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손중돈”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6)
사전(15)
- 우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손중돈(孫仲暾)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5대손 호익(晧翼)과 후익(厚翼)이 편집, 1900년에 간행하였다. 권말에 후익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
- 손중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해동잡록(海東雜錄)』 손중돈 1463(세조 9)-1529(중종 24).조선 중기의 문신. 공조판서,이조판서,세자시강원빈객을 지낸 뒤 경상도,전라도,충청도,함경도의 관찰사를 지내고, 중종 때 청백리...이칭별칭 대발(大發)| 우재(愚齋)| 경절(景節)
- 孫仲暾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0729 孫仲暾 인물 泰發, 吏判, 淸儉, 淸績, 景節 慶州 雞川君昭, 我成廟 D_04_03_60 대동운부군옥 4권 3장 60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4권 3장 6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손종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36(인조 14). 조선 중기의 무신. [내용]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고경(考卿). 우참찬 중돈(仲暾)의 현손이다. 어려서는 문학에 뜻을 두었으나 장성하여서는 무과에 급제하였다. 1618년(광해군 10)에 광해군이 인목대비(仁...이칭별칭 고경(考卿)
- 평종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川令公○○如何, 손중돈(孫仲暾), 051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141)
-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경주 양동 경주손씨 서백당
- 1494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494년(성종25) 이조에서 성종(成宗)의 명을 받아 손중돈(孫仲暾)을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현재 보존상태가 매우 좋지 못하여 새로 임명되는 관직과 작성연월일, 문서발급에 관여한 이조 관리의 서명과 관인(官印)의 일부 만...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경주 양동 경주손씨 서백당
- 1489년 손중돈(孫仲暾) 홍패(紅牌)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489년(성종 20) 4월 10일에 손중돈이 문과 병과 10인으로 급제하였기 때문에 발급한 홍패이다. 문과나 무과 같은 대과에 합격시에는 그 합격 증서로 홍패를 내려주고, 진사 생원시 같은 소과의 경우에는 백패를 내려준다. 홍패와 백패에는 [과거지보(科擧之寶)]를내용분류정치/행정-과거-홍패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홍패 | 현소장처경주 양동 경주손씨 서백당
- 1490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490년(성종 21) 이조가 국왕의 명령을 받아 손중돈을 종사랑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이러한 문서를 고신(告身)이라고 한다. 우선 연월일 좌측에 '文科丙科例超'이라고 적혀 있는데, 이는 고신의 발급사유를 적은 것이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문과에 합격한 경우 등급에 따...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경주 양동 경주손씨 서백당
- 1491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491년(성종 22) 이조가 국왕의 명령을 받아 손중돈을 종사랑 행 성균관학유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이러한 문서를 고신(告身)이라고 한다. 종사랑란 조선시대 문신의 관품을 나타내는 용어로서 정9품에 해당한다. 4품이하 고신을 교첩(敎牒)으로 부르기도 한다. 교첩에는...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경주 양동 경주손씨 서백당
주제어사전(6)
-
손중돈 / 孫仲暾 [종교·철학/유학]
1463(세조 9)∼1529(중종 24). 조선 중기의 문신. 등 증손, 할아버지는 사성, 아버지는 소, 어머니는 유복하의 딸이다. 김종직의 문인이다. 1489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문관봉교를 거쳐 여러 청환직을 역임하였다. 1497년(연산군 3) 양산군수, 이
-
경절공 손중돈 및 정부인 최씨의 묘비‧석인상 / 景節公 孫仲暾 ─ 貞夫人 崔氏─ 墓碑·石人像 [예술·체육/체육]
강서원에 배향되었다. 손중돈 묘역 전면에는 묘비와 2기의 문인석이 있으며 묘역의 향 우측에는 신도비가 있다. 신도비는 채제공(蔡濟恭)이 찬했고 강세황(姜世晃)이 전(篆)했다. 묘비의 형태는 비의 상단에 용 문양이 있고 비좌가 사각형인 이수방부형(螭首方趺形)이다. 묘비의
-
속수서원 / 涑水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속암리에 있는 서원. 1509년(중종 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신우(申祐)·손중돈(孫仲暾)·김우굉(金宇宏)·조정(趙靖)·조익(趙翊)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대원군의
-
경주 양동 관가정 / 慶州良洞觀稼亭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에 있는 조선전기 손중돈 관련 주택.보물. 보물 제442호. 성종 때의 문신인 손중돈(孫仲暾)의 고택(古宅)이다. 서향받이 언덕에 사랑채와 안채가 ㅁ자형으로 자리잡고, 동북쪽에 사당을 배치하고, 담장으로 양쪽 측면과 뒷면을 둘러막아, 주택의 앞쪽
-
손여두 / 孫汝斗 [종교·철학/유학]
1643년(인조 21)∼1713년(숙종 39). 조선 중기의 문신. 손중돈의 6세손, 부친은 손현, 모친은 정호의 딸이다. 갈암 이현일 문하에서 성리학을 수학했다. 입암서원 근처에 집을 짓고 기거하면서 서원에 나가 유생들에게「역학도설」과 성리서 등을 강독하였다. 저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