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소주” 에 대한 검색결과 7,67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632)

사전(94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곡류를 발효시켜 증류한 술. [내용] 상업적으로는 곡류나 감자류 등을 원료로 하여 주정발효를 거쳐 숙성된 술덧을 증류하여 만들거나 무수주정을 물로 희석하고 설탕‧포도당‧구연산 등을 첨가하여 만든다. 는 술덧을 증류하여 이슬처...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곡주나 고구마주 따위를 끓여서 얻는 증류식 술. 四鐥, 이운근(李雲根), 35-45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TD_O5_I_0002 술 甘露, 甘紅露, 暹羅 元 我國, 平壤 I_01_19_06 만국사물기원역사 1권 19장 6절
    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19장 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I10_D_0134 경서·경학 一卷 梅月堂, 懷沙賦, 本集 D_14_01_44 대동운부군옥 14권 1장 44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1장 4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노주(露酒) 백주(白酒) 생활 풍속식생활/음식 음식 대한민국 조선 주영하 멥쌀[粳米], 수수[黍], 물[水], 누룩[麯] 왕실 제향 상식 연중 [정의] 쌀이나 수...
    동의어노주(露酒) | 관련어백주(白酒)

논문(1)

고서·고문서(6,056)

  • 06413 창가 新式流行 二八靑春唱歌集 22068 京城 時潮社 發行 捨 〈#17〉 [ 一、 ] わたしの思ふ彼の人は (와다시노 오모후 아노 히도와) 思ふわたしを振り捨てて (오모우 와다시오 후리스데데) 他國のものを妻として (다고구노 모노오 스쓰마...
    구분창가
  • 歐蘇手簡 第二卷 與簿 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25 與簿 某啓自足下西歸承有家問匆遽而行時一小子臥病方憂悶中不得相見中間得還蜀後所惠書及今者賢郎人至得書承尊履休康並以爲慰足下文行見推於時豈久窮居於遠方者未相會間千萬自愛 某啓前者辱見顧屬苦多事不得少申款曲比奉詗則承已歸縣矣但深怏怏...
    서명歐蘇手簡 | 저자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골 이 남자 강원도 원주시 길림성(吉林省) 화전현(桦甸县) 팔도하자진(八道河子鎭) 홍치1대 4 2 골,...
    대표표제어소주골 | 성씨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四 【拾遺】雜著 一 15 修四書例 42_067_013.jpg 修四書例 語意要切者, ○之。 全段不甚可觀, 而其中語句要切者, 之。 有可考觀, 而不至甚要切者, ○之。 雖不甚切, 而義通無病者, 仍舊○之。 有不害義, 有無不關者, ◎之。 全段無...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구술자료(28)

  • 수전노의 대접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계속해서 이야기를 이었다. 실재(實在)했던 인물의 이야기인 것 같았다. *
    조사일시1981-07-22 | 조사장소경상북도 안동시 목성동 | 제보자김을동
  • 바다가 라면/가창유희요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마을에 전해오는 민속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다가 분위기를 바꿔, 띵가라붕과 같은 노래를 아느냐고 물었다. 고춘랑이 그 노래는 모르겠으나 오래 전에 송정에 놀러갔다가 한 번 듣고 기억하는 노래가 있다며 이 노래를 불러주었다. 조미미의 ‘바다가 육지라면’을 개사한 노래이다
    조사일시2010. 2. 5(금) | 조사장소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송정리 15-2번지 송정리 경로당 | 제보자고춘랑(#)
  • 06_168 경남 경상남도 양산시 경상남도 양산시_이슬털이 이슬털이 첫 참소리 경상남도 양산시 동 주남(옛 웅상읍 주남리) 1989.2.8 素89-2-8③A 이일춘 이일춘(1906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어산영 류 독창 불러보자 불러보자 – 아아아아,
    녹음지역경상남도 양산시 소주동 주남(옛 웅상읍 주남리) | 녹음날짜1989.2.8 | 가창방식독창
  • 06_190 경남 경상남도 양산시 경상남도 양산시_상사 상사 오헤 상사 경상남도 양산시 동 주남동 마을(옛 웅상면 주남리) 1989.2.8 素89-2-8③A 장문경 장문경(1905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상사 류 멕받형(선후창) 오 헤 상사 디요 (
    녹음지역경상남도 양산시 소주동 주남동 마을(옛 웅상면 주남리) | 녹음날짜1989.2.8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경기도당굿 현장녹음자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변화) 18:36 시루고사 19:32 시루삼현 중 긴염불타령 22:51-23:47 시루삼현 중 상현도드리, 늦은도드리 23:47 허튼타령 24:30 삼현타령 돌장도드리 24:50 시루청배B면 01:49 를 올리면서 축원 09:29 부정놀이 10:37 도살풀이 13: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오수복

기초학문(32)

