정조 12) 사위 김광묵(金光默)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조카 시연(時淵)의 발문이 있다. 장서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 애라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홍제유(洪濟猷, 1689∼1721)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송문흠(宋文欽)이 구집(舊集)에 증보하여 편집한 것을 1776년(영조 52) 아들 송익필(宋益弼) 등이 중간하였다. 권두에 남유용(南有容)의 서문이 있고...
- 이윤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丹陵散人)이라 하였다. 윤리에 돈독하고 강직한 지조를 존중하여 이인상(李麟祥)과 절친한 벗으로 지냈으나 성품은 후덕하고 명료하였고, 큰아버지 태중의 영향으로 고기물(古器物)을 즐겼다고 한다. 노론의 문사들인 송문흠(宋文欽)‧김종수‧김무택(金茂澤)‧신소(申...이칭별칭 윤지(胤之)| 단릉(丹陵), 담화재(澹華齋), 단릉산인(丹陵山人)
- 경서집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을 소개한 다음, 자신의 견해를 밝히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여기에 나오는 학자로는 이황(李滉)을 비롯하여 조목(趙穆)‧김장생(金長生)‧송시열(宋時烈)‧유계(兪棨)‧임영(林泳)‧김창흡(金昌翕)‧한원진(韓元震)‧송문흠(宋文欽)‧임성주(任聖周)‧유숙기(兪肅基) 등이...
- 이인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비록, 서출이었지만 명문 출신답게 시문과 학식이 뛰어나 당시 문사들의 존경을 받았다. 그리고 후대의 문인과 서화가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학통은 김창흡(金昌翕)과 이재(李縡)로 이어지는 이기절충론(理氣折衷論)을 이어받았다. 그리고 이윤영(李胤永)‧송문흠...이칭별칭 원령(元靈)| 능호관(凌壺觀), 보산자(寶山子)
고서·고문서(3)
- 교동부(喬桐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佐郞, 朴弘儁爲戶曹佐郞, 李彙恒爲奉常正, 成世頊爲宗廟令, 李箕重爲載寧郡守, 李坰爲麻田郡守, 朴泰寧爲積城縣監, 尹東柱爲司饔奉事, 宋文欽爲童蒙敎官, 金相說爲繕工假監役, 李鳳齡爲濬源殿參奉, 喬桐府使單具樹勳, 安州牧使李日躋今加嘉善, 加資事承傳。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한정당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로 시마복이 옳다고 하였다. 答任仲思 (27) 이종제 임성주에게 답한 편지. 임성주는 스승인 李縡의 부고 소식을 전하면서 이 喪事에 생긴 變禮에 대해 자문을 구하고 송문흠이 이것에 답하였다. 주로 服制에 대한 내용이다. 與任仲思 (27) 이종제 임성주에게 보...분야문학 | 유형문헌
- 풍서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의 딸이다. 1727년(영조 3) 생원시에 합격했고, 宋文欽과 함께 과거 준비를 했다. 南有容과 吳瑗이 재능을 따를 수 없을 만큼 뛰어나다고 칭찬하여 이름이 널리 알려졌다. 義禁府 都事와 典牲暑 直長을 지내다가, 1740년 增廣文科에 급제하여 藝文館 檢閱, 兵曹佐郞을...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4)
-
송문흠 / 宋文欽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0∼1752).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과거에 뜻을 잃고 학문에 열중하였다. 동몽교관으로 발탁되었으나 사직하였고 이후 종부시주부·형조좌랑·문의현령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한정당집》이 있다.
-
이윤영 / 李胤永 [종교·철학/유학]
1714년(숙종 40)∼1759년(영조 35). 조선 후기의 문인화가. 이색의 14대손, 이기중의 아들, 이태중의 조카이다. 노론의 문사들인 송문흠·김종수·김무택·신소·황경원 등과 교유하며 지은 많은 시문이《단릉유고》·《단릉산인유집》에 실려 있다. 글씨는 예서와 전
-
송복흠 / 宋復欽 [종교·철학/유학]
깊어 한 이불 속에서 자고 서로 격려하면서 지냈다. 슬하에 3남 1녀를 두었는데, 모두 일찍 죽고 아들 송문흠이 있다.
-
한정당집 / 閒靜堂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송문흠의 시문집. 8권 4책. 목판본. 1788년(정조 12) 사위 김광묵이 간행하였다. 권말에 조카 시연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164수, 권2∼4에 서 88편, 권5∼7에 잡저 32편, 서 4편, 기 7편, 발 2편, 명 13편, 찬 2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