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소학”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8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704)
사전(2,382)
- 열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유학자 소학규(蘇學奎)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57년 소학규의 족손 소화영(蘇華永)과 문인들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김현술(金賢述)의 서문과 권말에 소화영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11권 5책. 석인본...
- 소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4)에 완성되었으며, 내편(內篇) 4권, 외편(外篇) 2권의 전 6권으로 되어 있다. [내용] 내용은 일상생활의 예의범절, 수양을 위한 격언, 충신‧효자의 사적 등을 모아 놓았다. 명나라 진선(陳選)의 ≪소학집주 小學集註≫ 6권을 비롯하여 명‧청...
- 소학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송나라의 거기장군으로, 어룡을 도와 북 흉노의 군사들을 무찌른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소학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중국 고대 학교의 명칭. 태자(太子)‧왕자(王子)‧제후(諸侯) 및 공경대부(公卿大夫)의 적자(嫡子)들에게 소절(小節)과 소의(小義)를 가르치던 곳.정의중국 고대 학교의 명칭. 태자(太子)‧왕자(王子)‧제후(諸侯) 및 공경대부(公卿大夫)의 적자(嫡子)들에게 소절(小節)과 소의(小義)를 가르치던 곳.[국어국문학자료사전] | 문광부표기sohak | MR표기soh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소학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중국 송(宋)나라의 유자징(劉子澄, 1163-1232)이 주희(朱熹, 1130-1200)의 가르침으로 지은 초학자들의 수양서.정의중국 송(宋)나라의 유자징(劉子澄, 1163-1232)이 주희(朱熹, 1130-1200)의 가르침으로 지은 초학자들의 수양서.[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Sohak | MR표기Soh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단행본(6)
- 신식 소학교의 탄생과 학생의 삶 [한국 근현대 학교 풍경과 학생의 일상 | 서울대학교]저자 : 김태웅 ... | 출판사 : 서해문집 | 출판일 : 20171205유형단행본이 책은 1876년 국교 확대 직후부터 1919년 3‧1운동까지 근대 신식학교의 탄생과 학생의 일상생활을 상호 연계해 근대교육의 목표, 방향과 내용, 성격을 역사적인 맥락 속에서 서술했다. 특히 학생이 맞닥뜨린 시대적 과제와 교육제도의 변화와 함께 학교 안팎의 생활에서...
- 이학집변 3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저자 : 권진호, 이상호, 김명균, 정의우, 김우동, 남재주... | 출판사 : 한국국학진흥원 | 출판일 : 2013.12.31분야종교‧철학 | 유형단행본이학집변 제4권 육학(陸學) 이학집변 제5권 왕학(王學) 소학(蘇學) 사학(史學) 이학집변 제6권 천주학(天主學)
- 정본 여유당전서 5-잡찬집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분야문학 | 유형단행본1.附 雜纂集 一 (1)文獻備考刊誤 2.附 雜纂集 二 (1)雅言覺非 (2)耳談續纂 3.附 雜纂集 三 (1)小學珠串
- 한국 실전 고문헌 서발류 해제집 1 경부, 자부 [한국 고문헌의 지식계보학적 연구자원 구축 | 고려대학교]저자 : 심경호, 강순애, 윤재민, 정우봉... | 출판사 : 조은글터 | 출판일 : 2014.02.28분야생활 | 유형단행본經部 總經類 易類 書類 詩類 禮類 春秋類 孝經類 四書類 小學類
- 정본 여유당전서 6-대학공의 외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분야종교‧철학 | 유형단행본1.大學公議 (1)大學公議 一 (2)大學公議 二 (3)大學公議 三 2.大學講義 3.小學枝言 4.心經密驗 5.中庸自箴
논문(2)
- 성호 이익의 소학질서 판본에 대한 소고-규장각본(가)을 중심으로-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저자 : 김새미오(한림대학교) | 게재정보 : 태동고전연구 35권, 게재일 : 2015.12본고는 현재 확인되는 5종의 『소학질서』을 분석한 글이다.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소학질서』는 서울대 규장각, 성호기념관, 국립중앙도서관, 안동 국학진흥원에 소장되어 있다. 이중 규장각에서 2개 판본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이들 판본 중에서 성호선생의 ...유형논문
- 중국 조선족 소학교 3개 교과서의 환경문제 비교 분석: 조선어, 도덕과 법치, 품성과 사회 [호주 퀸즈랜드와 북부 지역의 한국학 발전을 위한 거점 대학 육성 사업 -(차세대 미래 학자 양성을 위한 교육, 연구, 그리고 지역내 협력) | The University of Queensland]저자 : Dabin Kang | 게재정보 : Journal of Siberian Federal University
고서·고문서(5,326)
- 소학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소학 최 남자 경상북도 군위군 요녕성(辽宁省) 철령시(铁岭市) 고무공장 3 2 소학, 필업, 봉천중학, 필업, 총...대표표제어소학 | 성씨최
