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속무정보감” 에 대한 검색결과 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원본이 된 것은 광해군 때 중간된 그것이며, 이는 1623년(인조 1) 사간원헌납 김세렴(金世濂)에게 하사된 것이다. 『』이라고 한 것은 1469년(예종 1)에 편찬된 『무정보감』의 속편이라는 데서 비롯된 것이며, 이 『무정보감』은 조선의 개국 당시부터...
    이칭별칭을사정난기(乙巳定難記)
  • 유강(兪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자녀)무후 (1자)유영(兪泳) (2자)유함(兪涵) 『()』 [총론] [1510년(중종 5)~1570년(선조 3) = 61세]. 조선 중기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평안도관찰사(平安道觀察使)와 호조...
  • 내병조(內兵曹)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편 건국 초부터 예종 때까지 일어났던 정변과 전쟁, 그리고 외침의 전말을 기록했던 『무정보감(武定寶鑑)』의 후속편인 『()』을 명조 때 내병조에 국(局)을 설치하여 수찬하게 했다[『명종실록』 2년 11월 10일]. [변천] 내병조는...
    관련어병조(兵曹)
  • 중종반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한 근본적인 시정은 이후에도 기대하기 어려워, 이후 훈구‧사림 두 계열간의 대립이 재현되었다. 燕山君日記 中宗實錄 燃藜室記述 二樂亭集 陰崖集 思齋集 容齋集
  • 삼포왜변(三浦倭變)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 대한 우려 때문에 통교 단절은 하지 않았지만 삼포왜변은 조선초기의 대일 통교 질서가 허물어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 『조선통교대기(朝鮮通交大紀)』 손승철, 『조선시대 한일관계사 연구』, 지성의 샘, 1994. ...
    하위어왜리(倭里), 대관(代官), 삼포총치자(三浦總治者), 일본국왕사(日本國王使), 붕중(棚中) | 동의어삼포왜란(三浦倭亂), 경오왜변(庚午倭變) | 관련어임신약조(壬申約條), 대마도(對馬島), 삼포(三浦), 항거왜인(恒居倭人), 기해동정(己亥東征)

고서·고문서(2)

  • 내용분류사회-역사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批曰: “謀叛之狀, 衛社之功, 皆載於《武定寶鑑》。” 若然則殿下之所信, 只在《武定寶鑑》而已。 夫《》者, 姦兇欺罔聖母, 極其誣飾, 羅織成書, 無有餘巧, 自謂無瑕可指, 可傳萬世者也。 雖然, 今見其書, 疵隙百出, 難掩其僞, 適足爲識者嗤笑而已。 古人有言曰: “直者操筆,...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주제어사전(1)

  • /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정서류(政書類) 홍언필(洪彦弼) 등 수명편, 조선사편수회편, 영인본, 조선총독부, 1937, 5권 2책. 조선 성종대부터 중종대까지의 내란과 역모, 대외분쟁 들을 처리한 전말을 기로한 책이다.《조선사사료총서(朝鮮史史料叢刊) 第16》으로 영인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