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송달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
사전(21)
- 송달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08(순조 8)∼1858(철종 9).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은진(恩津). 호는 수종재(守宗齋). 송시열(宋時烈)의 8대손으로, 아버지는 흠학(欽學)이며, 어머니는 연일정씨(延日鄭氏)로 진사 치환(致煥)의 딸이다. 송치규(...이칭별칭 수종재(守宗齋)
- 정해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외가에서 양육되었으며, 1885년(고종 22) 추천에 의하여 선공감감역을 지냈고 후에 송달수(宋達洙)의 문인이 되었다. 일생 동안 근(勤)과 근(謹)을 토대로 심신을 수양하였으며, 그가 논의했던 주요내용도 인간의 의지행위에 보다 중점적인 가치를 부여하는 사상이...이칭별칭 경기(景箕)| 조암(照菴)
- 심황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마음이 담긴 선물. 伴書三種謹領 心貺不知所以○謝 而屢辱勤意 殊極不安, 송달수(宋達洙), 25-47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선명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돌아가신 아버지의 비명(碑銘). 先銘 尙未.筆 合下文拙又値應接之煩 稽緩至此 愧悚愧悚, 송달수(宋達洙), 25-47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합하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당초에, 원래. 先銘 尙未.筆 合下文拙 又値應接之煩 稽緩至此 愧悚愧悚, 송달수(宋達洙), 25-47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4)
- 고금도(古今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1058 B021058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哲宗 3年 12月 10日_013 ○持平林文洙啓曰, 請古今島爲奴罪人韓鼎鎭, 亟令王府拿來, 嚴鞫得情, 快正典刑。 措辭見上 新除授執義金炳駿, 時在京畿道驪州地, 掌令宋達洙, 時在忠淸道懷德地, 趙秉悳時在忠淸道藍浦...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고금도(古今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地, 宋達洙時在忠淸道懷德地, 請竝斯速乘馹上來事, 下諭。 答曰, 不允。 下諭事, 許遞。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현령(南海縣令)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5982 B035982 남해현령 南海縣令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哲宗 3年 11月 1日_015 , 參判兪章煥牌招不進, 參議李時愚進。 以李圭祊爲大司憲, 李濟達爲大司諫, 金炳駿爲執義, 申佐模爲司諫, 宋達洙·趙秉悳爲掌令, 林文洙·金達淵爲持平, 金永基爲獻納, 李裕奭·朴儀漢爲正...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가오고략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겸비했다는 의미가 있음을 논했다. 純祖大王追上尊號玉册文 (11) 純祖에게 尊號를 追上한 玉冊文이다. 洋邪를 물리쳐 正學을 떠받치고, 총명함과 叡智를 겸비하여 덕치를 이루었음을 강조했다. 大司憲宋達洙疏批 (13) 大司憲 宋達洙(1808∼1858)의 상소에 대한 批...분야문학 | 유형문헌
신문·잡지(2)
- 仁川私立永化學校經費로學徒父兄의捐助이...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仁川私立永化學校經費로學徒父兄의捐助이如左홈 崔應三 二十圓 朴道行 十五圓 朴三弘 鄭在洪 金連三 鄭敬壽 張乃興 金昌浩 朴乃興 姜海遠 최鳳賢 沈能德 李明化 各十圓 池相益 八圓 宋達洙 리平汝 各六圓 李亨來 張世益 金永璣 李於興 李光五 李仁模 李成九 李衡淳 李漢京 郭成益 李聖...게재일1907년 6월 15일 | 기사분류광고
- 國債報償義募金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김斗基 朴乃有 崔福連 김俊成 김永珉 沈二셥 鄭順宅 玄嗚九 鄭在學 김振連 玄景三 朴景先 朴道洪 △…△ 洪勝元 卜基業 康元錫 김銀弻 白基鎬 김炫泰 崔夏셥 姜昌根 千致德 李永順 申鼎三 文賢甫 李炳和 宋達洙 김景一 李春根 최陽瑞 김成七 徐相悅 各六十젼식 閔重植 權景鎬 崔興淳 ...게재일1907년 8월 11일 | 기사분류광고
주제어사전(6)
-
송달수 / 宋達洙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8∼1858). 송시열의 8대손이다. 교관을 거쳐 1847년 6품직에 올랐고, 1852년에 경연관·사헌부 지평·장령·부호군을 역임했으며, 1855년 승지에 이어 이조참의에 이르렀다. 성리학에 있어서는 주로 이이의 설을 따랐으며, 사람과 사물의
-
구암유고 / 龜巖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황이정의 서(書)·잡저·제문·문인록 등을 수록한 시문집. 상·하 2권 1책. 목활자본. 증손인 석진(錫進)이 편집하고, 후손 학연(鶴淵)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달수(宋達洙)·기정진(奇正鎭) 등의 서문과 권말에는 석진의 후서(後敍)와 학연의 발문이 있다
-
뇌천집 / 磊川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유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7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1책. 목활자본. 1857년(철종 8)에 6대손 진호(震浩)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기정진(奇正鎭)의 서문과 권말에 송달수(宋達洙)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
-
농와유고 / 聾窩遺稿 [종교·철학/유학]
만사 38수, 계(啓)·분황연운(焚黃宴韻)·명정운(明旌韻), 송달수(宋達洙)가 지은 묘갈명, 강재문인가마록(剛齋門人加麻錄)이 실려 있다. 본집에 수록된 시들은 각 체로 엄격히 분류되었으며, 당시의 동료들과 주고받은 시가 군데군데 보인다. 서간문은 저자가 스승 송치규(宋
-
공거문회 / 公車文會 [역사/조선시대사]
7편, 일강관(日講官) 김병국 등의 총 2편, 유일(遺逸) 송내희(宋來喜)·송달수(宋達洙)·김병준(金炳駿)의 3편, 비국유사당상(備局有司堂上) 김병국 등의 총 2편, 도승지 김병운(金炳雲) 등의 총 3편, 정언 이구익(李九翼)의 1편으로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