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소백산맥” 에 대한 검색결과 36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0)

사전(25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갈래로 갈라져 남에서 남서간을 달린다. 은 산세가 험준하고 줄기가 뚜렷한데 이는 독자적인 지반운동에 의해 형성되었기 때문이라고 본다. [명칭 유래] 태백산맥에서 갈라져 나온 비교적 작은 산맥이라, 이라 칭하였다고 한다. [자연환경] ...
  • 주흘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에 있는 산. [개설] 높이는 1,106m이다. 의 주봉으로서 북동쪽의 소백산(1,440m)ㆍ문수봉(文繡峰, 1,162m), 남쪽의 속리산(1,058m)ㆍ황학산(黃鶴山, 1,111m)과 함께 충청...
  • 추풍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과 충청북도 영동군 추풍령면 사이에 있는 고개. [개설] 높이는 221m이다. 이곳은 과 노령산맥이 나누어지는 곳으로 동쪽의 묘함산(卯含山, 733m)과 서쪽의 눌의산(訥誼山, 743m), 북쪽의...
  • 대덕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김천시 대덕면과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에 걸쳐 있는 산. [내용] 높이 1,290m. 의 고봉으로, 안산암으로 되어 있으나 남쪽과 남동쪽 산정은 조면암질암(粗面岩質岩)으로 되어 있다. 남서쪽에 삼봉산(...
  • 봉산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리 지점에 봉산이라는 지명이 있고, 이 지역이 을 경계로 하는 신라와 백제의 국경지대이기 때문이다. 신라의 내해왕 때 백제군이 봉산(烽山) 아래로 침입하자 연진(連珍)이 이들을 격파하여 천여급(千餘級)을 벤 다음 봉산성을 쌓았다고 한다. 255년(첨해왕...

고서·고문서(6)

  • 거창군읍지(居昌郡邑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1899년(광무3)경 경상남도 거창군(居昌郡)에서 만든 읍지이다. 거창군은 현재 행정구역상으로 경상남도 거창군 지역으로, 북서쪽으로 을 통해 전라북도 무주군, 장수군 등과 접해있으며, 동쪽은 합천군, 남쪽은 함양군, 북쪽은 경상북도 김천과 경계를 맞대고 있다...
    내용분류정치/행정 - 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전라북도각군읍지(全羅北道各郡邑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전라북도(全羅北道) 26개 군(郡)의 읍지를 모은 책이다. 전라북도는 북으로는 금강을 경계로 충청남도와, 동으로는 으로 경상도와, 남으로는 노령산맥을 경계로 전라남도와 접한다. 도의 서부 지역은 황해와 접하며 동진강과 만경강이 흘러 바다로 유입한다. 고종...
    내용분류사회-지리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전라북도조사재료(全羅北道調査材料)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일제강점 초기인 1910년에 전라북도의 교육‚ 경제‚ 행정‚ 호구‚ 치안‚ 보건‚ 사법‚ 교통 등 제반 분야의 실태를 조사한 보고서들을 편집한 책이다. 전라북도는 북으로는 금강을 경계로 충청남도와, 동으로는 으로 경상도와, 남으로는 노령산맥을 경계로 전라...
    내용분류사회-지리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안동이라 조타마소 직시여산 곳진고 원문38ㄱ 군이 군이: 군위(軍威). 경상북도 군위군에 있는 읍. 으로 둘러싸인 산간 분지로 소, 농산물 따위가 난다. 군청 소재지이다.을 조타마소 일립곡 일립곡: 일립곡(一粒糓).을...
    가사유형탄식가류 | 소장처조춘호 | 시대해방이전
  • 梨花開道時山祭告由文 4 梨花嶺에 길을 닦고 山神에게 고하는 고유문이다. 이화령은 충청북도 괴산군과 경상북도 문경시의 경계를 이루는 고개로, 의 조령산과 갈미봉 사이에 있다. 鳳鳴山神祭告由文 4 鳳鳴山산신제를 지낼 때의 고유문이다. 祭竈神告由文 4 竈王神...
    분야문학 | 유형문헌

기초학문(1)

  • 4-6세기경 以東地域의 領域向方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47881 한국연구재단 4-6세기경 以東地域의 領域向方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043
    유형논문

신문·잡지(25)

기타자료(15)

