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소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05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44)
사전(323)
- 소선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黑漆中圓盤陸丁未八月十五日以存伍啓下黑漆小圓盤陸已上大小膳所用丁未八月十五日以存伍啓下, (가례1727/24ㄱ09~11)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소선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소현성의 아버지이다. 태종 때 대승상 겸 강릉후를 지낸다. 어진 성품과엄격한 법도로 집안을 다스린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소선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수나라 말엽에 정병 수십 만을 거느리고 군현에 웅거하여 천하의주인되기를 노린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소선(素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소선 소선 素膳 소식(素食) 각선(却膳), 감선(減膳), 복선(復膳), 철선(撤膳) 생활 풍속식생활/음식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주영하 [정의] 생선이나 고기가 들어가지 않은 음식, 혹은동의어소식(素食) | 관련어각선(却膳), 감선(減膳), 복선(復膳), 철선(撤膳)
- 소선(素扇)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소선 소선 素扇 국장(國葬), 노부(鹵簿), 대가의장(大駕儀仗), 반차(班次), 발인(發靷), 법가의장(法駕儀仗), 봉선(鳳扇), 부묘(祔廟), 산선(傘扇), 소가의장(小駕儀仗), 천장(遷葬), 흉의장(凶儀仗) 왕실왕실의례/흉례...관련어국장(國葬), 노부(鹵簿), 대가의장(大駕儀仗), 반차(班次), 발인(發靷), 법가의장(法駕儀仗), 봉선(鳳扇), 부묘(祔廟), 산선(傘扇), 소가의장(小駕儀仗), 천장(遷葬), 흉의장(凶儀仗)
고서·고문서(1,478)
- 소선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소선 최 남자 경상북도 요녕성(辽宁省) 무순시(抚顺市) 무순현(抚顺县) 교구 리석채향 류선촌 3 2 소선, 중국,...대표표제어소선 | 성씨최
- 經史門6_玄蘇善偵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玄蘇善偵 壬辰之燹, 中國疑我導倭入寇, 此有由也. 明人許儀後者, 被虜在倭, 密報天朝曰: “高麗遣使, 入貢爲質, 而催關白速行云云.” 後其動兵, 果如所報, 中國如何不之信哉? 馬島小酋橘光連者, 一名康光, 與玄蘇來聘, 密告我人曰: “日本已定犯上之計, 請誅今來數酋, 以弭大禍.”...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三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을미년 시소선접정간책(試所先接正間冊)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관안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 현소장처합천 용연서원
- 稽古 “問所膳”, 欲察其所膳而更進也. “末有原”, ()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HCLL_4:2:1 “問所膳”, 欲察其所膳而更進也. “末有原”, 謂勿以所不膳更進也.서명소학질서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蘇船被擊(소선피격)은 傀儡(괴뢰)의所行(소행)"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蘇船被擊(소선피격)은 傀儡(괴뢰)의所行(소행)"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대표표제어"蘇船被擊(소선피격)은 傀儡(괴뢰)의所行(소행)"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해군, 동해, 선박, 포탄, 발사
구술자료(4)
- 삿갓 쓴 소선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좋은 얘기 고맙다고 하자 제보자는 ‘물짠 것’이라며 미안하다□고 <page id="735"/>했다. 조사자가 과거 보러 간 얘기를 청했더니 그러지□하면서 얘기를 했다. 구연 중 라이터를 들고 만지작거렸다. *조사일시1984-04-03 | 조사장소전라남도 승주군 별량면 | 제보자양희운
- 구렁덩덩 소선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이 원활하게 이어지지 않기에 조사자가 이 이야기를 유도했더니 북실댁이 알고 있다는 눈치를 보여서 청해 듣게 됐다. 처음 꺼내는 얘기라서 그런지 자신없고 쑥스러운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홀치기일을 계속하면서 구연했다. *조사일시1982-02-17 | 조사장소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 제보자박용애
