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속아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7)
사전(155)
- 속아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령(政令)의 일원화를 위하여 속아문제도를 확립하였다. 따라서 고위관부와 특수한 직능을 가진 소수의 관아를 제외한 모든 관아는 각기 육조에 분속되어 있어 각 조의 당상관은 각기 소속 아문의 당하관 또는 당상관이 없는 아문의 제조(提調)와 더불어 해당 소속 아문의...
- 고율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육조의 속아문제도(屬衙門制度)와 함께 각 조에도 그 사무를 분장하는 3개의 사(司)를 두었다. 형조에는 장금사(掌禁司)‧장례사(掌隷司)‧고율사의 삼사를 두었다. 그 가운데 고율사는 그 죄에 상당하는 법률의 타당한 적용여부와 형옥이 제대로 판결되었는가를 살피는...
- 형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형조 및 그 속아문(屬衙門 : 소속 관서)인 의금부 장례원(掌隷院)‧전옥서(典獄署) 등에 관계된 일을 맡았다. 형방을 비롯한 각 방에는 2,3인의 서리(書吏)들이 소속되어 승지들의 실무를 도왔다. 각방 승지의 보직은 왕이 직접 결정하였는데, 그 명단을 방단자(房單子)라...
- 승령부(承寧府)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 [정의] 조선 초 태상왕(太上王)인 태조와 관련된 사무를 전담하던 관서. [개설] 1400년(정종 2) 태상왕인 태조를 위해서 설치한 관서로, 태조의 호종(扈從)이나 문안 등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1405년(태종 5) 이조(吏曹)의 속아문으로 편성...상위어이조(吏曹) | 관련어경승부(敬承府), 전농시(典農寺)
- 도제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육조의 속아문이나 군영 등에 두었던 정1품 자문직. [내용] 조선 전기에 육조 속아문 가운데 왕권이나 국방‧외교 등과 연관되어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기관에 도제조를 두어 인사나 행정상 중요한 문제 등에 관하여 자문에 응하도록 하였...
고서·고문서(2)
- 혜경궁상례의주등록(惠慶宮喪禮儀註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三年喪) 동안 예조(禮曹)의 속아문(屬衙門)인 계제사(稽制司)에서 마련한 각종 장례의식절차들을 종합하여 1851년에 계제사(稽制司)에서 작성한 것이다. 혜경궁 (1735∼1815)은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빈(嬪)으로 홍씨(洪氏)...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관선(官船)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人中, 勿論各衙門戶曹管餉內需司諸宮家所屬, 自備局成給帖文, 使前屬衙門一切勿侵, 例納之稅亦爲盡減. 移居後, 地方官各浦或使喚或收稅斜水, 則入啓科罪, 監官色吏囚禁刑推絶島 ...출처전거江都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9)
-
속아문 / 屬衙門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육조에 분속되었던 관사의 총칭. 태종은 1405년(태종 5) 육조의 기능 강화를 위해 종래 정3품의 전서였던 육조의 장관을 정2품의 판서로 승격시키고 정령의 일원화를 위해 속아문제도를 확립하였다. 속아문은 정3품 아문에는 ‘정(正)’, 종4품 아문에는 ‘수
-
도제조 / 都提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육조의 속아문이나 군영 등에 두었던 정1품 자문직. 조선 전기에 육조 속아문 가운데 왕권이나 국방·외교 등과 연관되어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기관에 도제조를 두어 인사나 행정상 중요한 문제 등에 관하여 자문에 응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현직이나 퇴직한 의정(
-
군기시 / 軍器寺 [정치·법제/국방]
병기·기치·융장·집물 등의 제조 업무를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병조의 속아문으로서 고려시대에는 군기감과 군기시가 몇 번 교대로 바뀌어 불렸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1392년(태조 1)에 군기감이 설치되었다가 1466년(세조 12)에 군기시로 개칭되었다.
-
사복시 / 司僕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의 여마·구목 및 목장에 관한 일을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1392년(태조 1) 고려 제도에 따라 사복시를 설치하고 수레·말·마구·목축 등을 관장하였다. 그 뒤 1405년(태종 5)에 병조의 속아문이 되고, ≪경국대전≫의 완성으로 정3품 아문의 관청
-
세자익위사 / 世子翊衛司 [정치·법제/법제·행정]
서 중요한 기능을 발휘하였다. 세자익위사는 병조의 속아문인 정5품아문으로 ≪경국대전≫에 제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