  • 중앙고속도로 건설예정지역내(영주-풍기간) 문화유적 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유물은 석곽의 내외에 흩어져서 출토되었는데, 이는 도굴로 인해 원래의 위치에서 옮겨진 것으로 추정된다. 중앙고속도로 영주-풍기 구간 내 선형변경구간은 영주시 안정면 용산동에서 영주시 풍기읍 수철리에 걸쳐 있다. 지역은 주맥의 죽령터널 지역에서 점차 낮아지...
    발행연도1998 | 발굴기관안동대학교박물관/한국도로공사 | 발굴지역경상북도
  • 괴강 관광지 조성사업부지내 괴산 두천리‧검승리유적 시굴조사 보고서(I‧II차)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게 되었다. 괴산군은 과 노령산맥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동고서저의 지형을 보이고 있다. 기후는 연평균 기온이 9.5℃로 우리나라의 연평균 기온인 11℃보다 낮은 전형적인 산간기후를 나타내며 연평균 강수량은 1,278.9mm이다.괴산군 일대는 구석기 시대의...
    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중원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충청북도
  • 청주 운동초‧중학교 시설사업부지내 청주 운동동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초등학교는 기존의 학교 뒤쪽으로 흘러내린 능선 말단부로 이전되는 신설 계획을 세운것이다. 이에 따라 지표조사를 실시한 결과 유물산포지로 확인이 되어 자세한 유물 및 유구의 성격을 확인하기 위해서 발굴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청주지역은 지형적으로 에서 분기...
    발행연도2008 | 발굴기관중원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충청북도
  • 로 추정되는 철기편의 수량이 가장 많다. 그밖에 청동개 1점이 발견되었다. 경상북도 상주는 동쪽은 낙동강을 따라 분지와 저지대가 발달해있고, 서쪽은 이 위치하여 서고동저의 지세를 이룬다. 상주시는 지리적으로 붕쪽은 조령을 통해서 충청, 경기도 지역으로, 동...
    발행연도1998 | 발굴기관한국문화재보호재단/㈜한진중공업 | 발굴지역경상북도
  • 주목한 영암군에서 목포대학교 박물관에 의뢰하면서 밝혀지게 되었다. 월출산은 선사시대 이래 발달된 해로의 비옥한 영산강 주변의 농경지를 배경으로 하는 이 지역의 문화와 역사를 상징하고 있다. 우러출산은 의 남쪽 끝에 위치하여 강진군과 영암군의 경계를 이루며 천황봉...
    발행연도1996 | 발굴기관목포대학교박물관/영암군 | 발굴지역전라남도

주제어사전(69)

  • / [지리/자연지리]

    태백산 부근에서부터 경상도와 강원도·충청도·전라도의 경계를 따라 서남방으로 내려가 여수반도에 이르는 산맥. 은 연속된 산맥이어서 영남 지방과 중부·호남 지방간에 교통의 장애가 되어왔다. 영남 지방이라는 명칭도 과거 중부 지방에서 볼 때 경상남북도가 이 산맥의

  • 대덕산 / 大德山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김천시 대덕면과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는 1,290m이다. 대덕산은 의 고봉으로 대부분 안산암(安山岩)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정부에는 부분적으로 조면암질(粗面岩質) 암석이 나타난다. 화산암과 주변에 분포하는 화강암의 차별침식에

  • 노령산맥 / 蘆嶺山脈 [지리/자연지리]

    ()의 추풍령(秋風嶺) 부근에서 갈라져 남서방향 뻗은 산맥. 길이 약 200㎞의 구릉성 산지이다. 산맥 내에는 대둔산도립공원, 덕유산국립공원, 무주구천동계곡, 내장산국립공원, 모악산과 마이산도립공원 등 천혜의 자연경관과 모악산의 금산사(金山寺)·내장사·

  • 문경시 / 聞慶市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북서부에 위치한 시. 동쪽은 예천군, 서쪽은 을 경계로 충청북도 괴산군, 남쪽은 상주시, 북쪽은 을 경계로 충청북도 제천시·충주시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7°52′∼128°22′, 북위 36°31′∼36°52′에 위치한다. 면적은 911.17

  • 영남지괴 / 嶺南地塊 [지리/자연지리]

    의 남동측에 있는 긴 변성암 지괴. 에 거의 평행하게 북동∼남서로 연장되어 있다. 그 북동단은 동해안의 울진에서 시작하여 태백산·예천·상주를 지나 의 남반부와 지리산·광주·목포를 잇는 선을 따라 총 연장 약 500㎞, 평균폭 약 45㎞의 지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