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속수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
사전(8)
- 속수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4변(籩) 4두(豆)이다. 재산으로는 전답 5,000평 등이 있다. 典故大方 涑水書院誌 慶尙北道史(慶尙北道, 1983) 속수서원 경북 의성군 단밀면 속암리에 있는 조선전...
- 조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났을 때에는 호남지방에서 의병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상주의 속수서원(涑修書院)에 제향되었다. 『선조실록(宣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영남인물고(嶺...이칭별칭 비중(?仲)| 가휴(可畦)
- 김우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회령으로 귀양가자, 영천으로 달려가 동생을 만나 갓과 옷을 벗어주고 시 한 수를 지어 주며 이별했다 한다. 대사간으로 있을 때 사사로이 옥송(獄訟)을 결정한 형조판서를 당당히 탄핵해 주위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다. 상주 속수서원(涑水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이칭별칭 경부(敬夫)| 개암(開岩)
- 조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로 급제하였다.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 때 공주까지 호가(扈駕)하였고, 그 뒤 벼슬이 봉상시정에 이르렀다. 또한, 정구(鄭逑)와 교유하였으며, 경술(經述)과 문장에 뛰어났다.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상주의 속수서원(涑水書院)에 봉향되었다. 저서로는...이칭별칭 안중(安中)| 검간(黔澗)
- 손중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중종 때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경주의 동강서원(東江書院), 상주의 속수서원(涑水書院)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경절(景節)이다. 『중종실록(中宗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이칭별칭 대발(大發)| 우재(愚齋)| 경절(景節)
고서·고문서(7)
- 위재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除夕述懷, 彰義門和 守將閔斗鎭, 漢城, 南漢山城, 聽澗亭, 道南講 會韻, 奉次金姨叔(宗泰)回甲韻, 奉次金上舍 (顯奎)屛巖亭韻, 江皐柳公(尋春)挽, 魯菴鄭 公(必奎)挽, 敬次涑水書院廟宇重修韻, 宅神 祭嘏辭, 關王廟, 崔文昌畵像閣, 奉呈黃蒼岡 (淳老), 奉和黃西圃(台鉉)芭...분야문학 | 유형문헌
- 검간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555년(명종 10)에 태어난 일부터 1636년(인 조 14)에 사망한 행적까지 소개하고, 1642년 (인조 20)에 아들 趙亨遠의 貴로 인해 이조 참판에 贈職된 일과 1730년(영조 6) 士林에 서 涑水書院에 追享한 일 등 사후의 두 가지 기록을 부기하였다. 기록된...분야문학 | 유형문헌
- 월간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駕 하였고, 그 뒤 벼슬이 奉常寺正에 이르렀다. 또한, 寒岡鄭逑와 교유하였으며, 經述과 문 장에 뛰어났다. 吏曹判書에 추증되고, 尙州의 涑水書院에 봉향되었다. 저서로는 黔澗集 과 辰巳錄 등이 전하고 있다. 祭柳季華文 36 柳珍(1582-1635)을 위해 지은 祭文이...분야문학 | 유형문헌
- 강고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水書院長貳稟問 (20) 1832. 涑水書院 원장에게 답한 편지로, 享禮의 祭物은 매우 중요한 것이어서 줄여서는 안 된다는 의견을 전하는 내용이다. 與鄭際應―昌運 (21) 1799. 鄭昌運에게 보낸 편지로, 근황을 알리는 내용이다. 答李孟精―奎相―中庸問目 (21...분야문학 | 유형문헌
- 사서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을 때는 勸學하고 養老禮를 행하는 등 儒風을 일으키는 데 힘 썼다.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尙州의 涑水書院에 배향되었다. 시문집으로『黔澗集』이 전한다. 祭宋東萊(尙賢)文 17 東萊 宋尙賢에 대한 제문이다. 어지러운 세상에서 우뚝한 기개를 떨쳐 義氣가 세상을 움직이고...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속수서원 / 涑水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속암리에 있는 서원. 1509년(중종 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신우(申祐)·손중돈(孫仲暾)·김우굉(金宇宏)·조정(趙靖)·조익(趙翊)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대원군의
-
조석철 / 趙錫喆 [종교·철학/유학]
다. 매월 도남서원과 속수서원에서 사서를 강의하였다. 문집으로《정와문집》 8권 4책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