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소주방”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0)
사전(22)
- 내소주방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내소주방과 궁장 연회 음식을 장만하는 외소주방이 있다. 癸亥十二月二十二日一中使分付內殯殿內燒廚房前面懸薦所入從實入次以薍簾條所三甲所中竹大竹等優數待令亦是置, (빈전1683/037ㄱ11~ㄴ01)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소주방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조선 시대에 궁중의 음식을 만드는 주방. 내소주방과 외소주방으로 나뉘는데 안소주방[內燒廚房]은 왕ㆍ왕비의 평상시의 조석 수라상을 비롯한 일상식을 장만하고 각종 찬품(饌品)을 맡아한다. 이에 반해 외소주방(外燒廚房)은 궁중의 잔치 음식을 장만하였다. 조선시대 말기에는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소주방(燒廚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소주방 소주방 燒廚房 궁궐(宮闕) 수라간(水剌間), 소주방(小廚房) 사옹방(司饔房), 설리방(薛里房), 어주(御廚), 주원(廚院), 천주(天廚) 왕실왕실건축/궁궐건축물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조옥연 小廚房으로...상위어궁궐(宮闕) | 동의어수라간(水剌間), 소주방(小廚房) | 관련어사옹방(司饔房), 설리방(薛里房), 어주(御廚), 주원(廚院), 천주(天廚)
- 내주방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조선 시대에 대비와 중전의 수라를 만들던 기구. 왕과 왕비의 수라를 만드는 곳을 주방 혹은 소주방이라 하는데 왕비와 중전의 수라를 만드는 곳을 내주방(內酒房)이라 한다. 丹覆紙長興庫味數司饔院酒味內酒房畵龍燭貳雙及廳排紅燭紅六燭等義盈庫, (가례1727/118ㄴ10~11...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屠蘇酒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O5_O_0007 屠蘇酒 술 屠蘇, 屠蘇酒法, 類書, 遺藥, 却疫, 少者, 得歲, 老者, 失年, 屠蘇酒方, 白朮, 大黃, 桔梗, 川椒, 桂心, 虎杖根, 川烏, 藥, 淸酒 元早 孫思邈, 東坡, 李時珍 千金方, 千金方, 本草綱目 O_08_2...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8권 20장 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26)
- 朝鮮爲中國屬國切望遵守修好條約勿侵所屬邦土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일본이 한국을 공격한다는 소문을 탐문하였더니, 대마주 평의달이 회신하여 부인함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檔案館 | 발신일1876.01.18.
- 再辯論中韓宗屬分際仍望遵守條約勿侵所屬邦土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총서가 일본공사 삼유례에게 보낸 조회문이다. 중`한의 종속관계를 재변론하고 조약을 준수하여 소속 영토를 침범하지 말 것을 요망하고 있다.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檔案館 | 발신일1876.02.12.
- 若引所屬邦土不相侵越之條崱朝鮮所爲之擧中國應負全責中國不能任責雖云屬國徒具空名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일본공사 삼유례가 총서에 보낸 공문이다. 소속 영토를 서로 침범하지 않는다는 조문을 인용하면, 조선의 행위를 중국이 전부 책임져야 하는데, 중국은 그럴 수 없으므로 비록 속국이라 해도 빈 말에 불과하다고 주장하고 있다.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檔案館 | 발신일1876.01.19.
- 내전일기(內殿日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수방(繡房)’, ‘세수간(洗手間)’, ‘생과방(生果房)’, ‘소주방(燒廚房)’, ‘세답방(洗踏房)’, ‘비자(婢子)’의 순으로 매일의 입직자 명단을 기재하였다. 지밀상궁은 왕과 왕비의 곁을 떠나지 않고 측근에서 보필하던 상궁으로 대령상궁이라고도...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8512 B068512 동래 東萊 정치행정 世祖實錄 二年(1456) 十二月 세조실록_10212024_002 ○兵曹啓: “慶尙道塩浦、富山浦、薺浦倭船初泊之處, 且恒居倭人所住防戍最緊, 傍近都節制使鎭及東萊、熊川鎭戍卒寡弱, 就當道番上侍衛牌內, 料出三百名, 分戍三鎭。” 從之。...출처전거世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멀티미디어(1)
- 경복궁 소주방지 발굴조사 보고서 Y5-0023_#1 유구 Y5-0023 경복궁 소주방지 및 흥복전지 [사진 18] 외소주방지 전경(남에서) 2013-12-05_0.3520777_Y5-0023 경복궁 소주방지 및 흥복전지 [사진 18] 외소주방지 전제목경복궁 소주방지 발굴조사 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1)
- 경복궁 소주방지 발굴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Y5-0023 유구 2013-08-30_0.3548548_국립문화재연구소_경복궁 소주방지 발굴조사 보고서_2008(표지).jpg 경복궁 소주방지 발굴조사 보고서 景福宮 燒廚房地 發掘調査報告書 2008 국립문화재연구소 349 이상준,윤광진,...발행연도2008 | 발굴기관국립문화재연구소 | 발굴지역서울특별시
주제어사전(3)
-
내소주방 / 內燒廚房 [정치·법제]
는 내소주방과 궁장 연회 음식을 장만하는 외소주방이 있다.
-
소주방 / 燒廚房 [정치·법제]
조선 시대에 궁중의 음식을 만드는 주방. 내소주방과 외소주방으로 나뉘는데 내소주방은 왕ㆍ왕비의 평상시의 조석 수라상을 비롯한 일상식을 장만하고 각종 찬품을 맡아한다. 이에 반해 외소주방은 궁중의 잔치 음식을 장만하였다. 조선시대 말기에는 평상시의 조석 수라상이나 다
-
나인명부 / 內人名簿 [정치·법제]
창덕궁내 대조전(大造殿)과 낙선재(樂善齋) 소속 나인들의 명부. 일부 인명의 상단에 주색 권점을 찍었다. 문서는 대조전숙직나인, 낙선재나인 등으로 구성되었다. 대조전숙직나인 명부에 따르면 지밀나인 4명과 유모 1명, 세수간나인 3명, 생과방나인 1명, 소주방나인 4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