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소고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
사전(12)
- 소고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성리학 연구에 일생 동안 정력을 쏟은 인물”이라고 평가하고 있으며, 도학에 근원을 둔 그의 심오한 학문과 덕행이 일치하였음을 강조하였다. 소고집
- 송석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제향되었다. 『소고집(嘯皐集)』 『영남인물고(嶺南人物考)』이칭별칭 원로(元老)| 눌재(訥齋)
- 이문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소고집(嘯皐集)』 『청음집(淸陰集)』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이칭별칭 명중(明仲)
- 회헌개모영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한 느낌을 주고 있다. 박승임(朴承任, 1517∼1586)의 『소고집(嘯皐集)』에 의하면 1559년(명종 14) 소수서원(紹修書院)에 봉안되어 있던 안향상이 오래되어 훼손이 심하여지자 당시 화원 이불해(李不害)로 하여금 모사케 했다고 한다. 지금 소수서원...연계항목회헌개모영정(晦軒改摹影幀)
- 권두문(權斗文)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동주집(東州集)』 『학봉전집(鶴峯全集)』 『소고집(嘯皐集)』 『백암집(柏巖集)』
고서·고문서(8)
- 소고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연산군 대에 가장 뛰어난 사림 중의 한 사람으로, 특히 무오사화의 광풍에 휘말려 극형에 처해졌지만, 죽음 앞에서도 한 치의 흔들림 없는 선비의 기개를 떨친 인물이라고 하였다. 또 그는 죽음으로 자신의 직분을 다했으며 다른 嘯皐集 것은 일체 돌아보지 않은 강직한 선비라고...분야문학 | 유형문헌
- 嘯皐集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907 1638_01 嘯皐集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박승임 종가, 일상생활, 문중생활, 종가유래, 소고집, 문집 한자 전적 SP056.JPG 목판본 朴承任 선장본 1600년(원집), 1782년(속집, 부록) 30...자료구분전적 | 현소장처소수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嘯皐集 木板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773 1538_01 嘯皐集 木板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박승임 종가, 일상생활, 문중생활, 종가유래, 소고집, 문집 한자 목판 SP008.JPG 1600년 박승임 종가 소수박물관 소고 박승임의 문집인 [소고집] 간...자료구분목판 | 현소장처소수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嘯皐集 附錄 木板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774 1539_01 嘯皐集 附錄 木板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박승임 종가, 일상생활, 문중생활, 종가유래, 소고집, 문집 한자 목판 SP009.JPG 1782년 박승임 종가 소수박물관 소고 박승임의 문집인 [소고집...자료구분목판 | 현소장처소수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嘯皐續集 木板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772 1537_01 嘯皐續集 木板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박승임 종가, 일상생활, 문중생활, 종가유래, 문집, 소고속집, 소고집 한자 목판 SP001.JPG 1782년 박승임 종가 소수박물관 소고 박승임(1517-...자료구분목판 | 현소장처소수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주제어사전(1)
-
소고집 / 嘯皐集 [종교·철학/유학]
박승임의 문집. 목판본, 발: 김약련(속집, 1781), 10권 5책. 1600년에 문인 오운·안촌·배응 등이 유문을 수습하여 이산서원에서 4권 2책으로 간행, 속집은 박승임의 6대손 박희천이 원집에서 빠진 저술들을 모아 6권(부록 2권 포함)으로 편집하여 대산 이상정