- 소학교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소학교 김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방정현(方正县) 영건향 서광소학대년급 1 1 소학교, 졸업, 초중, 올라가면, 학습,...대표표제어소학교 | 성씨김
- 소학교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소학교 박 흑룡강성(黑龙江省) 목단강시(牡丹江市) 녕안현(宁安县) 발해진 강서촌 1 1 소학교, 4학년, 한족, 학교,대표표제어소학교 | 성씨박
- 소학교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소학교 이 요녕성(辽宁省) 철령시(铁岭市) 철령현(铁岭县) 요보우체국 전고성자 조선소학 1 1 소학교, 교원, 오래, 회...대표표제어소학교 | 성씨이
- 소학교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소학교 김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하얼빈시(哈尔滨市) 동력구(动力区) 대경로 2문 26호 3 2 소학교, 조선족학교...대표표제어소학교 | 성씨김
구술자료(33)
- 이경주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추억 - 일제강점기 소학교와 중학교 경험 -함흥학생사건에 가담하면서 월남하게 됨 - 보성전문학교 입학과 한국전쟁 참전 - 한국전쟁 발발과 입대 및 참전 경위. - 제대 후 진교중학. 고성농고. 대광중분교 교사 복무. - 결혼. 부산 이주 후 출판사 근무. - 미국구술자이경주 | 직업6.25참전 국가유공장회 워싱턴지회장 | 지역함경도
- 최진도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월남민 생애구술자료 최진도 최진도 역사 인물 현대 평양시 구술자료 - 대농의 아들로서의 유년시절 - 소학교와 평구술자최진도 | 직업당감제일교회 원로목사 | 지역평양
- 강태홍 유적조사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이다. 2) 음질 상 강태홍 김동민 김천흥 김보남 구연우 신명숙 조유성 공옥진 박차경 김춘지 문장원 최소학 최송학 박동진 신연심 박옥진 신죽 손재숙 김온경 김수경 동래권번 초량권번 경주권번 천일각 가야금 민속무용연구소 산조;기타;자료구분상세유적조사자료 | 자료유형산조;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동민
- 강태홍 유적조사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이다. 2) 음질 상 강태홍 김동민 김천흥 김보남 구연우 신명숙 조유성 공옥진 박차경 김춘지 문장원 최소학 최송학 박동진 신연심 박옥진 신죽 손재숙 김온경 김수경 동래권번 초량권번 경주권번 천일각 가야금 민속무용연구소 산조;기타;자료구분상세유적조사자료 | 자료유형산조;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손재숙
- 이승만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군 학월리 소학구에서 출생 - 전쟁으로 인민군들이 쳐들어오면서 용매도로 피난 - 의용군으로 끌려간 큰 형은 그 후로 행방불명됨 - 용매도에서 비정규 한국군이 인민군 2명 사살하고 마을 사람들에게 인민군 시체를 숨기라고 명령함 - 마을 사람들과 구술자의 형이 인민군 시구술자이승만 | 직업철원 이북도민회 | 지역황해도
기초학문(36)
- 우리의 교육문제와 『소학』(小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종은, 게재일 : 200809858 박종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8 우리의 교육문제와 『소학』(小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소학(小學)의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종은, 게재일 : 200603144 박종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6 소학(小學)의 연구동향과 과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소학(小學)의 형성과 변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069515 한국연구재단 한국중국어문학회 2010 소학(小學)의 형성과 변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유형논문 | 게재일2010
- 전통사회 ‘소학(小學)’ 교육과 청소년 예절교육의 방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도민재, 게재일 : 200802678 도민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유교학회 2008 전통사회 ‘소학(小學)’ 교육과 청소년 예절교육의 방향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조선후기 소학의 자장과 변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669130 한국연구재단 연세대학교국학연구원 2016 조선후기 소학의 자장과 변용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1,407)
