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속백” 에 대한 검색결과 19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0)

사전(24)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비단의 양쪽 끝을 말아서 서로 향하게 한 후 끈으로 묶은 예물. 혼례의 절차 중 하나인 납징(納徵) 또는 납폐(納幣) 때에 예물로 검은 비단과 붉은 비단을 보내는데 이를 ()이라 한다. 은 비단의 양끝에서부터 감아 서로 맞닿게 한 후 묶었기 때문에 붙여진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례 시 ()을 놓았던 상. 주로 왕세자가 왕세자빈을 맞이하는 납빈의(納嬪儀)와 같은 왕실 가례에서 임금이 내린 ()을 놓았던 상이다. 검은 비단과 붉은 비단으로 구성된 은 함에 담아 안 위에 놓아두면 의례 시 집사가 안을 들고 나아가 예를 행하...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안자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을 담은 책상을 든 집사자. 가례를 행할 때 (: 납폐에 쓰던 양단. 검은 비단 여섯 필과 붉은 비단 네 필)을 들고 따르는 집사관의 하나이다. 擧案者以案進副使前副使取, (가례1866/242ㄱ06)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교서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례 시 교서(敎書)와 ()을 놓았던 상. 주로 왕세자가 왕세자빈을 맞이하는 납빈의(納嬪儀)와 같은 왕실 가례에서 임금이 내린 교서(敎書)와 ()을 놓았다. 교서는 함(函)에 담아 안(案) 위에 올려 놓았으며 검은 비단과 붉은 비단으로 구성된 또한...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거교서안자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가례(嘉禮) 때의 교서와 을 올려 둔 상자를 든 관인. 가례를 행할 때 왕이 내리는 교서와 (: 납폐에 쓰던 양단. 검은 비단 여섯 필과 붉은 비단 네 필)을 들고 따르는 집사관의 하나이다. 正使南向立副使立於正使東南擧敎書案者, (가례1802/214ㄱ...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152)

  • 과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금과사전 공학 재료공학 금속재료 금과사전 木原諄二等編; 대광서림편집부 역편 대광서림 서울 2001 금속재료 [국...
    대표표제어금속백과사전 | 대분류공학 | 중분류재료공학 | 소분류금속재료
  • 宋趙德明謝於求粟之日,具萬於京師,詔使來取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40_0530 宋趙德明謝於求粟之日,具萬於京師,詔使來取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第二十八章 《聘禮》: “加書 書: 《儀禮》에는 ‘書’ 뒤에 ‘將命’이 있다.. 百名以上, 書於()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HCDM_28:2 《聘禮》: “加書 書: 《儀禮》에는 ‘書’ 뒤에 ‘將命’이 있다.. 百名以上, 書於策.” 《註》云: “古曰名, 今曰字.” 蓋書者, 凡象形、會意等六書之通稱. 名, 如人名、物名之名, 卽其書之各名也. 今反切之音, 是也. “百名”者, 百字也. 文者,...
    서명중용질서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敬身 “聲色”屬耳目, “禮樂”屬心知, “惰慢”等()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HCLL_3:1:8 “聲色”屬耳目, “禮樂”屬心知, “惰慢”等體. 推此, 則鼻之於臭, 口之於味, 亦不使不正者來近.
    서명소학질서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元史』元史 卷41 本紀41 順帝 妥懽貼睦爾 4 至正8年(P.881) 『元史』 1348 1348 水達達路 군사 三月丁酉[朔],詔以旌郡縣守令之廉勤者.遼東鎖火奴反,詐稱大金子孫,水達達路脫脫禾孫唐兀火魯火孫討擒之.
    출처전거『元史』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구술자료(1)

  • 있는 자료이다. 2) 음질 중 윤충일 한금봉 진태식 이기권 김준섭 이창선 오정숙 홍정택 강도근 김동균 김미성 김숙자 박봉술 정광수 단가 함평천지 춘향가 이별가 흥보가 적벽가 수궁가 토끼화상 군산국악원 전주국악원 국립창극단 민일장 판소리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윤충일

신문·잡지(3)

