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손병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2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9)
사전(124)
- 손병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손병희는 두령으로서 대도소장 김연국(金演局) 등과 함께 남접에 대한 성토를 주장하였다. 그러나 오지영(吳知泳)의 중재로 1894년 보국안민의 기치 아래 타협해 갈등은 해소되었다. 그 뒤 김연국의 뒤를 이어 북접통령(北接統領)이 되어 통령기(統領旗)를 받고...이칭별칭 소소거사(笑笑居士), 의암(義菴)
- 손병희선생유허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충청북도 청원군 북이면 금암리 에 있는 동학의 3대 교주이자 천도교의 창시자인 손병희의 생가관련 유적. [내용] 충청북도 기념물 제30호. 생가는 정면 4칸‧측면 1칸 반의 건평 10평 정도의 초가...연계항목손병희선생유허지(孫秉熙先生遺墟址)
- 천도태원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06년 손병희(孫秉熙)가 천도(天道)를 풀이하여 펴낸 책. [내용] 1905년 12월 1일 동학에서 천도교로 교단의 명칭을 바꾼 손병희는 새 이름을 널리 알리기 위하여 이 책을 지어 출판하였다. 이 책은 세개의 도표와 이 도표를 풀이...
- 손병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03. 동학 농민운동가. [내용] 본관은 밀양(密陽). 광택(光澤)의 손자, 두흥(斗興)의 아들로 어머니는 경주최씨이다. 동학(일명 천도교)의 3대 교주 손병희(孫秉熙)의 아우이며 최시형(崔時亨)의 수제자 중의 한 사람인 손천민(...
- 임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를 졸업한 뒤 서울의 여러 사립학교에서 일본어를 가르쳤다. 손병희(孫秉熙) 등이 주축이 된 거족적인 독립운동계획에 참여하여, 일본정부와 귀족원ㆍ중의원에 조선독립에 관한 의견서와 통고문 및 선언서를 전달하는 임무를 맡았다. 이에 2월 27일 오후 7시 최남...이칭별칭 우정(偶丁)
고서·고문서(53)
- 1905년 손병희(孫秉熙)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905년에 북접대도주 손병희가 보낸 간찰이다. 이 편지에서 지난 40년간 동학교도들이 많은 고초를 겪었으나 앞으로는 좋은 일들이 있을 것이니 두려워하지 말고 생활하라고 하였다. 원문에 '외국통신(外國通信)'이라고 쓴 것으로 미루어 일본에 머물러 있는 동안에 쓴 것으...내용분류종교/풍속-기타종교-천도교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 1906년 천도교대도주(天道敎大道主) 손병희(孫秉熙) 공함(公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공함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공함 | 현소장처안산 부곡 진주유씨 경성당
- [첨부] 宣言書, 1919년 3월 [“미공개 이승만문서” 정리·분류 및 DB화 사업 | 연세대학교]05121 우남A-3-2-0144-5 [첨부] 宣言書, 1919년 3월 宣言書, 1919년 3월 문서 1919.3 孫秉熙 외 1 한국어 우남A-3-2-0144의 첨부문서 1948년 이전 일반문서 3.1운동과 일제 식민 통치자료명[첨부] 宣言書, 1919년 3월 | 자료형태문서 | 작성일1919.3 | 작성자孫秉熙 외 | 작성언어한국어
- 이현화(李現嬅) 신도증(信徒證)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모년에 천도교 중앙총부에서 이현화에게 발급한 신도증 61294호이다.천도교는 동학을 모태로 하여 1905년 손병희(孫秉熙)에 의해서 창도된 신흥민족종교이다.내용분류종교/풍속-기타종교-천도교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인증서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 천도교(天道敎) 신도증(信徒證)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천도교 중앙총부에서 발행한 신도증이다. 형식만 인쇄되어 있고 내용은 기록되어 있지 않다.천도교는 동학을 모태로 하여 1905년 손병희(孫秉熙)에 의해서 창도된 신흥민족종교이다.내용분류종교/풍속-기타종교-천도교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인증서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구술자료(1)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F-001A.mp3 F-001B.mp3 mp3 이보형 손병희 미상 남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서울대학교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손병희
