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속절”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8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79)
사전(112)
- 속절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민간에서 축일로 지내는 명절(名節). 조선 시대 속절은 유교의 정통적인 제삿날과 구분되는 시속(時俗)의 제향일이라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종묘 제사에서 가장 중요한 제사는 사계절의 맹월 상순에 지내는 사시제(四時祭)이다. 이외 삭망제(朔望祭)와 속절제(俗節祭)가 있...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속절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제삿날 이외에 철이 바뀔 때마다 사당이나 조상의 묘에 차례를 지내는 날정의제삿날 이외에 철이 바뀔 때마다 사당이나 조상의 묘에 차례를 지내는 날 | 문광부표기sokjeol | MR표기sokchŏ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俗節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B2_D_0075 俗節 세시의례 祭禮, 祭三代 麗末, 朔望 尹龜生 家禮, 勝覽 D_19_05_08 대동운부군옥 19권 5장 8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9권 5장 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俗節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B2_S_0003 俗節 세시의례 正月吉, 三月三, 五月五, 七月七, 九月九, 六律, 重陽, 陽數之極, 上元, 中元, 月滿, 春秋, 流頭, 禳灾, 八月十五, 秋夕, 陵墓之祭, 冬至, 正朝, 端, 吉日, 臘, 䄍, 社, 土神, 寒食, 龍忌, 秦陵, 浴佛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0권 1장 3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속절(俗節)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속절 속절 俗節 제사(祭祀) 속절제(俗節祭), 속제(俗祭) 금형일(禁刑日), 사맹월(四孟月), 삭망일(朔望日), 오향대제일(五享大祭日) 생활 풍속풍속/행사 의식 행사 대한민국 고려~조선 김자운 ...상위어제사(祭祀) | 동의어속절제(俗節祭), 속제(俗祭) | 관련어금형일(禁刑日), 사맹월(四孟月), 삭망일(朔望日), 오향대제일(五享大祭日)
고서·고문서(281)
- 속절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속절 김 흑룡강성(黑龙江省) 가목사시(佳木斯市) 탕원현(汤原县) 탕왕향 태양촌 2 1 속절, 세월, 8월, 편지, 고국,...대표표제어속절 | 성씨김
- 俗節之儀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DM_00052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一 通禮_俗節 俗節之儀 俗節之儀 이익(李瀷, 1681~1763) 答鄭汝逸問目 DRAC_1:2:9:1Q “俗節獻”條註曰: “節, 如淸明、寒食、重午、中元、重陽之類.” 今淸明在寒食前一日, 然則連二日行獻禮耶?...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수속절차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수속절차 김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수화시(绥化市) 흥화향(兴和乡) 강남1조 3 2 수속절차, 소식, 형님, 이야기...대표표제어수속절차 | 성씨김
- 속절없는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속절없는 조 남자 길림성(吉林省) 영길현(永吉县) 토성자 신흥대대 2 1 속절없는, 세월, 동생, 34년, 기나긴세월,대표표제어속절없는 | 성씨조
- 人事門4_俗節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俗節 俗節, 以正月吉、三月三、五月五、七月七、九月九爲重, 皆六律之月. 不但九九, 餘五者皆重陽, 而九爲陽數之極, 故特稱也. 正月十五爲上元, 七月十五爲中元, 以月滿得名, 而春、秋之始也. 六月十五爲流頭, 麗時禳災之俗; 八月十五爲秋夕, 起於首露王陵墓之祭. 歲起於冬至, 年起於正...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구술자료(5)
- 김여막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12 A면 김여막 대담 1) 단가 사철가(04:56) 소리 김여막 북 이보형B면 김여막 대담 1) 수궁가 중 왕왈 연화다~방첨사 조개 등장(01:36) \"왕왈 연하다 수연이나 창망헌 진세간으\"라는 사설에서 시작함. \"어부에게 모두 다 잡히어 속절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여막
- 박봉술 수궁가 음반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가니까 어서 가란 말이야.\" 별 주부 곰곰 생각을 해 보니 저놈한틔 속절없이 돌렸구나. 하릴없어 수궁으로 들어가 버리고. 그때에 토끼란 놈은 살어왔단대서 금잔디 밭에 가 대그르르르 궁글며 귀를 털고 생방정을 떨고 한번 놀아 보는듸, 중중몰이(02:58) \"관대장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명환