- 구렁덩덩 소선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날, 민요를 듣기 위해 안노인들의 계(契)모임이 열리고 있는 자리를 방문해서 노래와 아울러 들은 한 자리 이야기다. *조사일시1982-01-19 | 조사장소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 제보자황필녀
- 통영 오귀새남굿 음악조사 ③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31:24 A면 1) 부정굿 장단 조사(조너리 푸너리 제만수)(00:00)2) 부정굿(01:11)노래 김소선 장고 마OO 북 마OO 징∙피리∙젓대 마OOB면 3) 혼백건짐굿(00:00) pdf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소선
기초학문(3)
- 『종북소선』의 평어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희병, 게재일 : 200824946 박희병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민족문학사학회 2008 『종북소선』의 평어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08
- 19세기 일급 예기의 삶과 섹슈얼리티 : 의녀 옥소선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신경숙, 게재일 : 200412597 신경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사학회 2004 19세기 일급 예기의 삶과 섹슈얼리티 : 의녀 옥소선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유형논문 | 게재일2004
- 경압 불안정파의 흐름과 유속의 가시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소선섭, 게재일 : 200001883 소선섭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0 경압 불안정파의 흐름과 유속의 가시화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유형논문 | 게재일2000
신문·잡지(132)
- 旋△召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각도에어를 파송데 마와 유쳑지 츌급야 졍케다더니 엇지되여 쇼환이 된다더라게재일1906년 2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召還鳩盧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동뎐을거즉 아뎨셔 구로도긴 대쟝을 소환고 니고라이우잇지 공으로 그후임을 명얏다더라게재일1905년 3월 17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卽行召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참모부에셔 외부로 죠회하기를 륙군참위 윤치졍이가 지금젼쟝에 통변으로 잇슨즉 쳬임하기를 기려 소환한다이 지완하니 일공관으로 죠회하야 곳소환케하라 하엿다더라게재일1904년 12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啞將召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신보에 루타뎐을 거즉 극동춍독 아력시후씨 아국졍부에서 소환고로 거월삼십일에 동요를다리고 하루빈에셔나 구라파로가서 본월십일에 아국서울에 도착 예졍이라더라게재일1904년 11월 10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公使召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외부에셔 쥬쳥공관으로 뎐훈기 공 불일회국고 참셔관 박태영으로 리공 위임하라 엿더라게재일1904년 11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50)
- 추태후와 기황후 3주차. 정희왕후와 인수대비 4주차. 신사임당, 임윤지당, 김만덕 5주차. 궁녀 고대수 6주차. 이은숙과 허은 7주차. 유관순 8주차. 강주룡 9주차. 이태영 64주차. 이소선 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김난옥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강사 고려강좌제목한국사의 여성 | 강의자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 추태후와 기황후 3주차. 정희왕후와 인수대비 4주차. 신사임당, 임윤지당, 김만덕 5주차. 궁녀 고대수 6주차. 이은숙과 허은 7주차. 유관순 8주차. 강주룡 9주차. 이태영 65주차. 이소선 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김난옥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강사 고려강좌제목한국사의 여성 | 강의자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 추태후와 기황후 3주차. 정희왕후와 인수대비 4주차. 신사임당, 임윤지당, 김만덕 5주차. 궁녀 고대수 6주차. 이은숙과 허은 7주차. 유관순 8주차. 