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소주방” 에 대한 검색결과 5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0)

사전(22)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과 궁장 연회 음식을 장만하는 외이 있다. 癸亥十二月二十二日一中使分付內殯殿內前面懸薦所入從實入次以薍簾條所三甲所中竹大竹等優數待令亦是置, (빈전1683/037ㄱ11~ㄴ01)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조선 시대에 궁중의 음식을 만드는 주방. 내과 외으로 나뉘는데 안[內]은 왕ㆍ왕비의 평상시의 조석 수라상을 비롯한 일상식을 장만하고 각종 찬품(饌品)을 맡아한다. 이에 반해 외(外)은 궁중의 잔치 음식을 장만하였다. 조선시대 말기에는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궁궐(宮闕) 수라간(水剌間), () 사옹방(司饔房), 설리방(薛里房), 어주(御廚), 주원(廚院), 천주(天廚) 왕실왕실건축/궁궐건축물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조옥연 으로...
    상위어궁궐(宮闕) | 동의어수라간(水剌間), 소주방(小廚房) | 관련어사옹방(司饔房), 설리방(薛里房), 어주(御廚), 주원(廚院), 천주(天廚)
  • 내주방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조선 시대에 대비와 중전의 수라를 만들던 기구. 왕과 왕비의 수라를 만드는 곳을 주방 혹은 이라 하는데 왕비와 중전의 수라를 만드는 곳을 내주방(內酒房)이라 한다. 丹覆紙長興庫味數司饔院酒味內酒房畵龍燭貳雙及廳排紅燭紅六燭等義盈庫, (가례1727/118ㄴ10~11...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TD_O5_O_0007 屠蘇酒 술 屠蘇, 屠蘇酒法, 類書, 遺藥, 却疫, 少者, 得歲, 老者, 失年, 屠, 白朮, 大黃, 桔梗, 川椒, 桂心, 虎杖根, 川烏, 藥, 淸酒 元早 孫思邈, 東坡, 李時珍 千金方, 千金方, 本草綱目 O_08_2...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8권 20장 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26)

멀티미디어(1)

기타자료(1)

주제어사전(3)

  • / 內 [정치·법제]

    는 내과 궁장 연회 음식을 장만하는 외이 있다.

  • / [정치·법제]

    조선 시대에 궁중의 음식을 만드는 주방. 내과 외으로 나뉘는데 내은 왕ㆍ왕비의 평상시의 조석 수라상을 비롯한 일상식을 장만하고 각종 찬품을 맡아한다. 이에 반해 외은 궁중의 잔치 음식을 장만하였다. 조선시대 말기에는 평상시의 조석 수라상이나 다

  • 나인명부 / 內人名簿 [정치·법제]

    창덕궁내 대조전(大造殿)과 낙선재(樂善齋) 소속 나인들의 명부. 일부 인명의 상단에 주색 권점을 찍었다. 문서는 대조전숙직나인, 낙선재나인 등으로 구성되었다. 대조전숙직나인 명부에 따르면 지밀나인 4명과 유모 1명, 세수간나인 3명, 생과방나인 1명, 나인 4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