- 박봉술 수궁가 음반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가니까 어서 가란 말이야.\" 별 주부 곰곰 생각을 해 보니 저놈한틔 속절없이 돌렸구나. 하릴없어 수궁으로 들어가 버리고. 그때에 토끼란 놈은 살어왔단대서 금잔디 밭에 가 대그르르르 궁글며 귀를 털고 생방정을 떨고 한번 놀아 보는듸, 중중몰이(02:58) \"관대장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봉술
- 박봉술 수궁가 음반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에 이르기를, 관방휼지세(觀蚌鷸之勢)허고 좌수어인지공(坐收漁人之功)이라, 휼조라는 새가 있어 수루루 퍼얼펄 달려들어, 휼조는 조개 물고 조개는 휼조 물고 서로 놓지 아니허다 어부 손에 모도 다 잽히어 속절 없이 모도 죽을 것이니, 세상 보내지를 못허리다.\" 아니리(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명환
- 박봉술 수궁가 음반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에 이르기를, 관방휼지세(觀蚌鷸之勢)허고 좌수어인지공(坐收漁人之功)이라, 휼조라는 새가 있어 수루루 퍼얼펄 달려들어, 휼조는 조개 물고 조개는 휼조 물고 서로 놓지 아니허다 어부 손에 모도 다 잽히어 속절 없이 모도 죽을 것이니, 세상 보내지를 못허리다.\" 아니리(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봉술
기초학문(3)
- 스페인어〈목적종속절〉의 통사적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마상영, 게재일 : 199513581 마상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서어서문학회 1995 스페인어〈목적종속절〉의 통사적 분석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유형논문 | 게재일1995
- ‘목적’ 종속절의 유형론적 특성과 한국어 학습자의 목적 관련 연결어미 습득 양상-‘-(으)러, -(으)려고, -고자, -도록’ 등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임채훈, 게재일 : 201446189 임채훈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앙어문학회 2014 ‘목적’ 종속절의 유형론적 특성과 한국어 학습자의 목적 관련 연결어미 습득 양상-‘-(으)러, -(으)려고, -고자, -도록’ 등을 중심으로- https:/유형논문 | 게재일2014
- When Things are Cumulated or Distributed Across Coordinate Conjuncts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명관, 게재일 : 2005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14109&local_id=10041564 등위접속절을 통하여 사물이 결합되고 분배될 때 https://www.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31)
- 투사신문_1950_0507_04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4일 1. 심사발표일 1950년 5월 15일 1. 수속절차 리력서 자서전 추천서 각 일 통씩 본인 신분증용 사진 2매 첨부 1950년 5월 5일 국립극장 총장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50_0507_04_02 | 책임주필한효
- 쏘베트신보_1953_0613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야·이·까둘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화회관 쏘련대외문화협회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의 많은 기업소들에서는 쏘련의 저명한 선반공 와씰리 꼴레쏘브가 창안한 금속절단의 새 방법을 성과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금년 초에 ◯◯공장에서는 기사 김병수 동무의...대표표제어쏘베트신보_1953_0613_04 | 책임주필야·이·까둘린
- 무역경제_1957_0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점 강의수 18 ICA원자도입사무해설 (하) 한은외국부외자과 20 수출입수속절차해설도표 23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7
- 지부생활_1994_1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동성진의 민속절 20 해란강에 원항의 돛을 올린 사나이 박득룡 22 수리촌장-박상철 박찬범 25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94
- 종합의학_1958_03_0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동통에 대한 외철수시상속절리술>(Chordotomy) ansxowns 41 광고4 45 폐농양의 폐절제요법 백창기,...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8
멀티미디어(43)
- 종속절과 연결어미 문숙영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가이드북_1차년도_(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종속절과 연결어미_10주차 종속절과 연결어미_10주차_1차시 한국어의 문법_10차시_01.mp4 한국어의 문법_10차시_01_국문.vtt강좌제목한국어의 문법 | 강의자문숙영 교수
- 종속절과 연결어미 문숙영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가이드북_1차년도_(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종속절과 연결어미_10주차 종속절과 연결어미_10주차_2차시 한국어의 문법_10차시_02.mp4 한국어의 문법_10차시_02_국문.vtt강좌제목한국어의 문법 | 강의자문숙영 교수
