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소현세자” 에 대한 검색결과 48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78)

사전(38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수용하려 하였다. 그러나 조선의 조정은 서인들의 집권과 함께 반청친명정책(反淸親明政策)을 고수, 의 처사를 부정적으로 평가한듯하다. 특히, 는 300명이 넘는 시강원 관원을 거느리고 있으면서 청의 요구를 막지 못하고 그들과 영합하면서 막대한...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경감 정뇌경과 원리 강효원을 구원하고자 하나 실패한다. 뇌경과 효원이 죽은 뒤 염할 의복을 내어주고 제를 지내준다. 뒤에 청나라로 끌려간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청나라가 침략하자 강화로 대피하나 봉림대군과 더불어 볼모로 잡혀간다. 볼모에서 풀려날 때 소원으로 청나라 세자 앞의 벼루를 얻는다. 이를 한심하게 생각한 인조가 홧김에 던진 벼루에 맞아 죽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효종의 형이다. 청나라가 쳐들어오자 강화도에 피신해있다가 효종과 함께 인질로 잡혀간다. 청나라 세조359)가 베푼 연회에서 어리석게도 세종의벼루를 달라고 한다. 효종이 인질들을 데리고 귀국하길 원하여 함께 조선으로 돌아온다. 사실을 듣고 화가 난 인조에게 벼루로 머리를...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강효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39(인조 17). 조선 중기의 서리(胥吏). [개설] 본관은 진주(晉州). 아버지는 겸사복(兼司僕) 희룡(希龍)이다. [활동사항] 1637년 ()가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갔을 때 시강원서리로 배종하였다...

단행본(1)

  • (조선왕실의 행사 2) 왕실의 혼례식 풍경 [왕실의 행사 | 단국대학교]
    저자 : 신병주(건국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 박례경(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송지...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3.01.14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중심으로 (3) 왕세자의 혼례식; 󰡔가례도감의궤󰡕를 중심으로 (4) 왕세손의 혼례식; 󰡔정조효의왕후가례청의궤󰡕를 중심으로 5. 조선 왕실의 혼례복 (1) 혼례복, 왕실의

고서·고문서(91)

  • 상례등록(喪禮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등록은 1645년(인조 23) 4월 26일 가 사망한 날부터 3년상이 끝나는 1647년(인조 25) 4월 16일까지 상례의 제반 의절과 전말을 예조에서 기록 정리하여 편찬한 것이다. 편찬자는 예조이며, 편찬시기는 인조 25년경으로 추정된다. 그 내용은 예조...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예장도감의궤(禮葬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645년(인조 23) 4월부터 6월에 이르기까지 (, 1612~1645)의 예장(禮葬)에 관한 기록으로 예장도감에서 편찬하였다. 는 인조(仁祖)의 맏아들이고, 어머니는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서평부원군(西平府院君) 한준겸(韓浚謙)의 딸 인열왕후...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빈궁도감의궤(殯宮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645년(인조 23) 4월부터 6월까지 (, 1612~1645) 예장(葬禮)때의 殯宮에 관한 기록으로, 빈궁도감에서 편찬하였다. 는 인조(仁祖)의 맏아들이고, 어머니는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서평부원군(西平府院君) 한준겸(韓浚謙)의 딸 인열왕후...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묘소도감의궤(墓所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645년 (인조 23)에 고양군 서삼릉(西三陵) 내 인종(仁宗) 효릉(孝陵)의 오른쪽에 (, 1612~1645)의 묘(墓)를 조성한 기록으로, 묘소도감에서 편찬하였다. 는 인조(仁祖)의 맏아들이고, 어머니는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서평부원군(...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가례도감의궤(嘉禮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와 민회빈(愍懷嬪)의 가례(嘉禮)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는 인조(仁祖)와 인열왕후(仁烈王后)의 맏아들로, 1623년 인조반정으로 인조가 왕위에 오른 뒤 1625년(인조3) 세자로 책봉되었다. 그 해에 가례도 거행하려 하였으나, 인조가 세자...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기초학문(4)

  • 아담 샬, 순치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2
    70739 한국연구재단 인제대학교 2012 아담 샬, 순치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1645년(인조 23) 의 죽음과《墓所都監儀軌》_프리프린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경희
    08928 정경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미상 1645년(인조 23) 의 죽음과《墓所都監儀軌》_프리프린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
    유형논문
  • 1627년(인조 5) 의 嘉禮와《[]嘉禮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세은, 게재일 : 2005
    02816 김세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5 1627년(인조 5) 의 嘉禮와《[]嘉禮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1718년(숙종 44) 嬪姜氏復位와《嬪姜氏[愍懷嬪]復位宣諡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정민, 게재일 : 2004
    01462 이정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4 1718년(숙종 44) 嬪姜氏復位와《嬪姜氏[愍懷嬪]復位宣諡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
    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11)

  • / [정치·법제/정치]

    1612(광해군 4)∼1645(인조 23). 조선 후기의 왕자. 인조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한준겸의 딸 인열왕후이다. 1625년에 세자에 책봉되고, 1627년 정묘호란 때에는 전주로 내려가 남도의 민심을 수습했으며, 그 해에 참의 강석기의 딸 민회빈과 혼인하였다. 사후

  • 강효원 / 姜孝元 [종교·철학/유학]

    1603∼1639(인조 17). 조선 중기의 서리. 아버지는 겸사복 강희룡이다. 1637년 가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갔을 때 시강원서리로 배종하였다. 필선 정뇌경이 당시 조선인으로서 후금의 통역관이 되어 온갖 횡포를 자행하던 정명수를 제거하려 할 때 적극 참가하

  • 나순용임명문서 / 羅舜鎔任命文書 [정치·법제]

    1907년(광무 11) 1월 17일. 나순용(羅舜鎔)을 영회원 참봉 판임관 5등에 서임하는 임명장. 영회원은 조선 인조의 큰아들 의 비 민회빈강씨의 묘소이다. 1903년(고종 7) 영회원으로 개칭되었다. 문서에는 발급자가 궁내부대신이자 육군부장인 심상훈(沈相薰

  • 보양관 / 輔養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 혹은 세손의 교육을 담당한 보양청의 관직. 세자보양관은 대개 3인으로 2품 이상의 고관이 임명되었으며, 그 직책의 중요성 때문에 천거문제를 둘러싸고 당파간의 분쟁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김육은 정2품직으로 세손의 보양관이 되었고, 인종 초기

  • 이박 / 李璞 [종교·철학/유학]

    1610(광해군 2)∼1678(숙종 4). 조선 후기의 무신. 아버지는 진문이다. 1636년(인조 14) 무과급제하였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임천군수 이각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적과 싸웠다. 1637년 가 볼모로 적도 심양에 갈 때 시위하였고, 돌아와서 선전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