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송강가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
사전(28)
- 송강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총 23장에 <관동별곡>‧<사미인곡>‧<속미인곡>‧<성산별곡>‧<장진주사> 및 단가 5수와 이선의 발문, 정실의 후기 등이 수록되어 있다. 관서본은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송강가사≫에 수록되어 있는 작품 중 <관동별곡>은 정철이 강원도 관찰사로...
- 송강가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중기의 문신인 정철(鄭澈, 1536-1593)의 가사와 시조를 수록한 시가집.정의조선 중기의 문신인 정철(鄭澈, 1536-1593)의 가사와 시조를 수록한 시가집.[국어국문학자료사전] | 문광부표기Songgang gasa | MR표기Songgang ka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자상특사황국옥당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조 명종 때 송순(宋純)이 지은 시조. [구성 및 형식] 정철(鄭澈)의 가사와 단가를 모은 『송강가사(松江歌辭)』 성주본(星州本)에는 정철의 작품으로 실려 있으나 송순의 작품임이 확실하다. 송순의 문집인 『면앙집(俛仰集)』 권...
- 훈민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또는 ‘권민가(勸民歌)’라고도 한다. 『송강가사(松江歌辭)』에 실려 있다. 송나라 신종(神宗) 때 진양(陳襄)이 지은 「선거권유문(仙居勸誘文)」을 바탕으로 창작되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1519년(중종 14) 김정국(金正國)이 편찬한 『경민편(警...이칭별칭경민가|권민가
- 정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실려 있다. 상당히 중복되기는 하나 성주본(星州本)과 이선본(李選本) 『송강가사(松江歌辭)』에도 많은 창작시조가 실려 있다. 그의 작품세계는 대체적으로 임금을 사모하고 백성을 사랑하는 사상을 저변에 깔고 있다. 이 외에도 훈훈한 인정을 느끼게 하는 인간미...이칭별칭 계함(季涵)| 송강(松江)| 문청(文淸)
고서·고문서(8)
- 송강가사(松江歌辭)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가사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숑강가사(松江歌辭)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저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저 박 남자 울산광역시 흑룡강성(黑龙江省) 영안현(宁安县) 강동향성광촌 5 2 저, 문제풀이, 방송, 듣게, 송강가사...대표표제어저 | 성씨박
- 將進酒辭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욱새 속새 덥가나모 白楊애 가기곳가면 누른 흰 비 굴근 눈 빗과 굴근 눈 쇼쇼리 람불제 뉘 盞 먹자고 믈며 무덤우 진납이 람블제야 뉘우 엇디리 〈e〉松江歌辭下〈/e〉구분잡가 | 편저자이왕직 아악부
- 가사집 범례. 목차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1744 잡가 가사집 12036 1940 신태화 삼문사 우현기 박인환 ¥200 가사집 범례. 목차 凡例 一, 本集은 朝鮮의 散逸한 歌詞를 俗歌集, 靑丘永言, 歌謠集成, 龍飛御天歌, 月印千江曲, 松江歌辭, 老溪集, 其他 先賢文...구분잡가 | 편저자신태화
신문·잡지(2)
- 월간야담_1939_06_0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송강가사-우미인곡 정철 48 내지야담-장내의적 구송 52 만화원 편집국 58 일문...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9
- 월간야담_1939_06_0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항간패담-이계취처 소파, 이경근 畵 29 출천지효-홍차기애화 해동초인, 경근 畵 36 송강가사-속미인곡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9
주제어사전(7)
-
송강가사 / 松江歌辭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의 문신·문인인 정철의 가사와 시조를 수록한 시가집. 필사본으로 전하는 것도 있으나 온전하지 못하다. 목판본으로 황주본·의성본·관북본·성주본·관서본의 5종류가 알려져 있다. 이 중 의성본과 관북본은 현재 전하지 않는다.
-
속미인곡 / 續美人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선조 때 정철(鄭澈)이 지은 가사. 4음보 1행으로 따져 48행이며, 기본 율조는 3·4조가 우세하다. 작품 연대는 정철의 나이 50세(1585)에서 54세(1589) 사이로 추측되고 있다. 군왕을 그리워하는 심정을 은유적으로 노래하였다. 이 작품은 『송강가사
-
장진주사 / 將進酒辭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정철(鄭澈)이 지은 사설시조. 『송강가사 松江歌辭』 및 『문청공유사 文淸公遺詞』에 실려 전하며, 『청구영언』·『근화악부 槿花樂府』 등 각종 가집(歌集)에도 널리 수록되어 있다. 『순오지 旬五志』에는 이 노래가 이백(李白)·이하(李賀)의 명시인 「장진주 將
-
사미인곡 / 思美人曲 [문학/고전시가]
≪송강가사 松江歌辭≫·≪문청공유사 文淸公遺詞≫ 등에 실려 전한다. 작자는 50세되던 1585년 8월에 당파싸움으로 인해, 사헌부와 사간원의 논척을 받고, 고향인 창평(昌平)에 은거한다. 이때 임금을 사모하는 정을 한 여인이 그 남편을 생이별하고 연모하는 마음에 기탁하여
-
성산별곡 / 星山別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선조 때 정철(鄭澈)이 지은 가사. 총 84절(행) 168구. 3·4조가 주축을 이루고 있으며, 4·4조, 3·3조, 2·4조 혹은 2·3조, 4·3조 등도 더러 있다. 『송강가사(松江歌辭)』·『송강별집추록유사(松江別集追錄遺詞)』·『서하당유고(棲霞堂遺稿)』 등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