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속대전” 에 대한 검색결과 1,48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26)

사전(1,27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직소(辭職疏)에서 경제사(經濟司)를 설치, ≪경국대전≫ 뒤의 모든 법령 중에서 시행할 수 없는 법은 바꾸거나 증보하여 ≪≫이라는 법전을 편찬함으로써 제도를 새롭게 하자고 주장했는데, ‘’이라는 용어는 여기서 처음 거론되었다. 그러나 이 의견은 받아들...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746년에 《경국대전(經國大典)》 시행 이후에 공포된 법령 중에서 시행할 법령만을 추려서 편찬한 통일 법전.
    정의1746년에 《경국대전(經國大典)》 시행 이후에 공포된 법령 중에서 시행할 법령만을 추려서 편찬한 통일 법전.[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Sok daejeon | MR표기Sok taej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수교집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ㆍ남구만(南九萬) 등이 서로 이어 영의정으로서 총령하여 16년만에 완성되었다. 『대전후속록』 이후 약 150년 간 새로운 조례와 규식(規式)이 많이 나왔으나 법전으로 편찬된 바가 없어 이 책이 편찬되었고, 『』 편찬에 기초가 되었다. 『수교집록』...
  • 우권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세손강서원(世孫講書院)의 종5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세손의 교육을 담당하였다. →세손강서원 『()』
  • 좌권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세손강서원(世孫講書院)의 종5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세손강서원 『()』 『대전회통(大典會通)』

고서·고문서(148)

  •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분류법/재판 | 소장처日本国立国会図書館,東京大学総合図書館,東京大学東洋文化研究所図書室,東京大学史料編纂所図書室,大阪経済大学日本経済史研究所,大阪市立大学学術情報総合センター,学習院大学図書館,九州産業大学図書館,九州大学附属図書館,京都大学人文科学研究所図書室,京都大学附属図書館,甲南大学図書館,神戸大学附属図書館社会科学系図書館,国立教育政策研究所教育研究情報センター教育図書館,滋賀大学附属図書館,拓殖大学図書館,筑波大学附属図書館中央図書館,天理大学附属天理図書館,東京大学大学院人文社会系研究科文学部図書室,東京大学大学院人文社会系研究科文学部図書室,東京海洋大学附属図書館,東北大学附属図書館同志社大学図書館今出川図書館,長崎大学附属図書館経済学部分館,名古屋大学経済学図書室,名古屋大学附属図書館,名古屋大学法学図書室,奈良文化財研究所,一橋大学経済研究所資料室,一橋大学附属図書館,兵庫県立大学神戸学園都市学術情報館,広島大学図書館中央図書館,法政大学図書館,北海道大学附属図書館,武蔵大学図書館,明治大学図書館,山口大学図書館総合図書館,立教大学図書館,立正佼成会付属佼成図書館,遼寧省図書館 | 출판사朝鮮総督府中枢院
  •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분류법/관습법 | 소장처콜롬비아 대학 | 출판사Kyŏngsŏng : Chosŏn Chʻongdokpu Chungsuwŏn
  •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분류법/관습법 | 소장처하와이 대학
  • 내용분류법제-법령 | 형식분류고서-법전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이조법전고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1936년 조선총독부 중추원 조사과 촉탁 아소 다케키(麻生武龜)가 󰡔경제육전󰡕을 비롯한 여러 법전 편찬의 유래와 개설을 쓰고, 뒤에 부록과 연표 따위를 수록하여 정리한 책이다.
    분류법/관습법 | 소장처국회도서관 | 출판사朝鮮總督府中樞院(京城)

기초학문(4)

  • 조선후기 영조대 법전정비와 『』의 편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백철, 게재일 : 2008
    41072 김백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역사연구회 2008 조선후기 영조대 법전정비와 『』의 편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18세기 전반 탕평정치의 추진과 의 편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호훈, 게재일 : 2004
    32106 정호훈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연구회 2004 18세기 전반 탕평정치의 추진과 의 편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朝鮮後期 英祖代 《》位相의 재검토-〈刑典〉의 편찬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백철, 게재일 : 2007
    41981 김백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사학회 2007 朝鮮後期 英祖代 《》位相의 재검토-〈刑典〉의 편찬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 「禮典」과 {大典通編} 「禮典」에 반영된 ‘17세기 전례논쟁[禮訟]’의 논점에 대한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장동우, 게재일 : 2005
    32107 장동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실학학회 2005 {} 「禮典」과 {大典通編} 「禮典」에 반영된 ‘17세기 전례논쟁[禮訟]’의 논점에 대한 고찰 htt
    유형논문 | 게재일2005

멀티미디어(3)

  • 』당시 육군 진관체계
    [HGIS에 기반한 조선시대 전국지리지의 공간적 재현과 역사지도 제작 | 고려대학교]
    』당시 육군 진관체계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진관 분포도 포인트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감영/병영/방어영/진영장/거진/독진 없음 (1744) (1744) 행정_173_『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속대전(1744)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당시 육군 진관구역
    [HGIS에 기반한 조선시대 전국지리지의 공간적 재현과 역사지도 제작 | 고려대학교]
    』당시 육군 진관구역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진관 분포도 패턴도, 포인트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거진 없음 (1744) (1744) 행정_174_『』당시_육군_진관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속대전(1744)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당시 수군 진관체계
    [HGIS에 기반한 조선시대 전국지리지의 공간적 재현과 역사지도 제작 | 고려대학교]
    』당시 수군 진관체계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진관 분포도 패턴도, 포인트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통어영/통제영/방어영/감영/수영/거진/제진 없음 (1744) (1744)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속대전(1744)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연구과제(1)

  • 영․정조대 국가운영과 왕실재정-정례서를 통해 본 왕실과 나라 살림-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최주희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54)

  • / [역사/조선시대사]

    법을 적용하는데 혼란을 가져왔다. 이에 1682년(숙종 8)부터 ≪수교집록≫의 편찬에 착수하였다. ≪경국대전≫의 반포, 시행으로부터 260여 년 뒤, 편찬을 착수해 약 8년만에 ≪≫이 완성되었다. 이로써 법전은 두 개로 되었다.

  • 겸설서 / 兼說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시강원의 정7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처음 설치한 시기는 미상이나 조선 중기부터 두기 시작한 것으로 보이며, 영조 때 ≪≫에 정식으로 직제화되었다.

  • 국폐 / 國幣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정부에서 공인한 화폐. 조선 전기의 ≪경국대전≫ 호전에 국폐조항을 두어 포와 저화를 통용한다고 하였고, 후기의 ≪≫은 동전을 사용한다고 규정하였다.

  • 명덕대부 / 明德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빈계 종1품 하계의 위호. 조선전기의 숭덕대부(崇德大夫)가 ≪≫에서 명덕대부로 고쳐졌다. 그뒤 동반관계와 통합되어 숭정대부(崇政大夫)로 개칭되었다.

  • 소의대부 / 昭義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친계 종2품 하계의 위호. 조선 전기의 정의대부(正義大夫)가 ≪≫에서 소의대부로 고쳐졌다가 뒤에 동반관계와 통합되어 가선대부(嘉善大夫)로 개칭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