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송갑조” 에 대한 검색결과 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1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74(선조 7)∼1628(인조 6).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원유(元裕), 호는 수옹(睡翁). 참봉 세량(世良)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봉사(奉事) 구수(龜壽)이고, 아버지는 의빈부도사(儀賓府都事) 응기...
    이칭별칭 원유(元裕)| 수옹(睡翁)| 경헌(景獻)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조선 광해군~인조 이기순 이범직 2009 원유(元裕) 수옹(睡翁) 경헌(景獻) ...
  • 송주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50(효종 1)∼1692(숙종 18).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서구(敍九), 호는 봉곡(鳳谷). 봉사(奉事) 갑조(甲祚)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시영(時瑩)이고, 아버지는 기태(基泰)이며, 어머니는 이정...
    이칭별칭 서구(敍九)| 봉곡(鳳谷)| 정간(貞簡)
  • 정절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대전광역시 동구 가양동에 있었던 서원. [내용] 1684년(숙종 1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송유(宋愉)‧박팽년(朴彭年)‧()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01년(숙종 27)에
  • 송시희(宋時熹)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恩津) 충청도 회덕(懷德) 충청도 청주(淸州) 저자산(楮子山)의 선영 송귀수(宋龜壽) 송응기(宋應期) () 선산곽씨(善山郭氏): 곽자방...

고서·고문서(7)

  • 1626년 ()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625년(인조3)8월 25일에 가 찰방안방준에게 보낸 편지이다. 는 평소에 안방준의 기풍을 듣고 흠모한 나머지 조헌의 아들 조완도(趙完堵)와 함께 먼 길을 찾아왔으나, 마침 안방준이 출타 중이어서 만나보지 못한 채 서글픈 심정을 이 편지에 담아 남겨두고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 수옹선생일기(睡翁先生日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수옹선생일기』는 가 1624년부터 1628년까지 쓴 일기로 이괄의 난 때에 임금을 공주로 호종한 일과 정묘호란 때에 세자를 완산으로 호종한 일 등 주로 변란시의 자신의 행적을 소상히 기술해 둔 것이다. 이 일기는 당대에 벌어진 일련의 역사적
    내용분류개인-생활-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수옹선생일기(睡翁先生日記)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개인-생활-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수옹선생일기(睡翁先生日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일기는 (, 1574~1628)가 1624년(인조 2) 1월 1일부터 1628년 3월 28일까지 5년간의 일을 기록한 일기로, 주요 내용으로는 1624년 이괄(李适, 1587~1624)의 난(亂)이 일어난 뒤 임금의 어가(御駕)를 쫓아가 공주(公州)까지...
    내용분류개인-생활-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추안급국안 : 정사년(1617, 광해군 9) 흉악한 상소[凶疏](7)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洎進士 洪曄生員進士沈僔生員李山立進士朴肜生員李 震瑞進士閔濬生員許脩進士韓尙古生員韓譓進士許璇生 員閔渫進士李方輿生員朴箮等上疎伏以臣等俱 以匪才幸添二百之選當國事艱危之日豈敢容黙甘出於 吏胥軍民之下而不忠之歸乎敢將一言仰籲天閽伏惟 殿下留神焉西宮之謀害吾君國人之所共知而義不共 戴天之讐也上...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01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주제어사전(4)

  • / [역사/조선시대사]

    1574년(선조 7)∼1628년(인조 6). 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원유(元裕), 호는 수옹(睡翁), 본관은 은진(恩津), 시호는 경헌(景獻)이다. 최립(崔岦)의 문인으로 1617년(광해군 9) 생원시와 진사시에 모두 합격하였으나 서궁(西宮)에 유폐되어 있는 인목대비

  • 송시묵 / 宋時默 [정치·법제/법제·행정]

    1605년(선조 38)∼1672년(현종 13).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 선산곽씨(善山郭氏)는 곽자방(郭自防)의 딸이다. 부인은 이시생(李蓍生)의 딸이다.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형이다. 대표관직으로는

  • 정절서원 / 靖節書院 [교육/교육]

    대전광역시 동구 가양동에 있었던 서원. 1684년(숙종 1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송유(宋愉)·박팽년(朴彭年)·()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1701년(숙종 27)에 김경여(金慶餘)와 송상민(宋尙敏), 1822년(순조 22)에

  • 곽현 / 郭鉉 [종교·철학/유학]

    1575(선조 8)∼1661(현종 2).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인의 곽자견, 어머니는 찰방 정유건의 딸이다. 조헌과 김장생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송시열의 아버지 와 교분이 두터웠다. 1623년 인조반정 뒤 학행으로 천거되어 창릉참봉에 제수되었으나 취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