- 民訴學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남셔둑셤 마쟝등디 오동인민등 오륙십명이 작일학부문젼에 회집야 호소기 긔만명 인구가 오년을 경식던 뎐토를 무뢰들이 농시험쟝을 셜립다고 모다졈탈야 농쟉을져희니 특별이쳐분라얏다더라게재일1906년 3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增設小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리경슈씨등이 학부에 립소학교 셜시방침과 규측을 로렬야쳥원얏 서울 오셔 셔에 소학교 한곳식 셜립고 학교에 학도 일명식 모집야 교육케자고 얏다더라게재일1905년 5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工業所學年延期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농상공부소관 공업젼습소 졔도즁에 학원의졸업긔한을 이년으로 뎡얏던것인 그졸업긔한이 넘어 단쵹야각죵공기의 실디연습이 대단방되다야 다시삼년으로 연긔야 졍기로 협의즁이더라게재일1907년 6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소학교련습)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오날 훈련에셔 각 어학교 학도 대운동 대 참예랴고 각 소학교 에셔도 학도들이 키 갓흔 희들노 모화셔 여러 날을 견습 다더라게재일1899년 4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의주 의실학원 여소학부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대한매일신보 의주 의실학원 여소학부 1909년 1월9일 평양 평양 평양상업회의소 민준호 등의 의주 의실학원 여소학부 건축 보조...대표표제어의주 의실학원 여소학부 | 연월일1909년 1월9일 | 지역평양
멀티미디어(1)
- 완구영화(玩具映畵)로 촬영 혹은 편집된 필름. 수집처의 정보에 의하면, 심상소학교 독본 권10 「경성의 친구에게서」, 및 12 「경성의 고모가」로 정리된 것이고, 전일본활영교육연구회가 감수하고, 우에노(上野幸清)이 쵤영, 아오지 츄조(靑地忠三)가 편집을 맡은 것이라고자료구분일본수집영상 | 제작년도1930년대 초 | 제작大毎キノグラフ
기타자료(511)
- 여소학;呂小鶴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8196 남한 경성 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1-45 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진명>> 1934 143면 ㅁ1. 회원명부(1934년 5월 현재);ㅁ25) 제23회(1933년 3월 18일) 80명 여소학;呂...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본소학생상담실안내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본소학생상담실안내 본소학생상담실안내 교육 문헌 현대 교육행정 기타교육단체 잡지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사료철명소보
- 부면별 소학교 수 (1938) [한국 근대 전자역사지도 편찬 | 고려대학교]주제분류인구와 취락 / 교육 / 초등학교 | 표현방식단계구분도
- 소학교 취학률 (1933) [한국 근대 전자역사지도 편찬 | 고려대학교]주제분류인구와 취락 / 교육 / 취학률 | 표현방식파이도
- (참고자료) 본소학생상담실안내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참고자료) 본소학생상담실안내 (참고자료) 본소학생상담실안내 교육 문헌 현대 교육행정 기타교육단체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사료철명소보
연구과제(2)
-
북경지역 한국학 교육 연구 강화 및 다민족 대상 한국학 교육 시스템 구축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 김춘선 | 中央民族大學 (Minzu University of China) | 2013 | 국외 | 해외
-
정본 퇴계전서(定本 退溪全書) 편성 사업 (2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이광호 | 퇴계학연구원 | 2018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17)
-
소학 / 小學 [언론·출판/출판]
중국의 서적명으로 유자징(劉子澄)이 주희(朱熹)의 가르침을 받아 편찬한 책. 『소학(小學)』은 소아들에게 예의·범절을 가르치기 위하여 고서 중에서 가언선행(嘉言善行)을 뽑아서 편찬된 책이다. 내편(內篇)에는 입교(立敎)·명륜(明倫)·경신(敬身)·계고(稽古), 외편(
-
번역소학 / 飜譯小學 [언론·출판/출판]
1518년(중종 13)에 김전(金詮)ㆍ최숙생(崔淑生) 등이 중국 송나라 유자징(劉子澄)이 편찬한 ≪소학≫을 번역하여 언해한 책. 10권 10책. 목판본. ≪소학집성≫을 저본으로 하여 10권이 되었다. 남곤의 발문에 간행 경위가 자세히 적혀있다. 남곤의 발문에 광인유
-
소학언해 / 小學諺解 [언론·출판/출판]
주자《소학》을 한글로 번역한 책. 6권 4책. 1586년(선조 19) 교정청에서 처음으로 간행, 이를 저본으로 몇 차례의 재간행이 이루어졌다.《소학》의 규범과 윤리를 몸에 익혀 실천함으로써 학문이 시작된다고 보았다. 중종 때《소학》을 간행하여 널리 보급하고《구결소학》
-
소학절요 / 小學節要 [종교·철학/유학]
유가류(儒家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 판종은 필사본(筆寫本)이다. 규격은 31.3×24.5cm이다.
-
여소학 / 女小學 [언어/언어/문자]
1882년(고종 19) 박문호(朴文鎬)가 부녀자들에게 필요한 글을 모아 언해한 부녀자용 교육서. 제1책의 앞에 제사(題辭), 목록(目錄)이 있고, 권1의 본문이 이어진다. 제6책의 뒷부분에 여소학발(女小學跋)과 후발(後跋), 그리고 자훈방언동이고(字訓方言同異考)가 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