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송덕상”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
사전(12)
- 송덕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83(정조 7).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숙함(叔咸), 호는 과암(果菴). 시열(時烈)의 현손으로, 아버지는 교관 무원(婺源)이다. 1753년(영조 29) 좌의정 이천보(李天輔)의 천거로 세자익위사세...이칭별칭 숙함(叔咸)| 과암(果菴)| 문간(文簡)
- 이우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773년(영조 49)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사헌부지평ㆍ사간원정언ㆍ홍문관부수찬ㆍ교리를 역임하였다. 1781년 지평으로서 전 이조판서 송덕상(宋德相)이 왕위 계승에 대하여 올린 소에 흉역(凶逆)의 뜻이 있다 하여 옥에 갇히고 많은 유생들의 공격을 받자...이칭별칭 성익(聖翼)
- 신재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ㆍ화답ㆍ전송 등의 목적으로 지은 시가 수록되어 있다. 그밖에 「근화(槿花)」ㆍ「완월(翫月)」ㆍ「사귀(思歸)」 및 1762년(영조 38) 중궁전(中宮殿)에 올린 「입춘첩자(立春帖子)」 등이 실려 있다. 소ㆍ계에는 1781년(정조 5) 사헌부장령에 재임하면서 송덕상...
- 과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송덕상(宋德相)의 시문집. [내용] 8권 4책. 신연활자본. 1929년 그의 종6대손 규헌(奎憲)과 5대손 병엽(秉燁)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소‧연설(筵說), 권2‧3에 서...
- 조숭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성삼문(成三問) 등의 단종복위사건에 연루되어 아들 철산(哲山)과 함께 죽임을 당하였다. 1779년(정조 3) 경연관(經筵官) 송덕상(宋德相)의 상계에 의하여 구기(舊基)인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죽림리에 정려가 건립되고, 1791년에 단종묘정에 배향...이칭별칭 무백(武伯)| 죽촌(竹村)| 절민(節愍)
고서·고문서(25)
- 宋德相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700 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ITKC_MP_0597A_1700_020_0480 宋德相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0 第十統統首宋德尙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43년_상부내면(上府內面) 1843년 상부내면(上府內面) 第九下西里 10 第十統統首宋德尙 第一戶 業武宋德尙年伍拾甲寅本恩津父致晩祖世元曾祖有行外祖김德一本김海 率人女김召史年肆拾甲子等庚子戶口相准 第二戶 束伍軍鰥夫朴元戒年參拾玖乙丑本密陽父壬戌祖百行曾祖武...연도_면이름1843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九下西里
- 1910년 송덕상(宋德相) 칙명(勅命)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관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관고
- 1908년 송덕상 시장(宋德相諡狀)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시장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시장
- 과암선생문집(果菴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기타자료(1)
- 1946년 5월 31일 야센코가 이그나티예프에게 보내는 테러조직 체포 보고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하는 것입니다. 그들은 이런 목표를 갖고 5개월에 걸쳐 이 일당을 조직하였고, 그래서 당장 밝혀진 이 14명을 자기편으로 끌어들이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 14명은 모두 체포되어 수감되었으며, 그 조선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송탁상(Сон Так-Сан) 뒤에는 송덕상(...키워드테러, 황주군, 스메르시, 이승만, 김구 | 대표주제어테러분자 | 발신자야센코 | 수신자이그나티예프
주제어사전(6)
-
송덕상 / 宋德相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0∼1783). 1753년 좌의정 이천보의 천거로 세자익위사세마에 임명되었다. 이 후 자의·조지서별제 등을 거쳐 1767년 사헌부지평에 임명되었다. 정조가 즉위한 뒤 홍국영의 뒷받침으로 1776년 동부승지·이조참의·예조참의·한성부좌윤·좨주 등을
-
송덕상시장 / 宋德相諡狀 [정치·법제]
조선 중기의 문신 송덕상(宋德相)에 대해 시호를 추증하기 위해 1908년(융희 2)에서 1910년 사이에 김윤식(金允植)이 지어서 봉상사에 올린 시장. 이 시장은 중추원의장 김윤식이 지었다. 작성 시기는 문면에 나타나 있지 않으나, 1908년 10월 내지 1910년
-
송덕상증시문서 / 宋德相贈諡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고이조판서 송덕상(宋德相)에게 '문간(文簡)'이란 시호를 내리면서 발급한 칙첩. 문서에는 '박학다문왈문 정직무사왈간'이라 적어 문간이란 시호를 내린 연유를 적었다.
-
유당 / 柳戇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3∼1794). 1756년 지평으로, 박세채 문묘 배향을 반대하다가 삭직당하고 이후 1780년에 이명제에게 홍국영·송덕상의 일파라는 무고를 받아 파직되었다. 1788년에 특지로 동지중추부사에 복직되고 이어 형조참판·공조참판을 역임하였다.
-
경종수정실록 / 景宗修正實錄 [역사/조선시대사]
축소되었다. 1779년 7월, 경연관(經筵官) 송덕상(宋德相)은 『경종실록』의 수정본이 편찬되면 구본은 없애버리자고까지 했으나, 정조는 고례(古例)에 따라 양본을 함께 보존하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