기초학문(3)
- 孫秉熙, 『準備時代』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466588 한국연구재단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14 孫秉熙, 『準備時代』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유형논문 | 게재일2014
- 해방 후 의암(義菴) 손병희(孫秉熙)에 대한 사회적 기억의 변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368258 한국연구재단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2013 해방 후 의암(義菴) 손병희(孫秉熙)에 대한 사회적 기억의 변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의암 손병희의 무체법경과 동학‧천도교의 수련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860413 한국연구재단 한국동학학회 2008 의암 손병희의 무체법경과 동학‧천도교의 수련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55)
- 민세안재홍전집 : 政治指導者로서의 孫秉熙氏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849 1949 3 1 1 安在鴻 안재홍 政治指導者로서의 孫秉熙氏 잡지 삼천리 기고문 정치 직접자료 4권 東學亂, 天道敎, 孫義庵 B19490300삼천01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教主大捐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텬도교쥬 손병희씨난 금화일쳔원을 일진회에 연보얏다더라게재일1906년 2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新聞將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텬도교쥬 손병희씨 쟝차 그교회즁 긔관신문을 발기로 쥰비즁이라더라게재일1906년 2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道師歸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텬도교션 손병희씨가 외국유람이 지우금 십유여년이라 월십일로 환국예뎡이라더라게재일1906년 1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教主賞春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텬도교쥬 손병희씨 작일 창덕궁안에 연회를 셜고 회원을 회동야 창회 기이명을 다리고 들어가셔 가무도 구경얏다더라게재일1906년 5월 3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60)
- 사람이 하늘이다 – 의암 손병희와 천도교_7주차_1차시
[K-종교의 이미지, 참여 그리고 실천: K-종교의 독자적 이미지 구축을 위한 멀티미디어 강의 및 다큐멘터리 플랫폼 | 서강대학교]제우와 동학의 종교성 6주차. 천지를 공경하는 신앙 – 해월 최시형의 생태적 사유와 님의 영성 7주차. 사람이 하늘이다 – 의암 손병희와 천도교 8주차. 천도교의 개벽운동과 오늘날의 실천 9주차. 여신을 통해 본 한국의 종교 경관 46주차. 천신과 여신을 향한 여정강좌제목한국의 성스러운 경관과 신종교 II | 강의자이정은 교수, 박성혜 교수, 김용휘 교수, 김도현 교수, 옥복연 교수, 김신명숙 교수 - 사람이 하늘이다 – 의암 손병희와 천도교_7주차_2차시
[K-종교의 이미지, 참여 그리고 실천: K-종교의 독자적 이미지 구축을 위한 멀티미디어 강의 및 다큐멘터리 플랫폼 | 서강대학교]제우와 동학의 종교성 6주차. 천지를 공경하는 신앙 – 해월 최시형의 생태적 사유와 님의 영성 7주차. 사람이 하늘이다 – 의암 손병희와 천도교 8주차. 천도교의 개벽운동과 오늘날의 실천 9주차. 여신을 통해 본 한국의 종교 경관 47주차. 천신과 여신을 향한 여정강좌제목한국의 성스러운 경관과 신종교 II | 강의자이정은 교수, 박성혜 교수, 김용휘 교수, 김도현 교수, 옥복연 교수, 김신명숙 교수 - 사람이 하늘이다 – 의암 손병희와 천도교_7주차_3차시
[K-종교의 이미지, 참여 그리고 실천: K-종교의 독자적 이미지 구축을 위한 멀티미디어 강의 및 다큐멘터리 플랫폼 | 서강대학교]제우와 동학의 종교성 6주차. 천지를 공경하는 신앙 – 해월 최시형의 생태적 사유와 님의 영성 7주차. 사람이 하늘이다 – 의암 손병희와 천도교 8주차. 천도교의 개벽운동과 오늘날의 실천 9주차. 여신을 통해 본 한국의 종교 경관 48주차. 천신과 여신을 향한 여정강좌제목한국의 성스러운 경관과 신종교 II | 강의자이정은 교수, 박성혜 교수, 김용휘 교수, 김도현 교수, 옥복연 교수, 김신명숙 교수 - 사람이 하늘이다 – 의암 손병희와 천도교_7주차_4차시