  • 조선문조선_1934_18_0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자력갱생의 각종상 지중세 46 잡곡실수고 급 가액 55 발병에 대한 제방법 김익승 56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4
  • 입수된 소식에의하면 놈들은 이 숫자외에도 일본선박과 남조선선박들을 □□하여 계미를 일본에 반출하고 있다. 일본 요시다□□정부가 파견한 백미검수관 6명이 지난 5월 12일 「우지□□□」□를 가지고 부산에 상륙하여 지금부산진 □□동 □□□□에 류숙하면서 많은 쌀을 접...
    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50_0622_05 | 책임주필한호
  • 삼동이 다 진고 어언간츈졀을당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삼동이 다 진고 어언간츈졀을당 일긔 화창 단공목극으로 남산쟈각 뎨일봉에 놉히올나 면을라보니 고루거각이반공에표묘즁 화도화 만발고 방쵸양류로온 그즁에번화뎨들은 기악을 갓초아노쟈도잇고 혹시인들은 병슐노 시츅을 읇쟈도 잇고 혹방탕쇼년들...
    게재일1901년 4월 22일 | 기사분류논설

기타자료(10)

  • 신라가 지렴을 당에 사은사로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서를 내려 내전에서 지렴에게 연회를 베풀고 () () : 예폐(禮幣)로, 비단 5필을 한데 묶은 것을 말한다. 을 내려 주었다. (『三國史記』 8 新羅本紀 8 聖德王 32年) 【번역】 12월 을미일(2) 신라왕 김흥광이 조카 지렴을 보내 조공하고 은혜에...
    대표표제어신라가 지렴을 당에 사은사로 보내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33년(癸酉/신라 성덕왕 32/발해 무왕 仁安 15/唐 開元 21/일본天平 5)
  • 신라·백제·고구려의 자제가 당 국자감에 입학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방문하여 석채(釋菜)를 보았다. 좨주(祭酒)・박사(博士)에 명하여 경전의 뜻을 강론하게 하고 ()을 내렸다. 학생이 한 번에 통하면 서리(署吏)를 주었고, 학사(學舍)를 1,200구(區)로 늘렸다. 삼학에는 생원을 늘렸으며, 더불어 서(書)와 산(算) 각기 박사...
    대표표제어신라·백제·고구려의 자제가 당 국자감에 입학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32년(壬辰/신라 진평왕 54, 선덕왕 1 建福 49/고구려 영류왕 15/백제 무왕 33/唐 貞觀 6/倭 舒明 4)
  • 신라가 지렴을 당에 사은사로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려 내전에서 지렴에게 연회를 베풀고 ()을 내려 주었다. (󰡔三國史記󰡕 8 新羅本紀 8 聖德王 32年) 【번역】 12월 을미일(2) 신라왕 김흥광이 조카 지렴을 보내 조공하고 은혜에 사례하였다. 처음 황제가 흥광에게 하얀 앵무새 암수 한쌍 및 자수색 비단에...
    대표표제어신라가 지렴을 당에 사은사로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33년(癸酉/신라 성덕왕 32/발해 무왕 仁安 15/唐 開元 21/일본天平 5)
  • 백제가 당의 국자감에 자제를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보았다. 좨주(祭酒)・박사(博士)에 명하여 경전의 뜻을 강론하게 하고 ()을 내렸다. 학생이 한 번에 통하면 서리(署吏)를 주었고, 학사(學舍)를 1,200구(區)로 늘렸다. 삼학에는 생원을 늘렸으며, 더불어 서(書)와 산(算) 각기 박사를 두었는데 대저 모든...
    대표표제어백제가 당의 국자감에 자제를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32년(壬辰/신라 진평왕 54, 선덕왕 1 建福 49/고구려 영류왕 15/백제 무왕 33/唐 貞觀 6/倭 舒明 4)
  • 백제가 당의 국자감에 자제를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문하여 석채(釋菜)를 보았다. 좨주(祭酒)・박사(博士)에 명하여 경전의 뜻을 강론하게 하고 ()을 내렸다. 학생이 한 번에 통하면 서리(署吏)를 주었고, 학사(學舍)를 1,200구(區)로 늘렸다. 삼학에는 생원을 늘렸으며, 더불어 서(書)와 산(算) 각기 박사를...
    대표표제어백제가 당의 국자감에 자제를 보내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32년(壬辰/신라 진평왕 54, 선덕왕(宣德王) 1 建福 49/고구려 영류왕 15/백제 무왕 33/唐 太宗 貞觀 6/倭 舒明天皇 4)

주제어사전(1)

  • / [역사/조선시대사]

    비단의 양쪽 끝을 말아서 서로 향하게 한 후 끈으로 묶은 예물. 혼례의 절차 중 하나인 납징 또는 납폐 때에 예물로 검은 비단과 붉은 비단을 보내는데 이를 이라 한다. 은 비단의 양끝에서부터 감아 서로 맞닿게 한 후 묶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왕비의 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