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소례복” 에 대한 검색결과 6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9)

사전(3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국가의 작은 의식 때 입던 예복. [내용] 조선시대에는 오례(五禮 : 가례‧길례‧빈례‧군례‧흉례)에 따라 제복(祭服)‧조복(朝服)‧공복(公服)‧상복(常服)‧시복(時服)을 착용하였다. 1895년 8월 10일에 대례복‧‧상복을 제정,...
    연계항목소례복(小禮服)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예복(禮服) 고종(高宗), 복장식(服裝式), 흑단령착수포(黑團領窄袖袍), 생활 풍속의생활/의복 의복 대한민국 조선~대한제국 고종 윤양노 [정의] 고종 때 벼슬아치들이 간...
    상위어예복(禮服) | 관련어고종(高宗), 복장식(服裝式), 흑단령착수포(黑團領窄袖袍),
  • 전황후황원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할 때 혼례를 위하여 준비했었을 가능성이 높다. 황원삼은 대한제국 시기 황제의 황색 곤룡포의 경우와 같이 황후용 상복(常服)에 해당한다. 반면『대한예전(大韓禮典)』권5 관복도설과 구황실 자료「예복(禮服)」에는 원삼이 비빈(妃嬪)의 으로 기록되어 있다. 수복...
  • 당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에 여자들이 입었던 예복. [내용] 당의는 간이예복 또는 ()으로 평복 위에 입었으며 궁중에서는 평상복으로 입었다. 조선 초기 명나라에서 전래된 단배자(短背子)가 배자저고리로 변하였다가 다시 숙종 이후 조선 말기의 당...
    연계항목당의(唐衣)
  • 대례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복을 제정, 반포한 뒤 대례‧소례에 따라 대례복‧을 입게 되었다. 조선시대의 전통적인 대례복으로는, 왕‧왕세자에게는 면복(冕服)이 있었으며 조신(朝臣)들에게는 조복‧제복이 있었다. 또, 왕비‧왕세자빈에게는 법복(法服)이라 하여 적의(翟衣)가 있었고,...
    연계항목대례복(大禮服)

고서·고문서(1)

  • 겨드랑이에 대는 딴 폭)도 좁아졌는데 이것을 ()이라 하였으며, 여기에 흉배를 달아 대례복으로 대신하기도 하였다. 한편, 1895년 육군복장규칙(陸軍服裝規則)이 제정되어 구군복(舊軍服)은 구미식 군복으로 바뀌게 되었다. 1899년에는 외교관의 복장이 서양...
    자료명옛날 대관의 승교 | 발행처京城日之出商行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기초학문(1)

  • 개항기 전통식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경미, 게재일 : 2014
    45590 이경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복식학회 2014 개항기 전통식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25)

  • 릉 령갑이 음력구월 십오일노 반포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릉 령갑이 음력구월 십오일노 반포가 되엿 시위 위숑승외에 죵관은 다 에 금만 기로 마련라신 쳐분이 나리셧더라
    게재일1899년 10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變服上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즁츄원의관 김병훈씨가 상소기를 각 관인의 젼복은 폐지야 단 쥬의로 츌입케고 진에는 을 입게자고 엿다더라
    게재일1902년 11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處子調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간시 죠칙을나리샤 십삼셰로 이십셰된 쳐 단라압신지라 작일부터 한셩부 관인들이 을입고 오셔분쟝야 쳐들 됴샤셩다더라
    게재일1906년 3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無服十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쟉일졍부원유회에각부부원 칙쥬임관의게 쳥쳡을보엿스되 복장이잇고업을 상고야 양복이나 닙은만 진참계지라 문파슈가 단엄금 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4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대소관리 의복 쟝졔도를 졍기로 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대소관리 의복 쟝졔도를 졍기로 졍부에셔 회의결뎡 얏 외국에 파송 신은 셔양사의 복과치고 졍부 관인들은 에 각만 쓰게다더라
    게재일1899년 10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주제어사전(5)

  • / [생활/의생활]

    국가의 작은 의식 때 입던 예복. 조선시대에는 오례(五禮 : 가례·길례·빈례·군례·흉례)에 따라 제복(祭服)·조복(朝服)·공복(公服)·상복(常服)·시복(時服)을 착용하였다. 1895년 8월 10일에 대례복··상복을 제정, 반포한 뒤에는 대례·소례에 따라 대례복·

  • 대례복 / 大禮服 [생활/민속]

    국가의 중대한 의식 때 입던 예복. 조선시대는 오례에 따라 제복·조복·공복·상복·시복을 착용하였다. 1895년 8월 10일 대례복··상복을 제정, 반포한 뒤 대례·소례에 따라 대례복·을 입게 되었다. 조선시대의 전통적인 대례복으로는, 왕·왕세자에게는 면복

  • 당의 / 唐衣 [생활]

    조선시대에 여자들이 입었던 예복. 당의는 간이예복 또는 으로 평복 위에 입었으며 궁중에서는 평상복으로 입었다. 조선 초기 명나라에서 전래된 단배자(短背子)가 배자저고리로 변하였다가 다시 숙종 이후 조선 말기의 당의와 같은 제도가 이루어진 것 같다. 당의에 영향

  • 사모 / 紗帽 [정치·법제/법제·행정]

    모가 되었다. 시복에도 사모를 착용하였고, 공복에 쓰던 복두도 사모로 대신하게 되었으며, 고종 때 실시한 복장개혁 때에도 대례복·에 사모를 착용하게 하였다.

  • 원삼 / 圓衫 [생활/의생활]

    선 초 명나라에서 들어온 장삼, 즉 장배자(長褙子)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다. 왕비 이하 내·외명부들의 예복으로 착용되었다. 왕비·세자빈·세손빈은 으로, 대군부인 이하 상궁과 관직자 부인(官職者夫人)은 대례복으로 입었다. 그 색은 직위에 따라 차이가 있어 황후는 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