  • 양화사인상과 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3
    35850 한국연구재단 현대문법학회 2003 양화사인상과 최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명청대 片 淸明上河圖 연구: 仇英 款 片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주현, 게재일 : 2012
    41922 이주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2 명청대 片 淸明上河圖 연구: 仇英 款 片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明淸時期 地域 城隍神 信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지현, 게재일 : 2005
    10545 김지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사회생활학과 2005 明淸時期 地域 城隍神 信仰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이탈리아어 관계절의 최의적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강순행, 게재일 : 2012
    52320 강순행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 2012 이탈리아어 관계절의 최의적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近代 無錫과 농촌사회의 변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정현, 게재일 : 2001
    11858 박정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사학회 2001 近代 無錫과 농촌사회의 변화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
    유형논문 | 게재일2001

신문·잡지(510)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류죵신죄인 민죵식 박홍 조규현 량문슌 류십년 죄인 리승 익진 셔창보 리광슈 윤츙하 김영 최동식 류칠년죄인 졍인국 리긔 류오년죄인 윤쥬찬 오긔호 김인식 셔뎡희씨등 십칠인은 젼라남도 진도군으로 쇼를 뎡고 류십년죄인 민형식 리셕춍량씨 텰도로 뎡고 류죵신죄인 리...
    게재일1907년 7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徐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년에 인쳔감리 지던 셔샹집씨가 뎐환국 소포젼이 팔만여원인 쳥쟝길이 업셔 쳥국 샹로 건너갓다니 본국 대상즁에 뎨일간다던사이 져지경이 되얏스니 샹로샹일을 위야 가탄 일일너라
    게재일1903년 2월 4일 | 기사분류잡보
  • 城外 (성외)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작품명_원문蘇州城外 | 부제_원문ㅁ馬をㅁつて | 부제_한글ㅁ마를 ㅁ서 | 게재일19240420 | 게재판 | 게재면01 | 게재단5-6
  • 特廉價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한량인이 협의와 대한소쥬 특별이 염가로 한사발에 신화 二十錢식 방오니 쳠군 죠량오셔 인항사동 시탄상 뎡경보에게 의시오 인항일한소쥬합자회샤 일인 오구다 한인 뎡경보 고 <1906년 04월 27일 금요일 제09권 제091호>
    게재일1906년 4월 26일 | 기사분류광고
  • 特廉價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한량인이 협의와 대한소쥬 특별이 염가로 한사발에 신화 二十錢식 방오니 쳠군 죠량오셔 인항사동 시탄상 뎡경보에게 의시오 인항일한소쥬합자회샤 일인 오구다 한인 뎡경보 고
    게재일1906년 5월 3일 | 기사분류광고

멀티미디어(2)

기타자료(58)

  • 영;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5949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59면 영;永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제21회 1939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金 해주읍 동영정 14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영;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2194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0 293면 2. 학생 및 생도 성명 (1939년 5월 말일 현재);6) 예과생도;(10) 이과 2학년 을류 2조(37명) 영;永...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영;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1784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39 289면 2. 학생 및 생도 성명 (1939년 5월 말일 현재);6) 예과생도;(14) 이과 1학년 을류 2조(42명) 영;永...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서쇠주;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7232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22면 서쇠주;徐 제6회 1929년 3월 25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7)

주제어사전(38)

  • / [생활/식생활]

    곡류를 발효시켜 증류한 술. 는 술덧을 증류하여 이슬처럼 받아내는 술이다. 상업적으로는 곡류나 감자류 등을 원료로 하여 주정발효를 거쳐 숙성된 술덧을 증류하여 만들거나 무수주정을 물로 희석하고 설탕·포도당·구연산 등을 첨가하여 만든다.

  • 방 / 內 [정치·법제]

    는 내방과 궁장 연회 음식을 장만하는 외방이 있다.

  • 방 / [정치·법제]

    조선 시대에 궁중의 음식을 만드는 주방. 내방과 외방으로 나뉘는데 내방은 왕ㆍ왕비의 평상시의 조석 수라상을 비롯한 일상식을 장만하고 각종 찬품을 맡아한다. 이에 반해 외방은 궁중의 잔치 음식을 장만하였다. 조선시대 말기에는 평상시의 조석 수라상이나 다

  • 집 /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인 홍직영(洪稷榮, 생몰년 미상)의 문집. 58권 29책(이 가운데 14권 7책이 결본이다). 필사본. 서발이 없어 간행경위 등은 자세하지 않다.『집』 권1은 부(賦) 8편, 권2는 시 219수, 권3∼6은 결본, 권7∼24는 시 2,870수, 권2

  • 소작농 / [사회/사회구조]

    토지를 지주로부터 빌려서 경작하는 사람. 소작농과 자본제적 차지농(借地農) 사이에는 근본적인 차이점이 존재하는데, 후자는 토지에 자본을 투자하여 이윤의 획득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데 반하여, 전자는 생활수단의 획득이 주된 목적으로 농업경영을 하는 것이다. 즉 소작농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