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소태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
사전(12)
- 소태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소태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소교목. [내용] 학명은 Picrasma quassioides (D. DON) BENN.이다. 산지에서 자라는 식물로 높이 8m, 지름 20㎝까지 자란다. 잎은 어긋나며 기수1회우상복엽으로 작은 잎은 9∼1...
- 송사동의소태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송사리에 있는 소태나무. [내용] 천연기념물 제174호. 수령은 미상이다. 높이 20m로서 같은 나무 중에서 가장 크고, 지면부의 둘레는 4.65m이며 두개로 갈라졌다. 가슴높이둘레는 각각 3.1m와연계항목송사동의소태나무(松仕洞의소태나무)
- 고성장산숲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관을 한층 높여주고 있다. 현재 이 숲을 이루고 있는 주요수종은 느티나무‧서어나무‧긴잎이팝나무‧소태나무‧검노린재나무‧배롱나무‧쥐똥나무‧팽나무류 등으로 우리나라 남부의 고유수종들이며 모두 250그루나 되고 학술적 가치가 인정되며 동시에 문화적 또 생활환경림으로서의...연계항목고성장산숲(固城章山숲)
- 영동매천리의미선나무자생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광대싸리‧국수나무‧보리수‧분꽃나무‧생강나무‧소태나무‧숫명다래나무‧조팝나무‧쥐똥나무 등이 있으며, 덩굴식물류에는 다래나무‧복분자딸기‧으름덩굴‧인동덩굴‧줄딸기‧찔레나무‧청가시나무 등이 있다. 초본류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종류와 더불어 개맥문동‧골잎원추리‧낚...연계항목영동매천리의미선나무자생지(永同梅川里의미선나무自生地)
- 달성의측백수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 100여그루 측백나무가 순림(純林: 80% 이상이 한 가지 나무로만 이루어진 숲)에 가까운 숲을 형성하고 있는데, 소나무‧말채나무‧느티나무 등이 군데군데 자라고 있다. 숲 사이에는 관음사와 구로정이 있고 바위틈에서는 쇠물푸레‧자귀나무‧소태나무‧층층나무‧물푸레...연계항목달성의측백수림(達城의側栢樹林)
고서·고문서(1)
- 조선시대 한글편지:김진화가 아들 김흥락에게 보낸 편지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 멀리에 있으며 아무 탈 없느냐? 나는 그만하다. 오늘은 곧 청송에서 백일장을 여는 날이다. 여기에 네가 없으니 한탄스럽다. 소태나무 열여섯 그루를 보내니, 근이를 시켜서 월산 근이네 집 뒤쪽의 밭두둑 위쪽으로 산 아래쪽에 심어라. 반드시 모두 눕혀서 심고 머리가 산...발신자김진화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팀(연구책임자:황문환 교수)
멀티미디어(3)
- 18세기 중반 소태나무[苦棟]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678_18세기_중반_소태나무[苦棟] 경제_1678_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8세기 중반 소태나무뿌리[苦棟根]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679_18세기_중반_소태나무뿌리[苦棟根] 경제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5세기 중반 소태나무열매[川練子]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542_약재_15세기_중반_소태나무열매[川練子]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주제어사전(2)
-
소태나무 / Picrasma quassioides (D. DON) BENN. [과학/식물]
소태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소교목. 산지에서 자라는 식물로 높이 8m, 지름 20㎝까지 자란다. 잎은 어긋나며 기수1회우상복엽으로 작은 잎은 9∼15개이다. 형태는 난형 또는 긴 난형이며 길이 4∼10㎝, 너비 1.5∼3㎝로서 표면에 털이 없고 윤채가 있다. 가장자리에
-
가죽나무 / Ailanthus altissima SWINGLE [과학/식물]
소태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 가중나무라고도 하며, 한자어로는 가승목(假僧木)·저수(樗樹)·산춘수(山椿樹)라고 한다. 학명은 Ailanthus altissima SWINGLE.이다. 중국 원산으로 높이가 20m에 달한다. 잎은 어긋나고 기수일회우상복엽(奇數一回羽狀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