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소동파” 에 대한 검색결과 37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70)

사전(79)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송나라의 한림학사로, 황산곡과 함께 길을 가다가 이원외, 소세경, 소흥을 만나 함께 여행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당송 팔대가 중의 한 사람으로, 구법파(舊法派)의 대표자이며 서화에도 능했던 중국 북송 때의 대문호(1036~1101)인 소식의 성(姓)과 호를 함께 이르는 이름
    정의당송 팔대가 중의 한 사람으로, 구법파(舊法派)의 대표자이며 서화에도 능했던 중국 북송 때의 대문호(1036~1101)인 소식의 성(姓)과 호를 함께 이르는 이름 | 문광부표기So Dong-pa | MR표기So Tong-p’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동파시(東坡詩)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2665 문헌 동파시(東坡詩) 동파시 東坡詩 소식(蘇軾)의 시를 모아 엮은 책. 25권. 『동파시집(東坡詩集)』, 또는 『시집(詩集)』이라고도 한다. 소식은 북송(北宋) 사람으로, 자는 자첨(子瞻) 또는 화중(和仲)이고...
    유형분류문헌
  • 황산곡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송나라의 시강으로, 와 함께 길을 가다가 이원외, 소세경, 소흥을 만나 함께 여행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251)

  • 〈圓丘合祭六議箚子〉評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220 文集 卷二十二 ITKC_MP_0597A_0220_040_0040 〈圓丘合祭六議箚子〉評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
    권차명文集 卷二十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石林 李禮卿【魯和】月夜來訪,次韻〈定慧院月夜步出〉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070 詩集 卷七 ITKC_MP_0597A_0070_040_0320 石林 李禮卿【魯和】月夜來訪,次韻〈定慧院月夜步出〉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
    권차명詩集 卷七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863년 이종상(李種祥)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63년(철종14) 8월 26일 이종상(李種祥)이 이원조에게 보낸 서찰. 상대방이 노년에도 귀성(龜城)과 무흘(武屹)등으로 유람하는 왕성한 기력을 부러워하며 적벽(赤壁)에서 노닌 송(宋)나라의 ()에 비유하였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대학교 박물관
  • 1596년 (金富倫)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김부륜(金富倫)이 병신년 5월 15일에 보낸 편지이다. 상대방과 가족들의 안부를 묻고, 상대방의 학문 활동이 더욱 왕성해지기를 바란다고 했다. 중국의 시인 의 일화를 언급하면서 상대방과 풍류를 즐기는 가운데 깊은 학문적 교유를 갖고 싶다고 전했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822년 안수택(安壽宅)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22년(순조22)8월 16일에 안수택이 하백원에 보낸 서간이다. 의 문집을 빌려주기로 약속했기 때문에 심부름꾼을 보낸다고 했으며, 흑시목을 넉넉히 나눠주길 간절히 바란다고 말했다. 스무날쯤 명양으로 갈 듯 하니 거기에서 만나 이야기하고 싶다는 내용도 들어있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화순 이서 진주하씨 하상래

구술자료(18)

  • 정권진 수궁가 공연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중 범피중류(00:00) 진양조 “~적벽강을 당도하니 ~” 2) 수궁가 중 소상팔경(05:30) 3) 수궁가 중 토끼 용왕앞에 붙들려가는 대목(08:50) 자진모리“~아이고 내가 강아지요~내가 언제 강아지라 했오 그럼 무엇이냐 나는 송아지요~” 4) 수궁가
    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명환
  • 정권진 수궁가 공연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중 범피중류(00:00) 진양조 “~적벽강을 당도하니 ~” 2) 수궁가 중 소상팔경(05:30) 3) 수궁가 중 토끼 용왕앞에 붙들려가는 대목(08:50) 자진모리“~아이고 내가 강아지요~내가 언제 강아지라 했오 그럼 무엇이냐 나는 송아지요~” 4) 수궁가
    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정권진
  • 충북 민요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박경선] (21:46): \"기산영수 별건곤에/ 소우허유 있고/ 적벽가 추월강에/ 있고/~/에라만수 에라대신이야/~\" 14) 곡명미상[독창: 박경선] (25:42): \"중산하늘은 아려나/ 중산 하늘은 아려나~\" 15) 농사풀이[독창: 미상] (29:17):
    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중연
  • 충북 민요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박경선] (21:46): \"기산영수 별건곤에/ 소우허유 있고/ 적벽가 추월강에/ 있고/~/에라만수 에라대신이야/~\" 14) 곡명미상[독창: 박경선] (25:42): \"중산하늘은 아려나/ 중산 하늘은 아려나~\" 15) 농사풀이[독창: 미상] (29:17):
    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윤명길
  • 충북 민요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박경선] (21:46): \"기산영수 별건곤에/ 소우허유 있고/ 적벽가 추월강에/ 있고/~/에라만수 에라대신이야/~\" 14) 곡명미상[독창: 박경선] (25:42): \"중산하늘은 아려나/ 중산 하늘은 아려나~\" 15) 농사풀이[독창: 미상] (29:17):
    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최영철