[K-종교의 이미지, 참여 그리고 실천: K-종교의 독자적 이미지 구축을 위한 멀티미디어 강의 및 다큐멘터리 플랫폼 | 서강대학교]제우와 동학의 종교성 6주차. 천지를 공경하는 신앙 – 해월 최시형의 생태적 사유와 님의 영성 7주차. 사람이 하늘이다 – 의암 손병희와 천도교 8주차. 천도교의 개벽운동과 오늘날의 실천 9주차. 여신을 통해 본 한국의 종교 경관 49주차. 천신과 여신을 향한 여정강좌제목한국의 성스러운 경관과 신종교 II | 강의자이정은 교수, 박성혜 교수, 김용휘 교수, 김도현 교수, 옥복연 교수, 김신명숙 교수 - 사람이 하늘이다 – 의암 손병희와 천도교_7주차_5차시
[K-종교의 이미지, 참여 그리고 실천: K-종교의 독자적 이미지 구축을 위한 멀티미디어 강의 및 다큐멘터리 플랫폼 | 서강대학교]제우와 동학의 종교성 6주차. 천지를 공경하는 신앙 – 해월 최시형의 생태적 사유와 님의 영성 7주차. 사람이 하늘이다 – 의암 손병희와 천도교 8주차. 천도교의 개벽운동과 오늘날의 실천 9주차. 여신을 통해 본 한국의 종교 경관 50주차. 천신과 여신을 향한 여정강좌제목한국의 성스러운 경관과 신종교 II | 강의자이정은 교수, 박성혜 교수, 김용휘 교수, 김도현 교수, 옥복연 교수, 김신명숙 교수
기타자료(3)
- (실천기) 농촌 계몽 운동기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잡지 손병희 1967 9 문교경북 9호 경상북도교육위원회 137-140 4 ...범주1평생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손병희 | 사료철명문교경북
- 63. 일진회, 천도교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FD63.pdf pdf 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프랑스 외무부 외교문서(보고서) 1910년 6월 05일 서울 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루비에, 프랑스 외무부 장관 송병준, 윤시병, 이용구, 손병희...집필자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 작성연도1910년 | 작성월일6월 05일 | 발신자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 수신자루비에, 프랑스 외무부 장관
- 청우당 내 구파의 강화 사실 및 당 중앙위원회의 태도에 관한 보고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최수운[=제우], 최해월, 손의암 세 사람만을 천도교의 이념적 지도자로 인정하였습니다. 동학을 모태로 1905년 등장한 천도교는 서울에 중앙총본부를 두고 교세 확장을 이루다가 1921년 교회 체제를 중의제(衆議制)로 변경하였다. 1922년 손병희가 사망하면서 교회는 중...키워드청우당, 김달현, 구파, 신파, 보국당, 한민당, 한독당, 오세창 | 대표주제어청우당 내 구파의 강화 | 발신자북조선소련민정국장 직무대리 대좌 이그나티예프 | 수신자시티코프 상장 등
주제어사전(28)
-
손병희 / 孫秉熙 [종교·철학/천도교]
항일기의 동학인·독립운동가·교육사업가(1861-1922). 호는 소소거사(笑笑居士)·의암(義菴). 1894년 동학 북접통령이 되어 논산으로 나아가 전봉준과 합세하였다. 그러나 우금치 전투에서 패배하여, 함경도와 평안도 지방으로 피신하였다. 1897년 12월 제3세 교
-
손병희선생유허지 / 孫秉熙先生遺墟地 [역사/근대사]
충북 청원군 북이면 금암리에 있는 동학의 3대 교주이자 천도교의 창시자인 손병희의 생가관련 유적. 충청북도 기념물 제30호. 1961년에 탄생 100주년을 맞아 충북문화재보존회에서 생가 부근 야산에 유허비를 세우고 주위에 보호시설을 둘렀다. 묘소는 서울시 강북구 수
-
무체법경 / 無體法經 [종교·철학/천도교]
1910년에 간행된 천도교의 수행법을 밝힌 책. 손병희(孫秉熙)가 저술하고, 양한묵(梁漢墨)이 대필하였다. 무체법경이란 말은 무체지례(無體之禮)라는 말에서 인용한 것이다. 동학운동과 갑진개혁운동 등 사회운동에 치중하였던 천도교가 사회운동보다 종교적 수행에 치중하기 위
-
홍기조 / 洪基兆 [역사/근대사]
1865∼1938. 항일기의 독립운동가. 호는 유암(游菴). 동학에 들어가 동학혁명에 가담했으며, 1919년 손병희(孫秉熙) 등 천도교 간부들과 민족대표로서 서명한 33인의 한 사람으로, 3·1운동에 참여한 뒤, 검거되어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천도교의 도사·장로
-
손천민 / 孫天民 [종교·철학/신종교]
미상∼1900년. 동학의 지도자. 충청도 청주 출신. 1883년(고종 20) 손병희 등과 최시형을 찾은 뒤 최시형과 같이 수도와 문답을 하며 동학을 포교하였다. 1896년 최시형은 손병희·김연국과 그에게 도호를 내려 세 사람이 합심하여 교를 이끌어가도록 하였다. 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