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솔거노비” 에 대한 검색결과 6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5)

사전(2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공노비가 출현한 이후에 는 주거형태보다는 사회경제적인 존재형태에 더 강조성을 두면서 앙역노비와 같은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다. [내용 및 변천] 의 주된 소임은 주인의 직영지(直營地)를 경작하는 일이었다. 이 밖에 노(奴)는 멀리 떨어져 있는...
    이칭별칭앙역노비|솔노비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주거 형태와 신역(身役)의 부담 형태에 따라 구분한 사노비(私奴婢)의 한 형태.
    정의주거 형태와 신역(身役)의 부담 형태에 따라 구분한 사노비(私奴婢)의 한 형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solgeo nobi | MR표기solgŏ nob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솔노비질(率奴婢秩), 외거노비(外居奴婢), 호구식(戶口式) 사회사회구성원/천민 개념용어 조선 문숙자 [정의] 주인집이 거느리는 범위 안에 거주하면서 노동력을
    관련어솔노비질(率奴婢秩), 외거노비(外居奴婢), 호구식(戶口式)
  • 외거노비(外居奴婢)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외거노비 외거노비 外居奴婢 각사노비(各司奴婢) 경거노비(京居奴婢), (), 납공(納貢), 선상(選上) 사회사회구성원/천민 개념용어 조선 문숙자 [정의] 각사노비 중 서울 이...
    상위어각사노비(各司奴婢) | 관련어경거노비(京居奴婢), 솔거노비(率居奴婢), 납공(納貢), 선상(選上)
  • 사환노비(使喚奴婢)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환노비 사환노비 使喚奴婢 사노비(私奴婢) (), 앙역노비(仰役奴婢), 사환질(使喚秩) 사회사회구성원/천민 개념용어 조선 문숙자 [정의] 사노비 중 주인집의 온갖 집안일에
    상위어사노비(私奴婢) | 관련어솔거노비(率居奴婢), 앙역노비(仰役奴婢), 사환질(使喚秩)

고서·고문서(43)

  • 1834년 이만송(李晩松) 호구단자(戶口單子)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의동면 토계리 5호에 사는 이만송이 1834년에 거주지의 관청인 예안현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이만송의 당시 나이는 30세였고, 부양가족은 모 김씨와, 처 임씨가 있었다. 는 2구가 있었는데, 1구는 이 호구단자를 제출하기 전에 죽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846년 이효수(李孝脩) 호구단자(戶口單子)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46년에 이효수가 가족과 의 현황을 기록해서 관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이효수의 나이는 47세이고, 양월리는 현재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양월리이다. 1804년 이효수의 부 이인원이 호구단자를 보고할 당시에는 주소가 경주부 북면 안강현 양월방 12통 1호였...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경주 양월 경주이씨 양월문중
  • 1801년 이인원(李仁元) 호구단자(戶口單子)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01년 이인원이 자신의 가족과 노비를 기록해서 관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안강현 양월리의 현재 행정구역은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양월리이다. 이인원(1773~1836)의 당시 나이는 29세이다. 부양가족은 모인 황씨(53세)와 처인 유씨(26세)만 있다. ...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경주 양월 경주이씨 양월문중
  • 1813년 김시찬(金是瓚) 호구단자(戶口單子)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하지만 현재의 문서에는 색이 변했는지 보이지 않는다. 를 기록한 부분도 상당부분 잘려져 나갔다.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837년 이만송(李晩松) 호구단자(戶口單子)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의동면 토계리 3통 1호에 사는 이만송이 1837년에 예안현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보고 당시 이만송의 나이는 33세였고, 부양가족은 모 김씨와 처 임씨, 동생 이만백이다. 는 1구가 있었는데, 이 호구단자를 제출하기 전에 죽었다. 1834년의 호구단자에는 2...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주제어사전(3)

  • / [사회/사회구조]

    주거 형태와 신역의 부담 형태에 따라 구분한 사노비의 한 형태. 외거노비(外居奴婢)에 대칭되는 용어로서, 주로 주인과 같이 살거나 주인집 근처에 거주하면서 직접적인 노동력을 제공하는 노비를 말한다. 그러나 이것은 사노비의 출현 이후 어느 단계까지의 일반적인 존재 형태

  • 연잉군준호구 / 延礽君准戶口 [정치·법제]

    1714년(숙종 40) 한성부에서 연잉군(延礽君)에게 1714년에 작성한 호구장적에 의거하여 발급한 준호구. 한성부인 3과와 주협무개인이 날인되어 있다. 당시 북부 의통방 연추문계 제7통 제5호에 거주하고 있던 연잉군의 사조, 처 달성군부인 서씨의 사조 그리고

  • 연잉군호구단자 / 延礽君戶口單子 [정치·법제]

    1714년(숙종 40) 연잉군이 한성부에 제출한 호구단자. 당시 연잉군은 오위도총부 도총관으로 21세임을 기재하였다. 그리고 주거지와 사조, 처 달성군부인 서씨의 사조를 기록하였고, 하단에 따로 를 기록한 부분에는 종이를 부착해서 수정한 부분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