기초학문(5)

  • 朝鮮時代文人對詩文的“受容”及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규백, 게재일 : 2006
    34275 조규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6 朝鮮時代文人對詩文的“受容”及其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조선조 문인의 인물 및 산문에 대한 평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규백, 게재일 : 2012
    52781 조규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동문화연구원 2012 조선조 문인의 인물 및 산문에 대한 평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고려시대 문인의 詩文 受容 및 그 意義(2)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규백, 게재일 : 2007
    18980 조규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7 고려시대 문인의 詩文 受容 및 그 意義(2)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고려시대 문인의 詩文 受容 및 그 意義(1)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규백, 게재일 : 2006
    20531 조규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6 고려시대 문인의 詩文 受容 및 그 意義(1)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姜希孟 ‘寓意’ 개념의 연원과 문인화론- ‘우의’ 개념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재숙, 게재일 : 2015
    63526 김재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양철학회 2015 姜希孟 ‘寓意’ 개념의 연원과 문인화론- ‘우의’ 개념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
    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17)

  • と悟道 (와 각오)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기사명_원문蘇東坡と悟道 | 기사명_한글소동파와 각오 | 게재일19220101 | 게재판其1 | 게재면02 | 게재단4-9
  • (*笠屐圖) ((* 입극도))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白蓮은 池運永(1852- 1935)의 호.현재 조맹부 입극도 원본은 국내에 알려진 바 없음. 지운영 의 유사한 작품이 간송미술관에 소장
    작품명_원문(*蘇東坡笠屐圖) | 부제_원문白蓮畵伯模寫 | 부제_한글백련화백 모사 | 게재일19170704 | 게재판 | 게재면03 | 게재단2-5
  • 趙松雪の畵いた笠屐圖(조송설이 그린 입극도)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松雪은 趙孟頫(1254- 1322)의 호. 현재 조맹부 입극도 원본은 국내에 알려진 바 없음. 지운영 의 유사한 작품이 간송미술관에 소장
    기사명_원문趙松雪の畵いた蘇東坡笠屐圖 | 기사명_한글조송설이 그린 소동파 입극도 | 게재일19170704 | 게재판 | 게재면03 | 게재단2-5
  • 壬戌の歳に縁深き (임술년과 인연이 깊은 )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입극도
    작품명_원문壬戌の歳に縁深き蘇東坡 | 게재일19220101 | 게재판其1 | 게재면02 | 게재단4-9
  • 居士の赤壁の遊』白蓮 池雲英氏筆 (『거사의 적벽의 놀이』백련 지운영씨 필)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지운영(1852-1935)
    작품명_원문『蘇東坡居士の赤壁の遊』白蓮 池雲英氏筆 | 게재일19220105 | 게재판 | 게재면03 | 게재단3-4

주제어사전(5)

  • / [문학]

    1037.1.8~1101.8.24. 중국 북송 때의 제1의 시인. 소순 아들, 소철의 형이다. 송나라 제1의 시인이며, 문장에 있어서도 당송팔대가의 한 사람이다. “독서가 만 권에 달하여도 율은 읽지 않는다” 고 해 초유의 필화사건을 일으켰다. 당시가 서정적인 데 대

  • 동파관 / 東坡冠 [생활/의생활]

    사대부가 평시에 쓰던 관. 송나라 때 ()가 썼던 관이라 하여 동파관이라 한다. 명나라 때 우리나라에 전래된 것으로 여겨지며 문인·선비들이 한가히 지낼 때 쓰던 관이다.형태는 당건(唐巾)이나 사방건(四方巾)의 옆에 위로 올라가는 수(收 : 관모의 뒷부분에

  • 권응인 / 權應仁 [문학/한문학]

    에서 그는 만당(晩唐)의 시풍을 받아들여 큰 전환을 가져오게 하였다. 그는 시평에도 훌륭한 업적을 남겼다. 그는 시에 있어 국내에서는 남명(南冥)조식(曺植)을 당대 제일이라 하였고, 중국에서는 ()의 시를 가장 높이 숭상하였다. 권응인의 문집으로는 『송계집』

  • 인빈 / 印份 [문학/한문학]

    어」로 인빈의 명성이 해동에 떨쳤다고 하였다. 이 시에 대해 서거정은 『동인시화』에서, 이태백과 의 시에 못지않게 즉경을 잘 묘사하였다고 칭송하였다. 최자의 『보한집』에도 고려를 빛낸 대표적 문인 중에 들어 있으며, 이제현의 『역옹패설』에서는 중화(中華)의 풍도를

  • 소상팔경 / 瀟湘八景 [문학/고전시가]

    연은 아미산(峨嵋山)에 반달이 뜬 가을과 적벽강가의 뛰어난 경치를 와 이태백이 못다 놀고 남은 뜻은 후세에 나와 같은 호걸이 다시 놀 수 있게 함이로다 하고 노래한다. 제6연은 순임금이 남쪽을 순행하시어 창오야(蒼梧野)에서 돌아가시니 「남풍시 南風詩」와 오현금(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