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송능상” 에 대한 검색결과 6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6)

사전(1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09(숙종 35)∼1758(영조 34).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사룡(士龍), 호는 운평(雲坪) 또는 동해자(東海子). 송시열(宋時烈)의 현손이다. 한원진(韓元震)의 문인이다. 윤봉구(尹鳳九)ㆍ이재(李縡...
    이칭별칭 사능(士能), 사홍(士弘), 사룡(士龍)| 운평(雲坪), 동해자(東海子)
  • 동방연원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행장(寒水齋權先生行狀)」ㆍ「황강서원묘정비(黃江書院廟庭碑)」ㆍ「남당한선생행장(南塘韓先生行狀)」ㆍ「성담송선생제문(性潭宋先生祭文)」 등이 수록되어 있다. 행장 5편은 이이(李珥)ㆍ김장생(金長生)ㆍ권상하(權尙夏)ㆍ한원진(韓元震)ㆍ()에 대한 것이고, 묘표ㆍ...
  • 석연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이기편전(人物理氣偏全)」과 「인물성동이」에서도 역시 한원진(韓元震)―()―송환기(宋煥箕)로 이어지는 그의 사승(師承)을 따라 호론을 지지하는 입장에서 논설을 펴고 있다. 책의 「구농서(求農書)」에서는 당시 사치로 인한 사회적 폐단을 지적하고 국본(...
  • 송근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게 입양되었다. 그의 형 달수(達洙)와 함께 송치규(宋穉圭)의 문하에서 성리학과 예학을 수학하여 이이(李珥)-송시열-한원진(韓元震)으로 이어지는 기호학통을 계승하는 동시에 ()-송환기(宋煥箕)-송치규로 이어지는 송시열의 가학을 전수하였다. [...
    이칭별칭 근술(近述)| 입재(立齋), 남곡(南谷)| 문헌(文獻)
  • 운평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서지적 사항] 10권 4책. 목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자와 간행 연도를 알 수 없다.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 등에 있다. [내용] 총목차는 없고, 각 권두...

고서·고문서(55)

  • 1758년(무인)12월에 雲坪 宋能相이 친구 西原韓某의 영전에 주는 제문이다.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이 시위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辛未扐月人日 弟 省禮 仙巖謝疏 暘下孝廬將命 省禮 去晦手疏 披承於積鬱之餘 三復慰浣 不審信後 僉孝履一味支嗇 弟 病狀轉痼 見者危之奈何 亨叔歸家 則方伯巡歷已過 走書往復於延豊 忙迫恐未及付送 然收聚其從兄弟家冊子 自爾遲延無怪矣 無論遺文與年譜 專意修整爲好 而但所謂戊己錄 太草略...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이 한원진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甲戌五月旣望 弟 能相頓 時伯老兄 上候狀 手決謹封 貽阻此久 尋常耿結 不審侍傍靜玩近如何 來牟大歉 調度想甚艱楚 何以料遣 而同堂均慶 婚嫁垂畢否 溪翁連遭服制 誌文事竟如何 文稿亦有緖業耶 弟 因病早衰 因飢添病 數月以來 益覺㱡㱡奈何 林厓一朞 駸駸而近 愴想何言 而顧此奉老者 已不得出二舍...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이 한원진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乙卯正月十七日 門下 上書 先生前 謹再拜上書 手決謹封 春寒比酷 伏不審道體啓居若何 嗣音之難 如絶域 一心懸慕 何以自已 頃自宋村 附書于葛山便 未知能已傳達耶 小生近與老親 俱得寒疾 彌淹旬餘 而不減歇 私悶私悶 移次之計 果定何所 能無退轉否 不勝菀慮 老先生行狀 亦已滋筆耶 安沃川...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이 한원진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戊午四月十九日 門下小生 頓首 歲改春盡 而一切阻聞 區區慕用 政爾金臺來致下書 拜審適來 令胤伯哥 久患重病 其眷內一竝軫痛 何等災厄 伏想衰鬢益種種不禁白矣 深用歎惋 未知卽日 皆向平復 而道體安否 更何如 屢空二字 此顔氏之所嘗不改其樂者 然病憂煎心 而食淡又如是 雖在壯者 尙足以致損...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0∼1758). 송시열의 현손으로 한원진의 문인이다. 1739년 5월 송인명의 천거로 시강원 자의가 되었다. 1750년 정우량이 우리 나라의 도통에 김장생을 넣지 않고, 윤증 부자를 언급하자 노론의 입장에서 도통에 대해 아뢰었다. 1752년 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