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소상” 에 대한 검색결과 6,07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999)

사전(1,09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러나 기년상(朞年喪)인 경우에는 11개월 만에 연사(練祀)를 지내며, 13개월만에 대상(大祥)을 지내고, 15개월만에 담제(禫祭)를 지내도록 규정하고 있다. 기년상이란 부재모상(父在母喪)과 처상(妻喪)을 말하는 것이며, 연사는 연상(練祥)이라 하여 을 생략...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구려시대의 관등. [내용] 『주서(周書)』나 『수서(隋書)』등에 전하는 고구려 관등 중 소사자(小使者)를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되며, 고구려 말기의 14관등 가운데 제10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은 『삼국사기』잡지(雜志)...
    이칭별칭소사자(小使者)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깊이 생각함. 續而道村宗言有先稿之端 未免前期發去 遂失一穩, 권만(權萬), 44-51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자세히 생각함. 若僉意大以爲不可 則亦當更入耳, 김수항(金壽恒), 23-129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상주(喪主)에게 또는 상주가 보내는 편지. 餘萬萬不次 謹, 이명한(李明漢), 23-71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단행본(1)

  • 尤庵 宋時烈과 性理學的 畵 文化 - 조선후기 儒學者 畵의 祭儀的, 思想的, 政治的, 造形的 脈絡 [尤庵 宋時烈과 性理學的 肖像畵 文化 - 조선후기 儒學者 肖像畵의 祭儀的, 思想的, 政治的, 造形的 脈絡 | 한성대학교]
    저자 : 강관식 ... | 출판사 : 미정 | 출판일 : 202001
    본 연구는 “尤庵 宋時烈과 性理學的 肖像畵 文化 - 조선후기 儒學者 肖像畵의 祭儀的, 思想的, 政治的, 造形的 脈絡”을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조선후기 성리학 문화와 초상화 문화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尤庵 宋時烈(1607-1689)의 ...

고서·고문서(4,160)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970 喪儀節要 卷一 ITKC_MP_0597A_0970_010_0140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
    권차명喪儀節要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970 喪儀節要 卷一 ITKC_MP_0597A_0970_020_0130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
    권차명喪儀節要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之也. 不爾, 則亦須改製, 方免窒礙. 或曰: “練布爲冠, 特擧重者言, 非謂不變衰裳也.” 然下文“婦人截長裙”, 分明是仍舊而截去也. 雖男子, 似無異例, 此爲從時別製服者, 無疑. HCFR_4:19:6 “金珠”者, 金玉珠翠也. 見“易服”條, 彼詳, 而此略也. HCFR...
    서명가례질서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00392 잡가 증보신구잡가 12008 1915 노익형 한성서관 노익형 방성식 三十錢 팔경 [38] 산학이 명고 음풍이 로호야 슈변에 우  쳔병만마 셔로마 철긔도창 이엇 듯 쳠하 헤 급 형셰는 쳑 폭포 쏘...
    구분잡가 | 편저자노익형
  • 04420 잡가 가집 16002 1934년 이후 이왕직 아악부 필사본 八景 [8] 山岳이 潛形하고 陰風이 怒吼하야 水邊의 듯난소래 千兵萬馬 셔로 마자 鐵騎刀 이엇는 듯 簷下 에 急한 形勢 百折 瀑布 쏘와 잇고 대슙풀 흣뿌릴 졔 皇英...
    구분잡가 | 편저자이왕직 아악부

구술자료(39)

  • 팔경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 | 제보자박귀출
  • 팔경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1-07-28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삼랑진읍 | 제보자박귀출
  • 팔경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흥을 돋구던 임사봉 할머니가 바로 이어서 불렀다.*
    조사일시1980-02-01 | 조사장소전라북도 전주시 서서학동 | 제보자임사봉
  • 팔경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장소전라북도 완주 | 제보자임사봉
  • 팔경(八景)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춘향가의 일절 같은데 제보자의 자의에 의한 가창이라 어느 대목인지 알 수 없다.*
    조사일시1979-03-11 | 조사장소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 제보자오미례

기초학문(15)

  • 공인 성과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미상
    00903 미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공인 성과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246088d01124610749
    유형논문
  • 공인 영세자영업자의 직업능력개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동수, 게재일 : 2006
    05391 박동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영남대학교 산경연구소 2006 공인 영세자영업자의 직업능력개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역사기술에서의 헝가리 민족의 자화상(自畵像)과 초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유진일, 게재일 : 2012
    50907 유진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유럽발칸연구소 2012 역사기술에서의 헝가리 민족의 자화상(自畵像)과 초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일신상점’ 자료를 통해서 본 20세기농촌인의 변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경희, 게재일 : 2015
    53951 임경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역사학회 2015 ‘일신상점’ 자료를 통해서 본 20세기농촌인의 변화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한국 공인의 조직화와 체인 인식도에 관한 정책 지원 모델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서근하, 게재일 : 2010
    26679 서근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소기업학회 2010 한국 공인의 조직화와 체인 인식도에 관한 정책 지원 모델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
    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606)

