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손처눌” 에 대한 검색결과 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

사전(1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53(명종 8)∼1634(인조 12). 조선 중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일직(一直). 자는 자는 기도(幾道), 호는 모당(慕堂). 할아버지는 현감 치운(致雲)이다. 성주(星州) 출신.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장현광(張顯光)ㆍ서사원(...
    이칭별칭 기도(幾道)| 모당(慕堂)
  • 청호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에 있는 서원. [내용] 1694년(숙종 20)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과 손조서(孫肇瑞)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55년(영조 31)에 유시번(柳時藩),...
  • 혜산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여 오던 중 1868년에 훼철되었고 이후 철운재(徹雲齋)로 편액되었다. 1971년 혜산서원(惠山書院)으로 개칭하고 중건하여 손공량(孫洪亮)‧()‧손린(孫遴)‧손우남(孫宇男)의 사위(四位)를 추향(追享)하였다. 유교대사전 ...
    연계항목혜산서원(惠山書院)
  • 모당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3권 2책. 목판본. 1784년(정조 8) 후손 양겸(養謙)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광정(李光靖)의 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ㆍ2는 시, 권3은 서(書)ㆍ...
  • 서재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서 수학하였다. 성리학에 잠심(潛心), 궁구(窮究)하고 명리(名利)를 탐내는 마음이 없었다. 정사철(鄭師哲)ㆍ() 등과 도의로 교제하며 향풍(鄕風)의 교화에 힘썼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그의 형 득겸(得謙)과 함께 의병을 모집...
    이칭별칭 화익(和益)| 죽계(竹溪)

고서·고문서(6)

  • 兵馬節度使에게 올린 狀이다. 백성들이 威嚴에 복종하고 德化에 감읍하였음을 칭송하였다. 書 答孫幾道(處訥) 16 寒岡 鄭逑의 문인인 慕堂 (1553~ 1634)에게 보낸 답장이다. 愚伏 鄭經世(1563 ∼1633)의 일에 대해 염려하면서, 사람이 세상에 태어나...
    분야문학 | 유형문헌
  • 다. 寒岡 鄭逑(1543∼1620)와 樂齋 徐思遠(1550∼1615)의 문인이며, 慕堂 (1553∼1634)과 愚伏 鄭經世(1563∼1633)와 교유하였다. 心性命에 대한 저술이 있고, 36세에 사마시에 합격한 뒤 39세의 일기로 사망하였다. 아버지는 槐軒 郭再謙...
    분야문학 | 유형문헌
  • 훈지양선생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靑湖鄕賢祠講堂重修記 1725. 達城 黃靑洞에 있는 尙賢祠의 기문. 이곳은 의 사당으로, 그 곁에 강당을 지어 고을 선비들을 가르치는 곳으로 삼았다. 이곳을 중수하여 興敎堂, 格致齋, 誠正齋, 進修齋, 博約齋, 入德門 등을 지었다는 내용이다. 文閒堂孝碑閣重修記 ...
    분야문학 | 유형문헌
  • 고계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 錦浦 金是聲(1602∼1676)의 行狀. 성명, 자호, 선후가계, 생몰년, 장지 등과 慕堂 에게 배웠으며 文武를 겸비하여 昭顯世子를 따라 瀋陽으로 扈從하기도 했던 행적과 咸鏡北兵馬使를 비롯해 捕盜大將, 會寧府使를 역임한 관직생활 등을 기록한 내용. 贈兵曹...
    분야문학 | 유형문헌
  • 通訓大夫平壤 庶尹洛陰都公墓碣銘(幷序) 40 洛陰都慶兪(1596∼1637)의 묘갈명이다. 자는 來甫, 호는 洛陰, 본관은 八莒이며, 郡守 를 지낸 都元亮과 玄風郭氏(郭趁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려서 慕堂에게 배우고, 성장해서는 맏형 翠厓都應兪를 따라 寒岡鄭逑‧...
    분야문학 | 유형문헌

기초학문(1)

  • 조선중기 한강학파의 전개에서 본대구지역 성리학의 특징 — 곽재겸郭再謙서사원徐思遠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추제협, 게재일 : 2018
    17468 추제협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학진흥원 2018 조선중기 한강학파의 전개에서 본대구지역 성리학의 특징 — 곽재겸郭再謙서사원徐思遠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
    유형논문 | 게재일2018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1553(명종 8)∼1634(인조 12). 조선 중기의 학자. 할아버지는 치운이다.정구의 문인으로 장현광·서사원 등과 교유하면서 학문과 효행으로 이름이 높았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왜군과 투쟁하려다가 친상을 연이어 당하여 실행하지 못하였다. 난 후 향교의

  • 혜산서원 / 惠山書院 [교육/교육]

    齋)로 편액되었다. 1971년혜산서원(惠山書院)으로 개칭하고 중건하여 손공량(孫洪亮)·()·손린(孫遴)·손우남(孫宇男)의 사위(四位)를 추향(追享)하였다.

  • 정구 / 鄭逑 [종교·철학/유학]

    연구에 전념하였다. 문인으로는 서사원·송원기··한준겸·문위·장흥효·이윤우·허목·황종해 등이 있다. 저서로는 <가례집람보주>, <창산지>, <심경발휘> 등이 있다.

  • 청호서원 / 靑湖書院 [종교·철학/유학]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에 있는 서원. 1694년(숙종 20)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과 손조서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55년(영조 31)에 유시번, 1764년에 정호인을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왔다.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