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소미통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6)
- 古史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訓義, 資治通鑑事類, 通鑑紀事本末, 綱目, 紀事本末, 通鑑纂要, 資治通鑑辨誤, 續資治通鑑長編, 通鑑節要續, 紀事本末前編, 少微通鑑節要, 耳目口心書, 少微通鑑節要, 節要, 節要, 通鑑續, 通鑑紀事本末摘要, 甲子會紀, 續通鑑, 御批通鑑輯覽, 評鑑闡要, 資治通鑑, 資治通鑑綱...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5권 1장 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역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나 오경(五經)‧≪소미통감 少微通鑑≫‧≪송원절요 宋元節要≫ 중에서 시험 과목을 택하고자 하는 사람은 들어주었다. 그리고 몽학‧왜학‧여진학에는 강서 시험(講書試驗)은 없고 따로 전문서의 사자(寫字)와 ≪경국대전≫ 번역을 시켰다.몽학의 경우 사자하는 데 사용되던 책들은 ≪...
- 이학(吏學)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齋孝經)』, 『소미통감(小微通鑑)』, 『전후한이학지남(前後漢吏學指南)』, 『충의직언(忠義直言)』, 『동자습대원통제(童子習大元通制)』, 『지정조격(至正條格)』, 『어제대고(御製大誥)』, 『박통사(朴通事)』, 『노걸대(老乞大)』, 『사대문서(事大文書)』, 『등록제술(謄錄製...상위어십학(十學) | 관련어승문원(承文院), 한이학(漢吏學), 사역원(司譯院)
- 홍이상(洪履祥)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변명하다가 안동부사(安東府使)로 좌천되었다. 그는 안동부사로 나가서 『소미통감절요(少微通鑑節要)』를 간행하였다. 1605년(선조38) 중추부 동지사가 되었다가, 다시 호조 참판이 되었다. 1607년(선조40) 부모를 봉양하기 위해 청주목사(淸州牧使)로 나갔다가, 이듬해...
- 임고서원(臨皐書院)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서원의 사액을 요청하여 윤허를 받았다[『명종실록』 9년 11월 2일]. 조정에서는 ‘임고서원(臨皐書院)’ 편액을 내림과 아울러 원유들의 학업을 위하여 노비와 전결(田結), 『소미통감(少微通鑑)』·『통감속편(通鑑續編)』 등의 서책을 하사하였다. 또한 인근 지역인 금산(...상위어서원(書院) | 관련어이황(李滉), 인조기사모본정몽주영정(仁祖己巳摹本鄭夢周影幀), 임고서원소장전적(臨皐書院所藏典籍), 장현광(張顯光), 정몽주(鄭夢周), 황보인(皇甫仁)
고서·고문서(4)
- [經史篇四]論史門一_後秦紀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後秦紀 後秦紀: 아단문고본(가)에는 ‘後秦記’로 되어 있다. 江氏《少微通鑑》, 以秦 政、呂氏之故, 別立《後秦紀 紀: 아단문고본(가)에는 ‘記’로 되어 있다.》者, 過矣. 如 如: 아단문고본(가)에는 ‘此’로 되어 있다.柴榮之別於周, 而亦可謂後周耶, 況不韋 韋: 규장각...서명星湖僿說類選卷之七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童蒙之聰明強記者,別行抄選,敎之誨之。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b.itkc.or.kr/inLink?DCI=ITKC_MP_0597A_1280_020_0040_2015_028_XML 028 文學識趣,罔不在厥初。八歲入學,讀宙如家,以宿爲睡,此是落地後先入之見,終身之疾,深入骨髓。自此推轉,讀《曾氏史略》ㆍ《少微通鑑》ㆍ《百聯句》ㆍ《擊蒙詩》,...권차명牧民心書 卷八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是日論功行賞,厥明日修簿報司。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七書或《少微通鑑》】 賞賜有差。○五十石以上至百石,不願鄕任者,亦賜書籍。【《少微通鑑》ㆍ《史略》等】 ○凡貸者,秋當受穀,一扇之外,不必有賞。此所論者,官勸以貸,而民願白餼者也。雖十石以下之人,若自願白餼,非貸非糶者,是日不可無賞,扇ㆍ梳可也。○近見守令勸分者,其始也甘言利說,若將大賚,及其畢賑也...권차명牧民心書 卷十四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經史篇四]論史門一_綱目疏脫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에는 ‘爲’로 되어 있다. 赧王事. 項羽將 將: 미의회도서관본ㆍ아단문고본(가)ㆍ연세대본(가)에는 없다.死, 謂呂馬童 童: 규장각본ㆍ성호기념관본에는 ‘董’으로 되어 있다.曰“吾 吾: 규장각본ㆍ성호기념관본에는 ‘若’으로 되어 있다.爲若德”, 《少微通鑑》謂爲亭長, 皆失之...서명星湖僿說類選卷之七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신문·잡지(1)
- 민세안재홍전집 : 徵兵制實施의感想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932 1949 12 14 1 1 安民世 안재홍 徵兵制實施의感想 신문 한성일보 1면 2단 논설 사회 직접자료 선집외 徵兵制, 少微通鑑, 信陵君 A19491214한성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주제어사전(1)
-
소미통감 / 少微通鑑 [종교·철학/유학]
송의 강지가『자치통감』294권을 요약하여 50권으로 편찬한 책. 송 이종 원년(1237)에 강연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강연은 이 책에 많은 윤색을 가하고 음주를 달았으며 표·지·서·찬도 증입하였다. 본서는 정통과 비정통에 치중하는『자치통감강목』의 영향을 받아 ‘주난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