  • 退却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젼 평리원판 죠경구씨가 원 슈반판로잇슬에 밀양군 리병셔씨와 윤희구씨의뎐답송에야 윤씨에게 뢰물을밧고 리씨 락과일로 죠경구씨의 왕법상을 로렬야 법부에쳥원얏더니 그일이 평리원에셔 귀결치안은송라고 그소쟝을 퇴각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4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被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무쳥에서 잡슐등을 긔포 무복등류가 겁야 피신엿다더니 사직동거난 소위 자근쳥치마가 무엇을 밋난지 여젼이 슐다가 경무쳥에 피착한지라 한셩판소로 곳 이수엿다더라
    게재일1905년 4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火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본월이일에 밀양군 동면 구남리에 화젹슈십명이 돌입야 인가삼십여호를 츙화엿데 사륙명은 피상야 긔지경이라고 영흥군읍에 거월이십일에 김명권의 집에 불이나셔 피상 사이 이십인이라더라
    게재일1902년 4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 合設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촉한소렬황뎨 슝봉하는말은 이왕긔 하엿거니와 그슝봉묘는 동남북 관뎨묘로 합하야 형상을 봉안다더라
    게재일1902년 10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 還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참졍 셔졍슌씨도 차관건으로 상소엿더니 그샹소도 봉환이 되엿다더라
    게재일1901년 6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88)

  • 욱;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3115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1 318면 2. 학생 및 생도 (1941년 6월 말일 현재);8) 예과생도;(2) 문과 3학년 을류(28명) 평욱;平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욱;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학 평욱;平昱 (본적)충남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용;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5281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 1942년 11월 현재(제20호) 1942―12 82면 금용;金用 경남 거창군 거창면 송정리 본과제14회 1937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구고성(溝古城)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역사 유적 고대 구고성(溝古城) 중국 구고성(溝古城) 관방유적 / 산성 발해 길림성 이통현(伊通县) 이도향(二道乡) 흑정자촌(黑顶子村) 배가구둔(裴家沟屯) 구고성.pdf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
    대표표제어소상구고성(小上溝古城) | 유적소재국가중국 | 유적명소상구고성(小上溝古城)
  • 윤상린;尹相麟;평린;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6645 남한 충남 공주고등보통학교 2-06 졸업대장(충남공주고등학교) n.r. 73-2면 윤상린;尹相麟;평린;平麟 제16회 1941년
    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3)

주제어사전(73)

  • / [사회/가족]

    사망한 날로부터 1년이 지난 뒤에 지내는 상례의 한 절차. 초상(初喪) 때부터 계산하여 13개월만에 지내는데 윤달은 계산하지 않는다. 옛날에는 13개월이 되면 날을 받아서 지냈지만 지금은 사망한 지 1주년이 되는 날 지낸다. 그러나 기년상(朞年喪)인 경우에는 11개월

  • / [문학]

    조선시대 한글편지 투식어. '삼가 아뢰나이다'의 뜻으로 일반적으로 편지의 끝부분에 쓰인다. 보통 상제(喪制)가 편지 끝에 쓰는 용어이다.

  • 팔경 / 八景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이후백(李後白)이 지은 연시조. 모두 8수로, 작자의 문집인 『청련집 靑蓮集』을 비롯한 30여 가집에 수록되어 있다. 제1연은 순(舜)임금의 죽은 영혼이 강의 대나무 사이의 비가 된 뜻은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의 천년동안 흘린 눈물을 못내 씻어 볼

  • 팔경가 / 八景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잡가라고도 한다. 강(江) 주변의 8개의 승경을 노래한 것으로, 한 경치를 한 단으로 읊어 모두 8경 8단으로 되어 있다. 내용은 야우(夜雨)·동정추월(洞庭秋月)·원포귀범(遠浦歸帆)·평사낙안(平沙落雁)·황릉애원(黃陵哀怨)·어촌낙

  • 김시습 초상 / 金時習 [예술·체육/회화]

    조선시대 승려이자 문인이었던 김시습의 초상. 보물 제1497호.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72㎝, 가로 48.5㎝.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무량사(無量寺)에 소장되어 있다. 조선 전기의 승려이자 문인이었던 김시습(金時習)을 그린 영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