강주룡 9주차. 이태영 66주차. 이소선 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김난옥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강사 고려강좌제목한국사의 여성 | 강의자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 추태후와 기황후 3주차. 정희왕후와 인수대비 4주차. 신사임당, 임윤지당, 김만덕 5주차. 궁녀 고대수 6주차. 이은숙과 허은 7주차. 유관순 8주차. 강주룡 9주차. 이태영 67주차. 이소선 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김난옥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강사 고려강좌제목한국사의 여성 | 강의자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 추태후와 기황후 3주차. 정희왕후와 인수대비 4주차. 신사임당, 임윤지당, 김만덕 5주차. 궁녀 고대수 6주차. 이은숙과 허은 7주차. 유관순 8주차. 강주룡 9주차. 이태영 68주차. 이소선 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김난옥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강사 고려강좌제목한국사의 여성 | 강의자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기타자료(54)
- 소선규;蘇宣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8994 일본 福島 信夫 福島高等商業學校 福島高等商業學校一覽 大正14年~大正15年 1925―08―29 124면 소선규;蘇宣奎 조선학교소재지역福島 信夫 | 학교명福島高等商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소선규;蘇宣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8998 일본 福島 信夫 福島高等商業學校 福島高等商業學校一覽 大正15年~大正16年 1926―07―29 125면 소선규;蘇宣奎 조선학교소재지역福島 信夫 | 학교명福島高等商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소선규;蘇宣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9005 일본 福島 信夫 福島高等商業學校 福島高等商業學校一覽 昭和2年~昭和3年 1927―08―10 134면 소선규;蘇宣奎 조선학교소재지역福島 信夫 | 학교명福島高等商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소선규;蘇宣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9020 일본 福島 信夫 福島高等商業學校 福島高等商業學校一覽 昭和3年~昭和4年 1928―08―20 104면 소선규;蘇宣奎 조선 제4회 1928년학교소재지역福島 信夫 | 학교명福島高等商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소선규;蘇宣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3918 일본 東京 東京商科大學 東京商科大學一覽 1928년도 1928―10―20 235면 소선규;蘇宣奎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商科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8)
-
소선 / 小膳 [생활]
왕이나 왕비, 세자, 세자빈을 위한 연회에 진설하는 쇠고기와 양고기로 만든 음식. 무신년 진찬에서는 우육숙편ㆍ양육숙편을 갑번자기에 담아 목단화와 홍도삼지화를 꽂아서 소원반에 담았다. 이에 반해 대선은 돼지고기와 닭고기로 음식을 마련하였다.
-
빈소선생전 / 嚬笑先生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이익(李瀷)이 지은 전(傳). 『성호선생문집(星湖先生文集)』 68권에 실려 있다. 「빈소선생전」은 이익의 「동방일사전(東方一士傳)」과 같이 높은 재주와 고상한 뜻을 가진 선비로서 초야에 묻혀 드러나지 않은 이가 많음을 슬퍼하는 내용이다. 이 작품은 비록
-
각관단록 / 閣館壇錄 [역사/근대사]
문형록(文衡錄)·영수각어첩(靈壽閣御帖)·기사고사(耆社故事)·기로소선생안범례(耆老所先生案凡例)·기사보유(耆社補遺)·군영설치(軍營設置)·장신록(將臣錄) 등의 기록이 실려 있다.정당고사 및 정부관제 연혁은 조선조의 중앙관제를 설치하게 된 배경과 시대별로 달라진 내용을 수록하
-
국기복색 / 國忌服色 [생활/의생활]
조선 후기 헌종의 후궁인 경빈김씨(慶嬪金氏)가 지은 국기일(國忌日)에 입는 복식에 관한 책. 조선시대 헌종의 후궁인 경빈김씨의 기록인 ≪‘국긔복소션’≫에는 조선시대 역대 국기일과 비(妃)·빈(嬪)·나인[內人]의 국기복식 및 근신하는 몸가짐[素膳:변변치 못한 음식]에
-
제5차 개헌 / 第五次改憲 [정치·법제/법제·행정]
1962년 11월 민정이양을 위한 헌법개정안이 국가재건최고회의에서 의결된 후, 12월 17일 국민투표에 의해 확정, 26일 공포되어 이루어진 헌법개정. 제3공화국의 헌법이 된 이 개헌안의 주요내용은 대통령제 채택, 소선거구제 채택, 국회의 단원제와 정당국가화에 따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