- 종속절과 연결어미 문숙영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가이드북_1차년도_(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종속절과 연결어미_10주차 종속절과 연결어미_10주차_3차시 한국어의 문법_10차시_03.mp4 한국어의 문법_10차시_03_국문.vtt강좌제목한국어의 문법 | 강의자문숙영 교수
- 종속절과 연결어미 문숙영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가이드북_1차년도_(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종속절과 연결어미_10주차 종속절과 연결어미_10주차_4차시 한국어의 문법_10차시_04.mp4 한국어의 문법_10차시_04_국문.vtt강좌제목한국어의 문법 | 강의자문숙영 교수
- 종속절과 연결어미 문숙영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가이드북_1차년도_(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조사_2주차 조사_2주차_1차시 한국어의 문법_02차시_01.mp4 한국어의 문법_02차시_01_국문.vtt 한국어의 문법_02차시_강좌제목한국어의 문법 | 강의자문숙영 교수
기타자료(4)
- 제19차 유엔총회대책을 위한 예비교섭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요구하게 하는 것인가. 5. 회원국이 동보고서를 사무총장에게서 접한 후 토의할 것을 요구하면 어떻게 될 것인가. 6. 사무총장에게 내는 수속절차는 어떤 것인가. 7. 프랑스가 중공을 승인한바 새로운 정세 하에서도 영연방제국의 신제안에 대하여는 변화가 없을 것인가의 여러...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대한민국호주대사관 | 수신자외무부장관
- 15. Order of consultation with Korean democratic parties and social organizations in Northern and Southern Korea : 기록자료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소련 몰로토프 외상과 미국 마셜 국무장관의 서신교환의 후속조치로, 한국 임시정부 조직 문제 심의를 위한 협의대상으로 참가를 희망하는 남북한 정당 및 사회단체들에게 모스크바 3상회의 결정에 동의하는 서명 문구, 참가 신청서 제출 시한 등 후속절차를 지시하는 문서.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US-USSR Joint Commission, American Delegation | 수신자CG XXIV Corps, American Commissioners, P.A.G., G-2 XXIV Corps, PRO-American Delegation
- 신라 헌강왕이 당의 禮部 裵尙書 瓚에게 보낸 狀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을 것을 생각하지 마시고 빨리 장마 비가 되소서. 뵙기를 기약하기 어려우매 우러러 봄이 그지없으며, 다만 金風의 상쾌한 질서를 만나 멀리 德音을 상상하고, 매양 珪月의 새벽 빛을 읊조리며, 속절없이 꿈만 꿀 뿐입니다. 마침내 기러기 발[雁足]을 빙자하여 대략 거위털[鵝...대표표제어신라 헌강왕이 당의 禮部 裵尙書 瓚에게 보낸 狀 | 주제분류외교문서
- 신라 효공왕이 唐 江西 大夫 高湘에게 보낸 狀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착한 일을 보면 깜짝 놀라듯 하였습니다. 어찌 감히 선비로서 희롱을 하겠습니까. 일찍이 멀리 書札을 의뢰하고자 하여 감사를 드리려 하였으나, 가만히 봄에 煙塵(난리)이 갑자기 일어나 도로가 많이 막혀 본래의 뜻을 펴지 못하고 이미 때가 뒤지게 되었으며, 속절없이 각 사...대표표제어신라 효공왕이 唐 江西 大夫 高湘에게 보낸 狀 | 주제분류외교문서
주제어사전(8)
-
속절 / 俗節 [생활/민속]
민간에서 축일로 지내는 명절. 조선 시대 속절은 유교의 정통적인 제삿날과 구분되는 시속의 제향일이라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종묘 제사에서 가장 중요한 제사는 사계절의 맹월 상순에 지내는 사시제이다. 이외 삭망제와 속절제가 있다. <국조오례서례> 「시일」 조에서 속절
-
단오 / 端午 [생활]
음력 5월 5일. 원래 중국의 명절이었으나 우리나라에서도 신라시대 이래 명절로 삼았다. 조선에서는 정조(正朝)·동지(冬至)와 함께 이 날을 삼절일이라 하였으며 정조·동지·단오·추석·한식(寒食)을 속절(俗節)이라 하였다. 단오는 그네를 뛰는 명절로도 알려져 있다.
-
홍릉축식 / 弘陵祝式 [역사/조선시대사]
홍릉(弘陵)에 올리는 두 건의 축식(祝式)을 담은 책. 하나는 해마다 기일(忌日)에 지내는 기신제(忌晨祭)의 축식, 다른 하나는 정조(正朝), 한식, 단오, 추석, 동지, 납일 등 민속 명절에 지내는 속절제(俗節祭)의 축식이다. 축식은 축문의 기본 형식으로서, 제사
-
포유문 / 包有文 [언어/언어/문자]
문장 종류의 하나.둘 이상의 절(마디)이 상·하의 주종관계로 구성되어 있는 복문(겹월)이다. 분포상 종속절의 위치는 단문이나 절 안에서의 품사와 다름이 없으며, 기능상으로도 품사들과 같이 종속절은 주절의 주요성분이 되거나 부수성분이 된다. 기능에 따라서 포유문의 종속
-
선희궁중삭준축책 / 宣禧宮仲朔準祝冊 [역사/조선시대사]
고종 광무연간에 선희궁(宣禧宮)에서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된 축문 형식을 규정한 글을 모은 책. 이 책에는 중삭제(仲朔祭)와 속절제(俗節祭)에 썼던 축문 2가지가 있다. 중삭은 음력 2·5·8·11월을 가리키는데, 중삭제는 중춘(仲春)과 중추(仲秋)인 2월과 8월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