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속장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4)
사전(50)
- 속장경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대각국사 의천이 대장경을 결집할 때 빠진 것을 모아 엮은 불전정의대각국사 의천이 대장경을 결집할 때 빠진 것을 모아 엮은 불전 | 문광부표기Sok janggyeong | MR표기Sok changgy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담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송나라로 가서 고승들로부터 많은 가르침을 받았으며, 귀국하여 의천이 속장경(續藏經)을 판각할 때 교정을 맡아보았다. 1107년(예종 2) 예종의 왕사(王師)가 되었고, 1114년 국사가 되었으며, 1116년 보제사(普濟寺)로 행차한 왕에게 설법하였다. 화엄학(華...이칭별칭 자정(子正)
- 주인왕호국반야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1세기초 『인왕반야경』에 대한 송나라 정원(淨源)의 주해서를 들여와 간행한 책. [내용] 4권 1책. 목판본. 보물 제890호. 의천(義天)이 속장경(續藏經)을 간행하기 위하여 만든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에 의하면, 과문...
- 송광사대반열반경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刊經都監)에서 의천(義天)의 속장경(續藏經)을 복각(覆刻)한 것이다. 이 책에는 담무참(曇無嘴)이 번역한 40권의 『대반열반경』 가운데 권15∼18까지와 권19∼21까지의 내용이 각각 수록되어 있다. 상하단변(上下單邊)이고 계선(界線)이 없으며 전엽(全葉)에...연계항목송광사대반열반경소(松廣寺大般涅槃經疏)
- 송광사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삼현원찬과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송광사에 소장되어 있는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삼현원찬과문』. [내용] 1책. 목판본. 보물 제204호. 조선 세조 때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간행되었다. 속장경을 복각(覆刻...연계항목송광사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삼현원찬과문(松廣寺妙法蓮華經觀世音菩薩普門品三玄圓贊科文)
고서·고문서(2)
- 난성후집_欒城後集46 御史中丞論時事劄子一十三首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與進奉人交易 仍關監門 不得阻節 諸親事宦隨人從出外遊看買賣 輒呼樂藝人飲酒作過及買違禁物者 杖八十 情重者奏裁[差到先責知委狀] 諸下節日聴二十人畨次出館遊看買賣 仍各差親事官壹人隨 願乘馬者 於諸司人馬内各借壹匹 并牧馬兵士壹人 至申時還 仍責隨人所往處狀 諸進奉人乞贖藏經者 申尙書祠...국가중국 | 서명난성후집 | 왕대기타
- 各員稟件請假銷差等(각급 관원의 휴가 신청과 임무 완료 보고 등에 관한 안건) [중국 「外交檔案」 근현대 한중관계 자료의 수집·해제·탈초·정본화 및 DB화 | 전남대학교]留丁憂人員未經服闋者均令其回籍守制其已經服闋者於軍營給咨先回籍補行穿孝將來照例起復各等語該員錢承棨係奏請試署釜山領事館二等書記官自應仿照辦理飭令該員回籍補行穿孝再照例起復等因奉此現已轉行札飭該員遵照速將經手事件交代淸楚尅日起程回籍補行穿孝百日後卽行回韓供職其所遺二等書記官一缺按照新章査有釜山領事館書...문서명各員稟件請假銷差等(각급 관원의 휴가 신청과 임무 완료 보고 등에 관한 안건) | 자료생산外務部 | 관련인물馬廷亮
신문·잡지(2)
- 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心訣) 10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p.708.; X64, p.795. 大阪府立圖書館 無 大正新修大藏經, 韓國佛敎全書, 新纂大日本續藏經, 卍續藏經, 禪宗全書, 佛敎大藏經에 '高麗國普照禪師修心訣'로 입장되어있다. 日本所在韓國典籍目錄(文化財管理局 文化財硏究所, 1991), p.204대표표제어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心訣) 10 | 대표서명牧牛子修心訣 | 한글서명목우자수심결 | 서지형태형태서지
- 범망경보살계본사기(梵網経菩薩戒本私記)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1, p.586.; X38, p.274. 京都大学圖書館 藏/3/ホ/20 권미에 속장경 편입 내용에 관한 추가 기록이 근대 양면괘지에 쓰여 있음 실측대표표제어범망경보살계본사기(梵網経菩薩戒本私記) 2 | 대표서명梵網経菩薩戒本私記 | 한글서명범망경보살계본사기 | 서지형태형태서지
주제어사전(6)
-
속장경 / 續藏經 [종교·철학/불교]
대장경의 간행시 빠졌던 것을 모아 다시 간행한 대장경. 고려 초기의 고승 대각국사 의천에 의해 주도되었다. 고려 현종때 간행한 초조대장경이 누락한 것을 의천이 거란과 송, 일본 등지로부터 불서와 경전을 구하여 보완 간행하였다. 속장경은 1086년에 완성되었다. 대구
-
교장 / 敎藏 [종교·철학/불교]
고려전기 승려 의천이 대장경에 대하여 해석한 장소(章疏)를 수집하여 목록을 정리한 불교서. 불교주석서. 이 교장(敎藏)은 그 동안 속장(續藏), 속장경(續藏經), 속대장경(續大藏經) 등으로 알려져 왔으나 이는 잘못 알려진 것이다. 이 교장은 의천의천(義天: 1055년
-
교장도감 / 敎藏都監 [종교·철학/불교]
고려시대 속장경의 판각사무를 관장하던 관서. 송나라에 다녀온 의천(義天)의 요청으로 선종이 1086년(선종 3) 흥왕사(興王寺)에 설치하였다.
-
대동선교고 / 大東禪敎考 [종교·철학/불교]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삼국시대 이후의 불교사와 고승들의 전기를 기록한 불교서. 고승기. 1권. 『대둔사지(大芚寺誌)』 제4권에 합철되어 있으며, 일본 속장경(續藏經) 을(乙) 제21투(套) 213책(冊)에 수록되어 있다. 권말에 윤동(尹峒)의 발문이 있다. 중국
-
대반열반경집해 / 大般涅槃經集解 [종교·철학/불교]
삼국시대 고구려승려 승랑이 『대반열반경』을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71권. 만속장경(卍續藏經)과 대정장경(大正藏經) 등에 수록되어 있다. 저자가 양나라에서 활동할 때 무제(武帝)의 명을 받아 저술하였으며, 우리나라 승려의 문헌으로는 최초의 것이다. 내용은 삼신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